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더위지기의 항산화 및 미백제로서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 에탄올과 물을 이용한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 및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유용한 생리활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실험한 결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547.96, 65.93 mg/g, 물 추출물에서 610.45, 82.86 mg/g으로 확인하였으며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 모두 200 mg/g 이상의 높은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능을 평가하기 위해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실험 결과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SC_{50}$값이 17.1 ppm으로 물 추출물의 198.4 ppm 보다 약 11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미백제로의 효능을 알아보고자 실행한 tyrosinase 활성 저해 및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에 관한 결과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tyrosinase 활성억제농도($IC_{50}$)은 481.8 ppm, 멜라노사이트에 50 ppm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가 36.8%로 높은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항산화제 및 미백제로서 큰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더위지기의 항산화 및 미백제로서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 에탄올과 물을 이용한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 및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유용한 생리활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실험한 결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547.96, 65.93 mg/g, 물 추출물에서 610.45, 82.86 mg/g으로 확인하였으며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 모두 200 mg/g 이상의 높은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능을 평가하기 위해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실험 결과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SC_{50}$값이 17.1 ppm으로 물 추출물의 198.4 ppm 보다 약 11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미백제로의 효능을 알아보고자 실행한 tyrosinase 활성 저해 및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에 관한 결과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tyrosinase 활성억제농도($IC_{50}$)은 481.8 ppm, 멜라노사이트에 50 ppm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가 36.8%로 높은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항산화제 및 미백제로서 큰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extract. Artemisia iwayomogi was extracted with 100% ethanol and water. The antioxidative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these extracts were determined with in vitro assays by using 1,1-dip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extract. Artemisia iwayomogi was extracted with 100% ethanol and water. The antioxidative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these extracts were determined with in vitro assays by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method assessing the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tested by DPPH assay which showed a hig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C_{50}$; 17.1 ppm in EtOH, 198.4 ppm in water). In term of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rtemisia iwayomogi ethanol extract showed high inhibition activity ($IC_{50}$: 481.8 ppm). In B16 mouse melanoma cells, the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melanin synthesis by 36.8% at a concentration of 50 ppm.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temisia iwayomogi ethanol extract has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extract. Artemisia iwayomogi was extracted with 100% ethanol and water. The antioxidative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these extracts were determined with in vitro assays by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method assessing the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tested by DPPH assay which showed a hig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C_{50}$; 17.1 ppm in EtOH, 198.4 ppm in water). In term of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rtemisia iwayomogi ethanol extract showed high inhibition activity ($IC_{50}$: 481.8 ppm). In B16 mouse melanoma cells, the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melanin synthesis by 36.8% at a concentration of 50 ppm.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temisia iwayomogi ethanol extract has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vit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천연 식물로서 인체에 안전하고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소재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더위지기(Artemisia iwayomogi)는 일명 부덕쑥, 애기바위쑥이라고 불리며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의 목본식물이다.
멜라닌 생성세포인 멜라노사이트를 배양하여 시료를 처리함으로서 멜라닌 생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우스 유래의 멜라노사이트 세포(murine melanoma melanocyte, B16F1 cell)에 더위지기 에탄올 및 물 추출물 50 ppm 까지 첨가하여 배양한 후 세포내 멜라닌 양을 측정하였으며, 대조구로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더위지기의 항산화 및 미백제로서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 에탄올과 물을 이용한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 및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유용한 생리활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실험한 결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547.
제안 방법
Tsuboi의 방법(31)을 변형하여,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 mouse melanoma melanocyte(B16F1 cell)를 6well plate에 접종하고 (1×105 cells/well), 24시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더위지기 추출물을 각각의 well에 첨가하여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버리고 새로운 배지와 함께 MTT 용액을 10 µL씩 첨가하였다.
하지만, 미백과 같은 피부 미용에 관한 효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런 더위지기 추출물의 신규 미백소재로서의 효능을 확인하고자 유효 성분으로 알려진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측정, 항산화 효과, tyrosinase 저해 효과 및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를 수행하였다.
더위지기 추출을 위해 용매로 에탄올과 물을 이용하였으며 추출은 시료의 10배의 용매를 가한 후 30에서 초음파(Asia industry, Incheon, Korea)를 이용하여 3회 반복 추출하였다. 10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는 40℃ 이하에서 감압농축(Rotary vacuum evaporator, N-N series, Eyela, Tokyo, Japan)을 하였으며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는 동결건조(FD8508, IlShin Lab Co.
더위지기 추출을 위해 용매로 에탄올과 물을 이용하였으며 추출은 시료의 10배의 용매를 가한 후 30에서 초음파(Asia industry, Incheon, Korea)를 이용하여 3회 반복 추출하였다. 10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는 40℃ 이하에서 감압농축(Rotary vacuum evaporator, N-N series, Eyela, Tokyo, Japan)을 하였으며 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시료는 동결건조(FD8508, IlShin Lab Co., Yangju, Korea)하여 중량법으로 수율을 계산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은 밀봉하여 −80℃에 보관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Gutfinger(26)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더위지기 추출물을 0.
, Sunnyvale, CA, USA)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tannic acid를 이용하였으며 표준물질의 표준곡선으로부터 총 폴리페놀 함량(mg/ g)을 계산하였다.
2 mL을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rutin hydrate를 이용하였으며 표준물질의 표준곡선으로부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g)을 계산하였다.
Bernard 등의 방법(29)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96 well plate에 0.
cells/well), 24시간 배양하였다. 더위지기 추출물을 DMEM 배지에 첨가하여, 상기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동안 더 배양 하였다.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trypsin을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한 후 회수한 세포에 1 N NaOH(10% DMSO 포함)를 첨가하여 60℃항온조에서 1시간 방치하여 멜라닌을 녹여내었다.
더위지기의 추출 수율은 Table 1과 같다. 추출 수율은 초기 건조중량과 추출 후 건조중량의 백분비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물을 이용한 추출에서 수율이 10.
멜라닌 생성세포인 멜라노사이트를 배양하여 시료를 처리함으로서 멜라닌 생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우스 유래의 멜라노사이트 세포(murine melanoma melanocyte, B16F1 cell)에 더위지기 에탄올 및 물 추출물 50 ppm 까지 첨가하여 배양한 후 세포내 멜라닌 양을 측정하였으며, 대조구로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더위지기 에탄올 추출물에서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는 50 ppm의 농도에서 36.
대상 데이터
본 연구에서 사용된 더위지기(Artemisia iwayomogi)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식물추출물은행(Daejeon, Korea)에서 건조·분쇄되어 있는 것을 구입하여 4℃에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Mouse immortalized fibroblast(NIH3T3 cell)와 mouse melanoma melanocyte(B16F1 cell)를 각각 10% serum이 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배지에서 5% CO2에서 37℃로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사용된 tannic acid, rutin hydrate, sodium metabisulfite, sodium carbonate,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ascorbic acid, L-tyrosine, tyrosinase, MTT(3-[4,5-dimethylthiazol-2- yl]-2, 5-diphenyltetrazolium bromide), Folin-Ciocalteu’s phenol reagent, diethylene glycol는 Sigma사(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mL를 분주한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에탄올이 첨가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모든 실험은 3반복으로 측정하여 측정치를 평균값±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실험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tudent’s t-test로 하였으며 p 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론/모형
전자공여능은 DPPH의 라디칼소거능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8). 96 well plate에 400 µM 농도가 되도록 에탄올에 용해한 DPPH 0.
MTT 시험은 Mosmann법(30)을 이용하였다. Mouse immortalized fibroblast (NIH3T3 cell)를 96well plate에 1×104 cells/well되게 접종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전자공여능은 항산화작용의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능 측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37). 전자공여능 측정은 DPPH 라디칼 소거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PPH는 비교적 안정한 라디칼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로 항산화 능력을 가지고 있는 물질과 만나면 라디칼이 소거되어 탈색이 되는 점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검정한다(33).
성능/효과
따라서 이러한 활성 산소를 제거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진 항산화제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보고되어 있다(9-13). 연구결과에 의하면 식물에 존재하는 비타민 E, 비타민 C 등의 비타민과 플라보노이드류, 카로티노이드류, 폴리페놀과 같은 천연 항산화제와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 등과 같은 항산화 효소 및 합성 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toluene(BHT), butylated hydroxyanisole(BHA) 등 여러 가지 물질이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9,13-16). 그러나 기존에 개발된 식물 유래 천연 항산화제의 경우 항산화 효과가 비교적 낮고 원료 수급의 문제, 낮은 수율 및 안정성 등의 문제점으로 상업용 추출물에 대한 효과가 확인된 보고는 없으며 항산화 효소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온도나 pH에 영향을 많이 받아 산업적 이용에 어려움이 있다(12,15-16).
대조구인 ascorbic acid의 SC50의 7.20 ppm과 비교하여 낮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나 항산화 효과가 좋다고 잘 알려진 인삼, 갈근, 창출, 약쑥 그리고 느타리버섯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100 µg/mL를 처리한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더위지기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40).
추출 수율은 초기 건조중량과 추출 후 건조중량의 백분비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물을 이용한 추출에서 수율이 10.8%로 에탄올 수율 5%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Park(32)의 보고에 의하면 8종류의 한약재를 에탄올과 물을 이용하여 열수추출 하였을 때 물에서 추출 수율이 높게 나온 것과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더위지기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2과 같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547.96과 65.93 mg/g으로 물 추출물의 610.45과 82.86 mg/g보다 낮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으며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 모두 200 mg/g 이상의 높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에 항산화 효과가 좋다고 알려진 엉겅퀴, 마테, 유근피, 솔잎보다 많은 양으로 항산화 및 여러 생리 활성 효과가 우수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16).
1과 같다. 더위지기 추출물의 50% 라디칼 소거능을 가지는 농도(SC50)을 비교한 결과 더위지기 추출물 중 에탄올 추출물이 17.1 ppm으로 물 추출물의 198.4 ppm 보다 약 11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물추출물에서 보다 폴리페놀 함량이 낮은 에탄올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게 나타난 결과는 기존의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비교 연구들과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다(38-39).
2와 같다. 실험 결과 더위지기의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는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고 50% tyrosinase 활성억제농도(IC50)가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481.8 ppm으로 확인하였으나 물 추출물에서 실험 최고농도인 1000 ppm까지 50% tyrosinase 활성억제농도(IC50) 결과를 확인할 수 없으며 기존에 미백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ascorbic acid의 IC50 102.4 ppm과 비교하였을 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에탄올과 물을 이용하여 더위지기를 추출하였을 때 서로 다른 성분이 추출되어 물 추출물에서는 효과가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MTT assay는 살아 있는 세포에서 탈수소 효소 작용에 의하여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은 MTT tetrazolium이 청자색을 띄는 비수용성의 MTT formazan으로 환원시키는 미토콘드리아의 능력을 이용하는 검사법으로 더위지기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세포독성 실험 결과 더위지기 추출물은 추출 용매에 상관없이 500 ppm까지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내었다(Fig. 3).
마우스 유래의 멜라노사이트 세포(murine melanoma melanocyte, B16F1 cell)에 더위지기 에탄올 및 물 추출물 50 ppm 까지 첨가하여 배양한 후 세포내 멜라닌 양을 측정하였으며, 대조구로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더위지기 에탄올 추출물에서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는 50 ppm의 농도에서 36.8%로 대조구인 ascorbic acid 50 ppm의 17.4%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물추출물에서는 10.5%의 억제효과가 나타나 에탄올 추출물보다 효과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Fig. 4). 이는 tyrosinase 억제효과와 결과가 같았으며 tyrosinase가 멜라닌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이는 tyrosinase 억제효과와 결과가 같았으며 tyrosinase가 멜라닌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더위지기의 항산화 및 미백제로서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 에탄올과 물을 이용한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 및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유용한 생리활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실험한 결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547.96, 65.93 mg/g, 물 추출물에서 610.45, 82.86 mg/g으로 확인하였으며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 모두 200 mg/g 이상의 높은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능을 평가하기 위해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실험 결과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SC50값이 17.
86 mg/g으로 확인하였으며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 모두 200 mg/g 이상의 높은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능을 평가하기 위해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실험 결과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SC50값이 17.1 ppm으로 물 추출물의 198.4 ppm 보다 약 11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미백제로의 효능을 알아보고자 실행한 tyrosinase 활성 저해 및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에 관한 결과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tyrosinase 활성억제 농도(IC50)은 481.
4 ppm 보다 약 11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미백제로의 효능을 알아보고자 실행한 tyrosinase 활성 저해 및 세포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에 관한 결과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tyrosinase 활성억제 농도(IC50)은 481.8 ppm, 멜라노사이트에 50 ppm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가 36.8%로 높은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항산화제 및 미백제로서 큰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8%로 높은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더위지기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항산화제 및 미백제로서 큰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리라디칼들이 야기시키는 피해는 무엇입니까?
유해 산소라 불리는 활성 산소란 미토콘드리아, 식세포 또는 세포질에서 정상적인 대사 과정 중 여러 가지 생물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일중항산소 superoxide anion(O2-)이나 과산화수소 (H2O2) 및 hydroxyl 라디칼(OH) 등과 같은 짝짓지 않은 상태의 전자를 갖는 프리라디칼들을 말한다(1). 이러한 프리라디칼들은 반응성과 파괴성이 매우 높아 생체내의 세포막, 단백질, DNA 및 효소 등을 손상시키는 등 세포와 조직에 해로운 반응을 일으켜암 및 동맥경화 등의 질병을 유발하며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8). 따라서 이러한 활성 산소를 제거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진 항산화제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보고되어 있다(9-13).
여러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어떠합니까?
따라서 이러한 활성 산소를 제거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진 항산화제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여러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보고되어 있다(9-13). 연구결과에 의하면 식물에 존재하는 비타민 E, 비타민 C 등의 비타민과 플라보노이드류, 카로티노이드류, 폴리페놀과 같은 천연 항산화제와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 등과 같은 항산화 효소 및 합성 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toluene(BHT), butylated hydroxyanisole(BHA) 등 여러 가지 물질이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9,13-16). 그러나 기존에 개발된 식물 유래 천연 항산화제의 경우 항산화 효과가 비교적 낮고 원료 수급의 문제, 낮은 수율 및 안정성 등의 문제점으로 상업용 추출물에 대한 효과가 확인된 보고는 없으며 항산화 효소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온도나 pH에 영향을 많이 받아 산업적 이용에 어려움이 있다(12,15-16).
유해 산소라 불리는 활성 산소란 무엇입니까?
유해 산소라 불리는 활성 산소란 미토콘드리아, 식세포 또는 세포질에서 정상적인 대사 과정 중 여러 가지 생물학적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일중항산소 superoxide anion(O2-)이나 과산화수소 (H2O2) 및 hydroxyl 라디칼(OH) 등과 같은 짝짓지 않은 상태의 전자를 갖는 프리라디칼들을 말한다(1). 이러한 프리라디칼들은 반응성과 파괴성이 매우 높아 생체내의 세포막, 단백질, DNA 및 효소 등을 손상시키는 등 세포와 조직에 해로운 반응을 일으켜암 및 동맥경화 등의 질병을 유발하며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8).
참고문헌 (40)
Papa S, Skulachev VP. Reactive oxygen species, mitochondria, apoptosis and aging. Mol. Cell Biochem. 174: 305-319 (1997)
Feskanich D, Ziegler RG, Michaud DS, Giovannucci EL, Speizer FE, Willett WC, Colditz GA. Prospective study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risk of lung cancer among men and women. J. Natl. Cancer Inst. 92: 1812-1823 (2000)
Gey KF, Puska P, Jordan P, Moser UK. Inverse correlation between plasma vitamin E and mortality from ischemic heart disease in cross-cultural epidemiology. Am. J. Clin. Nutr. 53: 326- 334 (1991)
Coleman MD, Fernandes S, Khanderia L. A preliminary evaluation of a novel method to monitor a triple antioxidant combination (vitamins E, C, and $\alpha$ -lipoic acid) in diabetic volunteers using in vitro methaemoglobin formation. Environ. Toxicol. Phar. 14: 69-75 (2003)
Kim KB, Yoo KH, Park HY, Jeong JM.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mmercial edible plant extracts distributed in Kor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328-333 (2006)
Williams GM, Wang CX, Iatropoulos MJ. Toxicity studies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II. Chronic feeding studies. Food Chem. Toxicol. 28: 799-806 (1990)
Seog HM, Seo MS, Kim HM, Ahn MS, Lee YT. Antioxidative activity of barley polyphenol extract (BPE) separated from pearling by-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89-892 (2002)
Iwata M, Corn T, Iwata S, Everett MA, Fuller BB. The relationship between tyrosinase activity and skin color in human foreskins. J. Invest. Dermatol. 95: 9-15 (1990)
Cabanes J, Chazarra S, Garcia-Carmona F. Kojic acid, a cosmetic skin whitening agent, is a slow-binding inhibitor of catecholase activity of tyrosinase. J. Pharm. Pharmacol. 46: 982-985 (1994)
Chang YH, Kim C, Jung M, Lim YH, Lee S, Kang S. Inhibition of melanogenesis by selina-4(14),7(11)-dien-8-one isolated from Atractylodis Rhizoma Alba. Biol. Pharm. Bull. 30: 719-723 (2007)
Yamakoshi J, Otsuka F, Sano A, Tokutake S, Saito M, Kikuchi M, Kubota Y. Lightening effect on ultraviolet-induced pigmentation of guinea pig skin by oral administration of a proanthocyanidin- rich extract from grape seeds. Pigm. Cell Res. 16: 629-638 (2003)
Jin YX, Yoo YS, Han EK, Kang IJ, Chung CK. Artemisia capillaris and Paecilomyces japonica stimulate lipid metabolism and reduce hepatotoxicity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48-554 (2008)
Woo JH, Shin SL, Lee CH. Antioxidant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lower species of compositae pla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59-164 (2010)
Baurin N, Arnoult E, Scior T, Do QT, Bernard P. Preliminary screening of some tropical plants for anti-tyrosinase activity. J. Ethnopharmacol. 82: 155-158 (2002)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1983)
Lee KD, Kim JS, Bae JO, Yoon HS.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in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J. Korean Soc. Food Nutr. 21: 17-22 (1992)
Jeong HJ, Park SB, Kim S, Kim HK.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extracts depending on ethanol concent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91-1496 (2007)
Cha JY, Kim SY, Jeong SJ, Cho YS. Effects of hesperetin and naringenin on lipid concentration in orotic acid treated mice. Korean J. Life Sci. 9: 389-394 (1999)
Lee KD, Chang HK, Kim HK.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activities of edible mushrooms. Korean J. Food Sci. Thechnol. 29: 432-436 (1997)
Hong JH, Kim HJ, Choi YH, Lee IS.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persimmon, fresh persimmon and persimmon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57-964 (2008)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