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측웨지인솔이 대퇴절단자의 무릎내전모멘트에 미치는 영향
Biomechanical Effect on Knee Adduction Moment by Lateral Wedge Insole in Transfemoral Amputee 원문보기

한국정밀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29 no.2, 2012년, pp.239 - 244  

장윤희 (재활공학연구소) ,  이완희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valence of knee osteoarthritis was higher people with lower limb amputation. This was identified that transfemoral amputees have a greater external knee adduction moment than ablebodied subjects by biomechanical studies. Therefore, they need rehabilitative intervention for prevention and re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무릎골관절염 유병률이 높은 편측 대퇴절단자를 대상으로 외측웨지인솔을 적용한 후 건측 무릎내전모멘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외측웨지인솔은 과도한발목내반각도를 교정하여 환측으로의 체중심 이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좌우 걸음길이가 대칭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보이며, 발목내반각도 감소로 인한 전체적인 하지정렬의 변화가 엉덩관절 및 무릎내전모멘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본연구는 대퇴절단자의 건측 무릎골관절염 관련 예방 및 치료적 측면에 활용하고자 하며, 향후 추가연구에서 외측웨지인솔 적용에 따른 실제 압력중심의 이동과 발목내반각도의 상관관계 등을 분석해 보행에 미치는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ungerford 와 Cockin 이 절단자를 대상으로 무릎골관절염에 대한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는 무엇인가. Hungerford 와 Cockin 은 절단자를 대상으로 무릎골관절염에 대한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비절단자 21%, 대퇴절단자 63%, 하퇴절단자 41%로 하지절단자들이 비절단자에 비해 유병률이 높다고 하였으며, 특히 절단수준이 높은 대퇴절단자군의 유병률이 증가한다고 하였다.1 또한 Norvell2 등의 연구에서는 하지절단자와 비절단자 간 무릎골관절염 증상을 비교한 결과 비절단자와 하지절단자의 각각 20.
하지절단자들의 건측 무릎골관절염 발생 원인은? 4%)에 비해 무릎 통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절단자들의 건측 무릎골관절염(knee osteoarthritis) 발생 원인은 절단자들의 비대칭적인 보행 특성과 상대적으로 의지측보다건측의 의존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3 편측 하지절 단자는 의지측의 걸음길이가 건측의 걸음길이보다 길어짐으로써 좌우 비대칭적인 보행을 형성한다.
대퇴절단자 건측 하지의 외측웨지인솔 적용 시 걸음걸이가 대칭적으로 향상된 원리는? 본 연구를 통하여 대퇴절단자 건측 하지의 외측웨지인솔 적용은 대퇴절단자의 보행 시 대칭적인 걸음길이 비율과 발목내반각도의 감소를 가져왔으며, 특히 엉덩 및 무릎관절 내전모멘트의 유의한 감소를 확인하였다. 외측웨지인솔은 과도한발목내반각도를 교정하여 환측으로의 체중심 이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좌우 걸음길이가 대칭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보이며, 발목내반각도 감소로 인한 전체적인 하지정렬의 변화가 엉덩관절 및 무릎내전모멘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본연구는 대퇴절단자의 건측 무릎골관절염 관련 예방 및 치료적 측면에 활용하고자 하며, 향후 추가연구에서 외측웨지인솔 적용에 따른 실제 압력중심의 이동과 발목내반각도의 상관관계 등을 분석해 보행에 미치는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ungerford, D. S. and Cockin, J. N., "Fate of the retained lower limb joints in Second World War amputees," J. Bone Joint Surg. Br., Vol. 57 B, No. 1, p. 111, 1975. 

  2. Norvell, D. C., Czerniecki, J. M., Reiber, G. E., Maynard, C., Pecoraro, J. A., Weiss, N. S., "The prevalence of knee pain and symptomatic knee osteoarthritis among veteran traumatic amputees and nonamputees," Arch. Phys. Med. Rehabil., Vol. 86, No. 3, pp. 487-493, 2005. 

  3. Sanderson, D. J. and Martin, P. E., "Lower extremity kinematic and kinetic adaptations in unilateral belowknee amputees during walking," Gait and Posture, Vol. 6, No. 2, pp. 126-136, 1997. 

  4. Lelas, J. L., Merriman, G. J., Riley, P. O. and Kerrigan, D. C., "Predicting peak kinematic and kinetic parameters from gait speed," Gait and Posture, Vol. 17, No. 2, pp. 106-112, 2003. 

  5. Royer, T. D. and Wasilewski, C. A., "Hip and knee frontal plane moments in persons with unilateral, trans-tibial amputation," Gait Posture, Vol. 23, No. 3, pp. 303-306, 2006. 

  6. Chang, Y. H., Bae, T. S., Kim, S. K., Mun, M. S. and Lee, W. H., "Intact hip and knee joint moment in coronal plane with unilateral transfemoral amputee,"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Vol. 12, No. 1, pp. 129-134, 2011. 

  7. Sharma, L., Hurwitz, D. E., Thonar, E. J., Sum, J. A., Lenz, M. E., Dunlop, D. D., Schnitzer, T. J., Kirwan-Mellis, G. and Andriacchi, T. P., "Knee adduction moment, serum hyaluronan level, and disease severity in medial tibiofemoral osteoarthritis," Arthritis & Rheumatism, Vol. 41, No. 7, pp. 1233-1240, 1998. 

  8. Kerrigan, D. C., Lelas, J. L., Goggins, J., Merriman, G. J., Kaplan, R. J. and Felson, D. T., "Effectiveness of a lateral-wedge insole on knee varus torque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Arch. Phys. Med. Rehabil., Vol. 83, No. 7, pp. 889-893, 2002. 

  9. Yasuda, K. and Sasaki, T., "The mechanics of treatment of the osteoarthritic knee with a wedged insole," Clin. Orthop. Relat. Res., No. 215, pp. 162-172, 1987. 

  10. Jaegers, S. M., Arendzen, J. H. and de Jongh, H. J., "Prosthetic gait of unilateral transfemoral amputees: a kinematic study," Arch. Phys. Med. Rehabil., Vol. 76, No. 8, pp. 736-743, 1995. 

  11. Rabuffetti, M., Recalcati, M. and Ferrarin, M., "Trans-femoral amputee gait: Socket-pelvis constraints and compensation strategies," Prosthetics and Orthotics International, Vol. 29, No. 2, pp. 183-192, 2005. 

  12. Segal, A. D., Orendurff, M. S., Klute, G. K., McDowell, M. L., Pecoraro, J. A., Shofer, J. and Czerniecki, J. M., "Kinematic and kinetic comparisons of transfemoral amputee gait using CLeg and Mauch SNS prosthetic knee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Vol. 43, No. 7, pp. 857-870, 2006. 

  13. Kakou, H., Nagao, Y., Omine, S., Ochi, M., Wada, F., Hachisuka, K. and Togami, H., "The clinical effect of lateral wedge on hemiplegic weight bearing," J .UOEH, Vol. 25, No. 4, pp. 441-446, 2003. 

  14. Su, P. F., Gard, S. A., Lipschutz, R. D. and Kuiken, T. A., "Gait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bilateral transtibial amputation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Vol. 44, No. 4, pp. 491-501, 2007. 

  15. Hof, A. L., van Bockel, R. M., Schoppen, T. and Postema, K., "Control of lateral balance in walking. Experimental findings in normal subjects and aboveknee amputees," Gait & Posture, Vol. 25, No. 2, pp. 250-258, 2007. 

  16. Hurwitz, D. E., Foucher, K. C., Sumner, D. R., Andriacchi, T. P., Rosenberg, A. G. and Galante, J. O., "Hip motion and moments during gait relate directly to proximal femoral bone mineral density in patients with hip osteoarthritis," Journal of Biomechanics, Vol. 31, No. 10, pp. 919-925,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