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한 토마토 재배시설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of Greenhouse for Tomato Cultivation Using Delphi Survey Method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21 no.4, 2012년, pp.466 - 477  

유인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조명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이응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류희룡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  김영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시험장)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토마토 재배시설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예비 평가항목을 추출하고,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평가 항목, 등급 및 기준으로 구성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토마토 재배 및 시설 관련 교수, 연구원, 농업인(현장 사용자) 등으로 구분하여 100명의 전문가 패널을 선정하였으며, 1차부터 3차까지 폐쇄형 질문 방식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확정된 평가 항목은 4개 대분류 영역과 39개 세부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졌다. 대분류 영역은 시설 구조적 요소, 시설 설비적 요소, 재배적 요소, 생산 기반적 요소이며, 요소별로 각각 9개, 15개, 7개, 8개씩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39개 평가항목별로 가중치를 산정하고, 등급 및 기준을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지표는 새로운 시설 모델 개발, 사용 중인 시설에서 우선적으로 보완해야 될 사항을 판단하거나 정부 지원사업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comprehensive indicators which can be used for evaluating greenhouse for tomato cultivation. To achieve this aim, the study developed the evaluation indicators composed of evaluation items, grades and criteria by extracting preliminary evaluation items through analyz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 재배 및 시설 관련 전문가, 농업인을 중심으로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토마토 재배시설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항목 선정, 각 항목별 가중치 산정 및 평가 등급기준을 설정하여 토마토 재배시설을 평가하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토마토 재배시설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예비 평가항목을 추출하고,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평가 항목, 등급 및 기준으로 구성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결정된 각 평가항목별 가중치 산정 결과를 패널에게 제공하였다. 이와 함께 관련 문헌 및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작성한 평가지표안(평가 등급 및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패널의 의견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전문가 집단 구성과 3차례 설문조사에서 패널의 응답률은 Table 2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마토 생산량은 무엇의 영향을 받나? 그러나 기후 조건이나 자연 환경 및 사회적 요인 등의 차이로 인해 지역 또는 농가별로 다양한 형태의 재배시설이 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토마토 생산량은 시설 구조, 설비 여건, 토양 및 기상조건, 재배기술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토마토 생산량 및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후시설은 교체하거나 재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설비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토마토 생산량 및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농가에서는 어떤 의사결정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가? 토마토 생산량 및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후시설은 교체하거나 재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설비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농가마다 생산 환경과 노동력 수준, 경제성 등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최적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농가에서는 시설의 규격, 형식을 어떻게 개선하여야 하는지 또는 각종 설비들을 도입하고자 할 때 어떤 기준에 의하여 도입 우선순위를 결정할 것인지 등은 매우 중요한 의사결정 요소가 된다. 토마토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배시설의 평가를 통하여 체계적인 시설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생산성을 중심으로 한 재배시설의 시설구조·장치의 효율성 및 안전성을 엄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토마토 재배는 어떤 형태로 전환되었는가? 우리나라 토마토 재배는 1980년대 중반까지는 대부분 노지재배 중심이었으나,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시설재배면적이 늘어나면서 시설재배 형태로 급속하게 전환되었다(Jun, 2011). 우리나라 토마토 시설면적은 2001년 3,218ha에서 2011년 현재 5,850ha로서 약 82% 정도로 증가하였지만, 10a당 토마토의 생산량은 2001년 6,222kg, 2011년 6,294kg으로 거의 정체상태에 있다(MIFAFF,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n, Y.U., J.I. Baek, M.A. Kim, and J.O. Yoon. 2008. Classifying rural landscape types and developing rural landscape evaluation indicators using expert Delphi survey method. J. Kor. Soc. Rural Planning 14(3):53- 61 (in Korean). 

  2. Chae, Y.M., S.C Roh, and S.C. Jung. 2010. Development of quality assessment domain and its priority in Korea's occupational health services. Kor. J. Occup. Envrion. Med. 22(3):210-220 (in Korean). 

  3. Choi, M.A., J.M Ro, and J.H. Koo. 2009.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evaluation criteria and their weights of nightscape plannings. J. of Urban Design 10(3):107-122 (in Korean). 

  4. Dalky, N.C. 1969. The Delphi method: An experimental study of group opinion. The RAND Corporation, RM-5888-PR. 

  5. Hwang, H.C. 2007. The selection of evaluation items and the estimation of its weight for rural development program. J. Kor. Soc. Rural Planning 13(2):17-26 (in Korean). 

  6. Hwang, H.C., N.H.. Lee, J.W. Jeong, S.W. Nam, and S.G. Hong. 1998. Assessment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protected cultivation facilities. J. Kor. Soc. Rural Planning 4(1):86-97 (in Korean). 

  7. Hwang, H.C., N.H.. Lee, J.W. Jeong, S.W. Nam, S.G. Hong, and J.S. Kim. 1999.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model of location suitability for protected horticulture. J. Kor. Soc. Rural Planning 5(2):30-37 (in Korean). 

  8. Jun, J.H. 2011. A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of sweet pepper and tomato industries of Korea and the Netherlands. Ph.D. thesis. Chonnam Nat'l Univ. (in Korean). 

  9. Jung, N.S. 2005. Development of surveying tables and items for rural amenity resources assesment. J. Kor. Soc. Rural Planning 11(4):9-15 (in Korean). 

  10. Kelinger, F.N. 1989. Foundations of behavioral research. Univ. of Oregon. 

  11. Kim, D.S and H.S. Choi. 2007. Development of greentourism potential evaluation method for rural villages considering amenity and human resources. J. Kor. Soc. Rural Planning 13(2):7-16 (in Korean). 

  12. Kim, E.J. and Y.H. Lee. 2007. A study on development of evaluation cirterion for rural amenity. J.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39(3):125-154 (in Korean). 

  13. Ko, S.B. 2007. Development of landscape resource assessment systems of Jeju island's fencing farming land for the introduction of direct payment system of the landscape preservation and its application. J. Kor. Soc. Rural Planning 13(3):123-133 (in Korean). 

  14. Kim, S.B, S.Y. Rhee, N.S. Jung, J.M, Lee, S.J. Cho, and J.J. Lee. 2004. Standardized surveying method of rural amenity resources with database normalization technique. J. Kor. Soc. Rural Planning 10(4):1-7 (in Korean). 

  15. Kim, S.Y.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ural amenity resource evaluation items. Master. thesis. Chonbuk Nat'l Univ. (in Korean). 

  16. Lee, H.S. 2007. A Development of integrated evaluation criteria for level of service on urban roadways. Ph.D. thesis. Hanyang Nat'l Univ. (in Korean). 

  17. Lee, S.W. and S.D. Yun. 2008. Quantitative approaches for agricultural and rural policy evaluation. J. Kor. Soc. Rural Planning 14(4):97-108 (in Korean). 

  18.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12. The status of the greenhouse and production records for vegetable crops in 2011. p. 98 (in Korean). 

  19. Murry, Jr. J.W., and J.O. Hammons. 1995. Delphi: A versatile methodology fo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The Review of Higher Education. 18(4):423-436. 

  20. Nam, S.W. and Y.S. Kim. 2009. Actual state of structures and environmental control facilities for tomato greenhouses in Chungnam region. J. Agri. Sci. Chungnam Nat'l Univ. 36(1):73-85 (in Korean). 

  21. Park, K.Y. 2008. Multidimensional sanitary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sanitary management of the restaurant kitchens. Ph.D. thesis. Kyonggi Univ. (in Korean). 

  22. Seo, D.W., et al. 2009. Design guide on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for controlled agricultur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in Korean).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