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업무용 건축물 리모델링 사업성 평가 성능기준
Performance Criteria to Assess the Remodeling Feasibility of Office Building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2 no.2, 2012년, pp.142 - 151  

양극영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  윤여완 (GyeongGi-Province, Disaster Prevention Division) ,  정동환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물의 노후화로 인한 리모델링의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공동주택의 리모델링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고, 일반 업무용 건축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는 일반 업무용 건축물의 경우 건축주나 사용자의 입장에서 투자에 따른 수익이 보장되거나, 건축물 자산가치의 향상이 기대되는 경우에 한해서 리모델링이 진행되어 정확한 통계와 권리분석이 어려운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영세한 건축주의 입장에서는 리모델링에 필요한 자금 확보와 리모델링에 따른 수익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 작업이 어려워 소규모 업무용 건축물은 리모델링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상업용 건축물의 리모델링을 위한 경제성과 가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하기 위하여 기존의 건축물의 가치평가를 위한 기준을 AHP기법 등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분석 등을 통해 리모델링의 가치평가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changes to demands and perceptions according to building deterioratio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remodeling have focused on apartment buildings, which are residential buildings.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buildings for general commercial use, or office buildings. Accord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HP에서 이용하고 있는 고유치 계산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일관성 지수가 산출되며 이를 통하여 의사결정자의 논리적 일관성 유지 여부와 개선을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일관성비율의
  • 값이 10%이내이면 합리적인 일관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고, 20%이내일 경우는 용납할 수 있으나, 20%보다 크면 일관성이 부족 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논리적 일관성을 향상시키고 전문가의 의사를 적극적으로 수치화하여 재개발, 재건축지역내의 건물 리모델링과 관련한 수익구조를 분석하기 위해서 AHP기법을 적용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경제성과 가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 업무용 건축물의 리모델링 사업성 평가를 위한 건축물 성능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일반 업무용 건축물의 리모델링 사업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건축물의 성능평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HP기법은 무엇인가? AHP는 주어진 의사 결정 문제를 계층화 한 뒤, 상위 계층에 있는 한 의사결정 요소의 관점에서 직계 하위 계층에 있는 의사 결정 요소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각 요소에 대한 일대일 비교(pair wise comparison)방식에 의해 측정하여 궁극적으로는 최하위 계층에 있는 의사결정 대안들의 우선 순위를 구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법으로서, 일반적으로 비구조적이고 전략적인 성격이 있는 의사 결정 문제에 적합한 방법론으로 알려져 있다[2].
건축물 성능평가는 무엇인가? 건축물 성능평가란 “사용자들이 기대하는 건축물 성능에 대한 기대치와 대상 건축물의 성능측정치의 비교에 의한 만족도를 측정하여 건축물의 성능을 객관적인 정보로 나타내기 위한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성능이란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과 인간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부여된 총체적인 가치”라고 할 수 있다[7].
건축물 성능평가의 최근 경향은 개별적인 물리적 시스템에 한정되기보다는 공간성능을 비롯한 전체적인 빌딩 시스템(Building System)의 통합적인 평가의 필요성이 강조되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건축물 성능평가의 최근 경향은 개별적인 물리적 시스템에 한정되기보다는 공간성능을 비롯한 전체적인 빌딩 시스템(Building System)의 통합적인 평가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6]. 이것은 하위 시스템 또는 단위시스템효율의 최대화와 함께 전체적인 시스템의 최적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건축물의 성능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법은 사용자 및 소유자의 요구조건을 보다 체계적으로 반영할 수 있어야 하며, 그러한 요구조건에 따른 건축물 시스템의 최적화 과정의 체계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Lee GS, Yang KY, Yun YW. Development of Quality Management in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Compan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Building Construction. 2005 Sep;5(3):117-25. 

  2. Yun YW, Yang KY. A Study on the Risk Analysis of Construction Metho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Building Construction. 2002 Dec;2(4):131-37. 

  3. Bak YS. 3rd party logistics providers using the AHP study on selection criteria [master's thesis]. Chungnam (Korea):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4. 225 p. 

  4. Jang YC. AHP developed by companies on the Selection of Information Systems [dissertation]. Seoul (Korea): Hansung University; 2002. 350 p. 

  5. Yun YW, Yang KY, Park DG. Study on the Selection of Remodeling Method by User's Request Analysis Focused on Apartment Hous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Building Construction. 2004 Jun;4(2):119-20. 

  6. Yang KY, Jung HG, Yun YW. A Study on the Productivity of Form Work by using Work Analysis Method.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Building Construction. 2005 Dec;5(4):131-38. 

  7. Jeong EY. A Concept and Evaluation System of Building Design Performanc.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0 Jul;44(7):23-27. 

  8. Kim CH. A Conceptual Note on the Function of Computer-Aided Facility Management System Related to Building Performance Evaluation. Korea Facility Management Association Journal. 2000 Aug;2(2):5-13. 

  9. Kim BW, Seo JH. The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Office Building Grade Standard for the Efficiency in the Real Estate Market. Korea Facility Management Association Journal. 2001 Feb;3(1):87-95. 

  10. Yoo IG, Yang KY, Kim CH, Yun YW. A Study on the Building of Remodeling Evaluation Mod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Building Construction. 2006 Sep;6(3):67-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