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술 후 경구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위암 환자의 가정운동 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a Home-based Exercise Program for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Receiving Oral Chemotherapy after Surger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2 no.1, 2012년, pp.95 - 104  

최진이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강현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home based exercise program for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who were undergoing oral chemotherapy. Methods: The home-based exercise program was developed from the study findings of Winningham (1990) and data from the Korea Athle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한 사람들은 휴식에 의해 피로를 회복할 수 있는 반면 암 환자는 회복능력이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 감소되어 있기 때문에 지속되는 항암치료로 인해 암 환자 피로를 회복하지 못하고 2차적인 피로의 누적으로 기능 상태가 저하되기 쉽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경구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재가위암 환자에게 안전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가정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였다.
  • 본 연구는 수술 후 경구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수술 후 경구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가정운동 프로그램이 암 환자 피로, 면역반응, 불안,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로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경구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위암 환자에게 가정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피로, 면역반응, 불안,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총체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향후 암 환자 간호중재로 활용할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4. 가정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삶의 질 수준이 향상될 것이다.
  • 가설 3. 가정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상태 불안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
  • 가설 1. 가정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암 환자의 피로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
  • 가설 2. 가정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연살해세포(NaturalKillercell: NKcell)비율이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 환자의 완치율과 생존기간이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암 환자들은 수술 기술의 발전과 새로운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완치율과 생존기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위암 환자에게 반응율이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경구용 항암제의 개발로 수술 후 이를 단일요법으로 이를 사용하고 있는(Ohtsu, 2005) 재가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암 환자 피로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 1994) 중 하나로 미국 국립 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 2011)는 치료 부작용 관리에서 피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암 환자 피로는 2000년 국제 질병분류 개정 시 암 관련 피로 증후군(cancer-related fatigue syndrome)이라는 독립적인 질병명으로 정의될 만큼 중증도가 높은 증상으로 암 환자의 면역반응 저하, 불안과 스트레스 증가와 더불어 인간의 삶의 최종목표인 삶의 질까지 저하시킨다고 알려져 있다(National Cancer Institute). 또한 Winningham 등은 정신생물학적 엔트로피 모델(Psychobiological-Entrophy Model, PEM)에서 암 환자의 피로는 기존 질병이나 치료의 직접적인 결과인 일차적 증상이 될 뿐 아니라 다른 증상에 대한 병태생리학적 또는 정신 병리학적 반응 결과인 이차적 증상이 되고 이것이 누적되면 기능이 감소하고 결국 부동 상태를 초래하게 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암 환자들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이 표준치료로 인정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암 환자들은 치료가 진행되면서 유익한 치료효과도 기대할 수 있지만, 예후의 불확실성, 여러 가지 신체적 증상, 피로, 스트레스의 증가, 면역반응과 삶의 질 감소 등으로 인해 많은 고통을 겪고 있다 (Shin, 2005). 게다가 위암 환자들은 수술 후 재발률이 높을 뿐 아니라 예후도 좋지 않다. 그러므로 이들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이 표준 치료로 인정되고 있고(Ohtsu, 2005) 국내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ella, D., Lai, J. S., Chang, C. H., Peterman, A., & Slavin, M. (2002). Fatigue in cancer patients compared with fatigue in the general United States population. Cancer, 94, 528-538. http://dx.doi.org/10.1002/cncr.10245 

  2. Chae, Y. R., Choi, M. Y., & Kim, M. J. (2002). Effect of exercise on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4(2), 59-68. 

  3. Choi, J. Y., & Kang, H. S. (2007). Influencing factors for fatigue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365-372. 

  4. Choi, M. Y., Kim, K. S., Kim, M. A., Park, K. W., Seo, S. R., An, K. A., et al. (2003). Stress and immunity. Seoul: Koonja. 

  5. Cramp, F., & Daniel, J. (2008). Exercise for management of cancer-related fatigue in adults (review).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6(2), CD006145.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6145.pub2 

  6. Dest, V. M., & Fisher, S. M. (1994). Breast cancer: Dreaded diagnosis, complicated care. RN, 57(12), 9-10. 

  7. Dimeo, F., Schwartz, S., Fietz, T., Wanjura, T., Boning, D., & Thiel, E. (2001). Effects of endurance training on the physical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hematological malignancies during chemotherapy. Supportive Care in Cancer, 11, 623-628. http://dx.doi.org/10.1007/s00520-003-0512-2 

  8. Hassig A., Wen-Xi L., & Stampfli, K. (1996). Stress-induced suppression of the cellular immune reactions: On the neuroendocrine control of the immune system. Medical Hypotheses, 46, 551-555. 

  9. Joan, M. B. (2005). An exercise program for cancer patients: Physical and emotional well-being as indicators of quality of lif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Michigan, Lansing, USA. 

  10. Kim, J. T., & Shin, D. K.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11), 69-75. 

  11. Kim, S. H. (2006). Effects of an individualized exercise program on cancer- related fatigue,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and emo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during chemotherap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2. Korea Athletic Promotion Association. (2007). Walking information. Retrieved January 1, 2006, from http://www.walking.or.kr/agency/wizard/frames/frame3_1.php?home_id kapa&top_page top.html&left _pageleft.html&right_page p07_02.html&menu_seq16&menu_seq_open 

  13. Kwon, Y. E. (1990).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4. Lee, E. O., Chae, Y. R., Song, R., Eom, A., Lam, P., & Heitkemper, M. (2010). Feasibility and effects of a Tai Chi self-help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gastric cancer survivors. Oncology Nursing Forum, 37, E1-6. 

  15. Lee, J. J., & Cho, J. Y. (2008). Effects on Immune cell of short-term aerobic exercise by exercise intensity and expenditures calori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8(11), 386-394. 

  16. Levy, S., Herberman, R., Lippman, M., & d'Angelo, T. (1987). Correlation of stress factors with sustained depression of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and predicted prognosi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5, 348-353. 

  17. Mock, V., Frangakis, C., Davdison, N. E., Ropka, M. E., Pickett, M., Poniatowski, B., et al. (2005). Exercise manages fatigue during breast cancer treatm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sycho-Oncology, 14, 464-477. http://dx.doi.org/10.1002/pon.863 

  18. Mock, V., Pickett, M., Ropka, M. E., Muscari, L. E., Stewart, K. J., Rhodes, V. A., et al. (2001). Fatigue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of exercise during cancer treatment. Cancer Practice, 9(3), 119-127. http://dx.doi.org/ 10.1046/j.1523-5394.2001.009003119.x 

  19.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1). Fatigue (health professional). Bethesda: Author. 

  20.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1). 2010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index. Seoul: Author. 

  21. Ohtsu, A. (2005).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chemotherapy for metastatic gastric cancer: A review. Gastric Cancer, 8, 95-102. 

  22. Park, H. S., Cho, G. Y., & Park, K. Y. (2006). The effects of a rehabilitation program on physical health, physiological indicator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mastectomy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310-320. 

  23. Park, J. W., Kim, Y. S., & Sue, M. S. (2001). Study on the change of fatigue in gastrointestinal cancer patients with the time relapse after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3, 620-631. 

  24. Peters, C., Lotozerich, H., Niemeir, B., Schule, K., & Unenbruck, G. (1994). Influence of a moderate exercise training on natural killer cytotoxicity and personality traits in cancer patients. Anticancer Research, 14, 1033-1036. 

  25. Schneider, C. M., Hsieh, C. C., Sprod, L. K., Carter, S. D., & Hayward, R. (2007). Cancer treatment-induced alterations in muscular fitness and quality of life: The role of exercise training. Annals of Oncology, 18, 1957-1962. 

  26. Schwartz, A., & Meek, P. (1999). Additional construct validity of the Schwartz cancer fatigu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7, 35-45. 

  27. Shin, I. S. (2005).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8. Welk, G. J., Lee, K. O., Lim, H. N., Chun, H. J., & Jin, H. M. (2006). Physical activity assessments for health-related research. Seoul: Daehan Media. 

  29. Winningham, M. L., Glass, E. C., & MacVicar, M. G. (1990). Rhythmic walking: Exercise for people living with cancer. Columbus, OH: University of Comprehensive Cancer Center. 

  30. Winningham, M. L., Nail, L. M., Burke, M. B., Brophy, L., Cimprich, B., Jones, L. S., et al. (1994). Fatigue and the cancer experience: The state of the knowledge. Oncology Nursing Forum, 21(1), 23-36. 

  31. Yoo, Y. S. (1999). Effects of aquatic exercise program on the shoulder joint function, physical symptom and quality of life in postmastectomy patients.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3(2), 101-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