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과천과학관의 테슬라코일 전시물 설명판에 대한 관람객의 주목도 분석
An Analysis in Visitors' Attentions on Exhibit Panels of a Tesla Coil in th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2 no.1, 2012년, pp.46 - 63  

이일 (서울대학교) ,  유준희 (서울대학교) ,  정광훈 (국립과천과학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설명판에 포함된 내용 요소의 종류와 관람객의 집단 유형에 따라 관람객의 설명판에 대한 주목도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여 주목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과천과학관의 테슬라코일을 대상으로 하여 테슬라코일에 대한 관람객의 지적 수요를 기반으로 기본 개념, 현상 설명, 작동 원리, 응용, 역사적 배경 등 5개의 내용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각각의 요소에 대한 설명판을 제작하여 자유 관람 상태에서 관람객의 관람 행동을 녹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 집단은 총 586집단으로 학생개인, 성인개인, 학생집단, 성인집단, 가족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집단별로 30.0%, 20.6%, 28.2%, 2.4%, 18.8%의 비율을 나타냈다. 관람객의 설명판에 대한 주목도는 견인력과 유지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견인력은 설명판을 바라본 전체 집단 수에 대하여 3초 이상 주목한 집단 수의 비율로 구하였다. 유지력은 각 설명판에 대한 평균 주목시간과 감쇠 시간으로 구하였다. 역사적 배경과 응용 설명판의 견인력은 각각 72.3% 68.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기본 개념 설명의 견인력은 46.6%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평균 주목시간의 경우 현상 설명과 작동 원리 설명판이 각각 37.0초와 34.2초로 높게 나타났으며, 역사적 배경과 응용 설명판은 각각 25.0초와 25.4초로 낮게 나타났다. 각 설명판에 대한 감쇠시간도 평균 주목시간과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즉, 접근하기 쉬운 설명판은 견인력이 높고, 과학적 개념을 심도있게 다루는 설명판은 유지력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성인개인, 가족, 학생집단의 경우 견인력이 각각 66.9%, 66.4%, 62.4%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개인과 성인개인의 경우 견인력이 55.7%로 나타났다. 평균 주목시간은 학생집단, 가족, 성인집단이 34.0초, 33.0초, 31.6초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 개인이 19.5초로 낮게 나타났다. 각 집단 유형별 감쇠시간도 평균 주목시간과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집단이나 가족의 경우 견인력과 평균 주목시간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개인의 경우 견인력과 평균 주목시간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잠정적으로 설명판의 견인력은 내용 요소에 의해, 평균 주목시간은 집단 유형에 의해 영향을 좀더 받는다고 할 수 있으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factors which influence visitors' attention on exhibition panels by analyzing visitors' attention according to topic types and visitor group typ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exhibition panels of a Tesla Coil exhibition in the Gwacheon National Scie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관이나 박물관의 전시물 설명판이란 무엇인가? 과학관이나 박물관의 전시물 설명판은 전시 매체의한 종류로서, 전시 라벨(label) 혹은 패널(panel)이라고도 불리우며, 설명문, 삽화, 도표 등으로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Belcher, 1991; Falk & Dierking, 1992; Jeannercet, 2010; 김경미, 2005; 유지현, 2008). 설명판은 관람객에게 전시물에 담긴 전시 기획자의 의도를 전달하고 공유하도록 하는 매체이다(Jeanneret et al.
체험활동을 기획하는 교사의 지침 및 학생과 교사 사이의 상호작용이 학생의 관람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 된 이유는 무엇인가? 가족 단위 관람객은 자발적인 동기에 의해 과학관을 방문하는 반면, 학생 단체 관람객은 학교 교육 중 체험활동의 일환으로 과학관을 견학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체험활동을 기획하는 교사의 지침 및 학생과 교사 사이의 상호작용이 학생의 관람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Griffin & Symington, 1997).
Bitgood (2000)에 의하면 설명 판에서 주목도는 무엇으로 나누어 평가하는가? 초기 연구에서는 설명판의 효과(effectiveness)를 주목 도의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주목하는 시간이 중요 시되었다(Serrell, 1997; Serrell, 2002). Bitgood (2000)에 의하면 주목도는 얼마나 많은 관람객이 설명판에 주목하는지를 보는 견인력(attracting power)과 읽는 시간을 의미하는 유지력(holding power)의 범주로 나누어 평가한다. 전시물의 견인력은 해당 전시물 앞에서 관람객이 머무르는 빈도수나 전체 관람객 대비 해당 전시물 앞에서 머무른 관람객의 백분율로 평가하기도 하며, 유지력은 관람객이 전시물 앞에서 머무른 시간으로 평가할 수 있다 (Serrell,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국립과천과학관 (2011). 2010년도 연간 보고서. 미발행. 

  2. 김경미. (2005). 정보디자인의 관점에서 본 박물관 전시매체의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4(6), 252-259. 

  3. 김소희, 송진웅. (2003). 과학관 전시물의 특징과 학생들의 전시물에 대한 인식-서울시 소재 3개 과학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44-560. 

  4. 김기상, 이선경, 김찬종. (2009). 자연사박물관에 서 일어나는 또래 아동간의 상호작용적 학습 양상. 한국지구과학지, 30(1), 127-140. 

  5. 유지현. (2008). 전시패널의 주목도에 관한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이나영. (2009). 국립과천과학관 전시물 중 테슬라코일 관련 전시매체 개선방안, 제56차 과학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7. 이보아. (2000). 박물관학 개론. 서울: 김영사. 179p. 

  8. 이선경, 신명경, 이규호, 최취임, 백두성, 정광훈, 유만선, 김선자, 손성근, 최현숙, 이강환, 이정구. (2011). 과학관의 전시 패널 글에 반영된 과학의 인신론적 측면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32(1), 124-139. 

  9. 이주영, 이정아, 김찬종. (2010). 자연사박물관에 서 관람객의 학습을 중재하는 도슨트의 담화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815-835. 

  10. 정원영, 이주연, 박은지, 김찬종, 이선경. (2009). 자연사관 관람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대화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한국지구과학회지, 30(7), 909-920. 

  11. Belcher, M. (1991). Exhibitions in museums. Leicester,: Washington, D.C.: Leicester University Press. 

  12. Barnard, W. A., & Loomis, R. J. (1994). The museum exhibit as a visual learning medium. Visitor Behavior, 9(2), 14-17. 

  13. Bitgood, S. (2000). The role of attention in designing effective interpretive labels. Journal of Interpretation Research, 5(2), 31-45. 

  14. Brooke, H., & Solomon, J. (2001). Passive visitors or independent explorers: Responses of pupils with severe learning difficulties at an interactive science cent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9), 941-953. 

  15. Borun, M., & Miller, M. (1980). What's in a name?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explanatory labels in a science museum. Philadelphia: Franklin Institute Science Museum and Planetarium. 

  16. Diamond, J. (1986). The Behavior of family groups in science museums. Curator, 29(2), 139-154. 

  17. Dierking, L. D., & Falk, J. H. (1994). Family behavior and learning in informal science settings: A review of the research. Science Education, 78(1), 57-72. 

  18. Falk, J. H., Koran, J. J., Dierking, L. D., & Dreblow, L. (1985). Predicting visitor behavior. Curator, 28(4), 249-258. 

  19. Falk, J. H., & Dierking, L. D. (1992). The museum experience. Washington, D.C.: Whalesback Books. 

  20. Falk, J. H. (1997). Testing a museum exhibition design assumption: effect of explicit labeling of exhibit clusters on visitor concept development. Science Education, 81(6), 679-687. 

  21. Griffin, J., & Symington, D. (1997). Moving from task-oriented to learning-oriented strategies on school excursions to museums. Science Education, 81(6), 763-779. 

  22. Hohenstein, J., & Tran, L. U. (2007). Use of questions in exhibit labels to generate explanatory conversation among science museum visi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2), 1557-1580. 

  23. Jeanneret, Y., Depoux, A., Luckerhoff, J., Vitalbo, V., & Jacobi, D. (2010). Written signage and reading practices of the public in a major fine arts museum.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25(1), 53-67. 

  24. Kelley, J. B., & Dunbar, S. L. (1952). The tesla coil. American Journal of Physics, 20(1), 32-35. 

  25. Korn, R., & Jones, J. (2000). Visitor behavior and experiences in the four permanent galleries at the tech museum of innovation. Curator, 43(3), 261-281. 

  26. McManus, P. M. (1987). It's the company you keep ...: The social determination of learning-related behaviour in a science museum.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6(3), 263-270. 

  27. McManus, P. M. (1988). Good companions: More on the social determination of learning-related behaviour in a science museum. International Journal of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7(1), 37-44. 

  28. McManus, P. M. (1989). Oh, yes, they do: how museum visitors read labels and interact with exhibit texts. Curator, 32(3), 174-189. 

  29. Miller, S. (1990). Labels. Curator, 33(2), 85-89. 

  30. Serrell, B. (1997). Time Is Indeed of the Essence. Curator, 40(4), 253-255. 

  31. Serrell, B. (2002). Are They Watching? Visitors and Videos in Exhibitions. Curator, 45(1), 50-64. 

  32. Skeldon, K. D., Grant, A. I., & Scott, S. A. (1997). A high potential tesla coil impulse generator for lecture demonstrations and science exhibition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5(8), 744-754. 

  33. Wolf, L. F., & Smith, J. K. (1993). What makes museum labels legible? Curator, 36(2), 95-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