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자의 신체 기능이 의복 착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hysical Functions on Clothing Behavior of Elderly People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14 no.1, 2012년, pp.136 - 143  

이은숙 (경상대학교 의류학과) ,  정수진 (경상대학교 가정교육과) ,  추미선 (경상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hysical functions of elderly people on their clothing behavior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manufacturing comfortable apparels for the elderly. A total of 219 people, with ages between 60s and 70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령자의 신체 기능에 적합한 의복 제작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60세 이상에서 80세 미만의 남녀 고령자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신체 기능 측정을 통해 신체 기능이 의복 착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고령자의 신체 기능이 입고 벗기 쉬운 상의 트임 형태와 바지 입는 자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고령자가 자립하여 보다 쾌적한 의생활을 할 수 있도록 60세 이상 80세 미만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신체 기능 측정을 통해 나이 듦에 따라 변화하는 주관적·객관적 신체 기능이 의복 착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고령자의 신체 기능에 적합한 의복 형태를 제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자가 노화로 가질 수 잇는 문제들은 무엇이 있는가? 고령자는 노화로 인하여 체력수준과 신체적 활동 능력이 저하되며, 이러한 신체적 활동 능력의 저하는 전반적 생활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 고령자에게서 의복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행복한 노후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노화에 따른 신체 기능 저하는 쾌적한 의복 착용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고령자에게서 의복은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가? 고령자는 노화로 인하여 체력수준과 신체적 활동 능력이 저하되며, 이러한 신체적 활동 능력의 저하는 전반적 생활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 고령자에게서 의복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행복한 노후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노화에 따른 신체 기능 저하는 쾌적한 의복 착용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일상생활동작(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중에서 어려운 동작으로 분류되어 있는 의복의 착탈(Soda & Narumi, 2003)을 자립하여 할 수 있는 형태의 의복은 신체 기능 유지와 노화 예방은 물론 긍정적이고 쾌적한 의복 행동을 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고령자의 신체 기능 저하에 대응한 의복을 제공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고령자의 의생활과 관련된 신체 기능 변화로서 관절의 가동역 감소와 근육의 유연성 저하로 인한 상지와 하지의 도달 부위에의 제약, 피부 감각 기능의 저하, 손가락의 정교함과 치밀함의 둔해짐 등을 들 수 있다(Choi, 2002; Tamura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H. S. (2002). Clothing for the elderly. The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 System, 9(1), 1-7. 

  2. Kim, H. Y. (1998). Clothing condition of elderly men.Focusing on somatotype variation and satisfaction with ready-to-we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2), 193- 202. 

  3. Kim, I., & Seong, H. (2002).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elderly women's body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1), 27-38. 

  4. Kim, K. H., Kim, K. B., Choi, M. D., Heo, J., Lee D. S., Park, J. H., Cho, G. R., Kim H. K., & Jeong, D. S. (1996). 수업.연구를 위한 체육측정평가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for teaching and research]. Seoul: Hyungseul Press. 

  5. Kim, S. A., Lee, K. Mi. & Choi, H. S. (2003). Lower body somatotype classification and discrimination of elderly women according to ind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3(6), 117-130. 

  6. Kim, S. H., & Lee, J. R. (2003).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elderly male's body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6), 624-634. 

  7. Kim, S. J., Kim, Y. S., Song W., & Jun, T. W. (2008). 제3기 인생, 운동으로 지키는 건강 [The third stage of life, keeping healthy with exercise].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8. Lee, J. H., & Joo, S. Y. (2005). Size analysis of ready-made clothing for elderly women and fit evaluation according to their body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8), 1092-1101. 

  9. Lee, Y. J., & Kim, J. H. (2007). A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s and wearing sensation of women's ready-to wear.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6(1), 123-135. 

  10. Okada, N. (1999). A physicobehavioral study for clothing design suited to the elderly : Comparisons of physical functions and dressing and undressing abilities among younger, middle and older age groups. Journal of Health and Human Ecology, 65(4), 182-196. 

  11. Okada, N. (2000). Changes in the elderly's physical functions due to aging and their clothing requirements. Japan Society of Home Economics, 51(9), 817-824. 

  12. Okada, N. (2004). Planning clothes for the elderly: The effect of looseness in garments on the ease with which the elderly put on and take off clothing. Japan Society of Home Economics, 55(1), 31-40. 

  13. Okada, N. (2005). Changes in the physical abilities of the elderly and the effect these have on their clothing requirements. Japan Society of Home Economics, 56(6), 363-368. 

  14. Soda, T., & Narumi, T. (2003). Research on the consciousness of persons with motor impairment regarding clothing life. Japan Society of Home Economics, 54(9), 739-747. 

  15. Soda, T., & Narumi, T. (2004). Problems with clothing that people with motor impairments face upon dressing and undressing and their consciousness toward clothing adaptation. Japan Society of Home Economics, 55(2), 967-974. 

  16. Statistics Korea. (2006). Population projections. Retrieved November 3, 2009, from http://www.kostat.go.kr 

  17. Tamura, T., Koshiba, T., & Hirata, K. (2004). 衣環境の科? [Clothing Environmental Science]. Tokyo: Kenpakusha. 

  18. Yoo, S. H., & Nho, H. S. (2001). Measurement on the physical fitness of daily living and development of index for the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0(3). 565-5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