$\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스털린 역설에 대한 연구 -만족점의 존재여부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asterlin Paradox: with Special References to Satiation Point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4 no.1, 2012년, pp.53 - 77  

문진영 (서강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행복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의 효시로 불리는 이스털린 역설을 이해하고, 이 역설을 둘러싸고 나타나는 논쟁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스털린 역설을 둘러싼 논쟁의 흐름을 파악하는 가장 핵심적인 개념인 만족점(satiation point)의 존재여부에 대한 논쟁을 정리하고, 이를 기초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이스털린 역설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첫째, 행복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고, 둘째, 이스털린의 관찰을 파악하고, 그리고 셋째, 이스털린 역설의 이론을 설명한다. 이어 제3장에서는 이스털린 역설을 둘러싼 논쟁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쟁은 주로 욕구이론가들이 이스털린 역설에 대해서 공격하고 이에 대해서 이스털린이 방어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비단 행복과 소득의 관계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체제 전반에 걸친 인식의 충돌을 보여준다. 이러한 논쟁에 대한 이해의 기초 위에서 제4장에서는 "만족점(satiation point)은 존재하는가?"라는 논쟁적 이슈를 제기하고, 이 논쟁을 제1절에서 욕구이론의 입장, 그리고 제2절에서는 행복의 상대주의적 입장에서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제3절에서는 사회복지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asterlin Paradox is widely accepted as a pioneer of happiness study in social science disciplines including Economics, Psychology, and Sociology. Moreover, it should be noted, the paradox has abundant implications on many social issues such as 'economic growth or social equity', 'basic incom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득이 증가하게 되면 일어나는 변화는? 일반적으로 경제학자들은 개인의 행복(삶의 만족도, 안녕, 효용 등)1)을 소득의 함수로 이해하여, 한 개인이나 국가의 소비능력이 향상되면 그 개인이나 국가공동체의 행복도 전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즉 소득이 증가하게 되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개인이나 가계, 그리고 이들로 구성된 국가의 행복은 증가한다는 것이다.
경제학자들은 개인의 행복을 무엇으로 이해했는가? 국민경제가 발전하여 소득이 증가하면 개인의 행복도 커질 것인가? 이 질문은 18세기말 공리주의 철학이 자본주의 질서를 구축하는 토대가 된 이후 끊임없이 제기된 것으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이다. 일반적으로 경제학자들은 개인의 행복(삶의 만족도, 안녕, 효용 등)1)을 소득의 함수로 이해하여, 한 개인이나 국가의 소비능력이 향상되면 그 개인이나 국가공동체의 행복도 전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즉 소득이 증가하게 되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개인이나 가계, 그리고 이들로 구성된 국가의 행복은 증가한다는 것이다.
만족점의 존재여부에 따라 어떻게 방향을 잡을것인가? 만약에 소득과 행복의 관계에서 만족점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양적 성장 위주의 경제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겠지만, 행복이 상대적이라서 만족점이 존재한다면, 국민경제의 운용을 균형성장 중심으로 방향을 잡아야 할 것이다. 이렇듯 만족점의 존재여부에 대한 연구는 국민경제의 기본방향뿐만 아니라, 복지국가의 여러 이슈들, 예를 들자면 기본소득제도의 도입 여부나 사회복지 서비스 중심의 복지국가 체제재편 등과 같은 논쟁적 이슈들에 대해서도 입장을 정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