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람 대화의 흐름과 상호작용의 양상에 기반한 자연사 전시관의 전시물과 관람객 간 상호작용적 학습 사례 연구
A Case Study for Interactive Learning between Visitors and Exhibits in a Natural History Hall Focused on the Discourse Flow and the Modes of Visitors' Own Interaction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2 no.7, 2012년, pp.1251 - 1268  

최문영 (서울대학교) ,  맹승호 (강원대학교) ,  박은지 (서울대학교) ,  정원영 (한국환경교육연구소) ,  김찬종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자연사 전시관에서 중학생들의 또래간 자유 관람 시 형성되는 전시물을 매개로 한 상호작용적 학습 과정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연구 자료로 관람객들의 상호작용이 활발했던 5건의 관람 사례를 선정하였다. 각 관람 사례에서 대화의 흐름에 근거한 관람객의 의미 구성 과정 및 전시물의 특성에 따른 관람 대화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관람 대화의 레지스터 분석 및 상호작용 양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시물이 제공하는 정보는 관람객의 대화에 주제부로 반영되고, 관람객들은 주제부에 대한 정보를 설명부에 제시하여 서로 교환함으로써 전시물에 대한 주체적인 의미를 구성하였다. 한편, 전시 패널에 의문형의 문장을 사용하여 관람객의 논증을 유도하거나, 유사한 전시물들이 함께 제시되어 관람객에게 전시물 간의 비교를 유발하는 방식으로 관람객들의 의미 형성을 촉진하였다. 전시물을 매개로 한 관람객 간의 상호작용 양상의 특징을 보면, 관람객들의 의미 구성 과정에서 전시물에 대한 관람객의 의견뿐만 아니라 전시물이 가진 '정보' 자체도 의미를 구성하기 위한 심층인지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의 요소로 빈번하게 사용되어 관람 대화에서 정보의 구조가 상호작용 양상에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연사 전시관에서 관람객의 협력적인 과학 학습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관람객들이 전시물의 정보를 선택하여 관람 담화로 구성하는 양상을 자세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several cases of interactive learning mediated by exhibits in a natural history hall during visits by middle school students. Five visiting cases were selected, in which visitors engaged actively i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m. Each visiting case was analyzed in terms of 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연사 전시관의 담화 연구로서 가능한 한 많은 사례를 분석하면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겠지만, 이 연구는 관람객의 관람 대화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보인 사례의 전시물의 특성을 파악하고, 관람객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의미를 형성하는 대화의 구조와 흐름을 심층적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었다. 그래서 많은 담화 사례를 분석하기보다는 그 양상이 뚜렷한 대화 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기술과 이해를 목표로 하여 연구 결과를 작성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집한 관람 사례 중에서 관람객들의 상호작용을 통한 의미 구성 과정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대화 사례의 대상이 되는 전시물은 성게, 해백합, 스테고사우루스, 암모나이트였다.
  •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또래 간의 자유 관람 상황에서, 전시물을 매개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사례를 대화의 주제와 정보의 흐름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관람 대화의 흐름과 관람 시 형성된 상호작용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관람객과 전시물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람자가 전시물에 대한 의미를 구성할 때 전시물의 특성이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관람객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발했던 관람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문제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1차 선별된 8건의 관람 에피소드 중 관람자들의 발화 교환이 활발한 5건의 관람 담화 사례를 최종 선정하고 담화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자연사 전시관의 담화 연구로서 가능한 한 많은 사례를 분석하면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겠지만, 이 연구는 관람객의 관람 대화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보인 사례의 전시물의 특성을 파악하고, 관람객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의미를 형성하는 대화의 구조와 흐름을 심층적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었다. 그래서 많은 담화 사례를 분석하기보다는 그 양상이 뚜렷한 대화 사례에 대한 심층적인 기술과 이해를 목표로 하여 연구 결과를 작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관이나 자연사 박물관의 특징은? 과학관이나 자연사 박물관은 어린이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관람객과 전시물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비형식적 교육의 장으로서 일반 대중을 위한 평생교육뿐 아니라 학생들의 학교 밖 교육 활동의 공간으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갖는다(최지은, 2004). 이 곳의 관람 유형을 관람자 구성을 기준으로 분류해보면, 관람 사례 중 95% 이상이 친구나 가족과 동행한 그룹 관람임이 밝혀진 바 있다(최지은 외, 2004).
전시물과 패널(panel) 및 레이블(label)의 이점은? 한편, 전시물과 패널(panel) 및 레이블(label)은 자연사 박물관의 주요 매체로서 관람객에게 전시물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나타내어 효과적인 과학 학습을 돕는다. 즉, 관람객들은 박물관의 전시물을 특정한 개념이나 이론을 설명하는 예시물로 이해하고, 스스로 그 전시물의 의미를 풀어내고 기존의 경험이나 지식과 연결시켰을 때 박물관 학습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Leinhardt & Crowley, 2002).
자연사관에서 학생들이 자유 관람하는 동안에 진행되는 학습 과정으로서의 대화를 연구할 때는 전시물을 매개로 하여 어떻게 그 대화가 진행되는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 이유는? 한편, 전시물과 패널(panel) 및 레이블(label)은 자연사 박물관의 주요 매체로서 관람객에게 전시물이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나타내어 효과적인 과학 학습을 돕는다. 즉, 관람객들은 박물관의 전시물을 특정한 개념이나 이론을 설명하는 예시물로 이해하고, 스스로 그 전시물의 의미를 풀어내고 기존의 경험이나 지식과 연결시켰을 때 박물관 학습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Leinhardt & Crowley, 2002). 이에 대해 Rowe(2002)는 전시물이 관람객들의 경험과 관람객의 학습을 매개시켜 관람객들이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박물관의 사회문화적 학습에서 전시물의 역할의 중요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자연사관에서 학생들이 자유 관람하는 동안에 진행되는 학습 과정으로서의 대화를 연구할 때는 전시물을 매개로 하여 어떻게 그 대화가 진행되는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기상, 허준영, 이선경, 김찬종 (2007). 비형식 교육환경에서 일어나는 부모와 아동의 대화 특성: ZPD 체계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832-847. 

  2. 김찬종, 박은지, 윤세열, 이선경 (2012).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의사소통을 위한 지구과학 관련 전시 라벨의 서술 특징. 한국지구과학회지, 33(1), 95-110. 

  3. 김찬종, 박은지, 이선경, 이주연, 정원영 (2009). 자연사관 관람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대화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한국지구과학회지, 30(7), 909-920. 

  4. 김찬종, 신명경, 이선경 (2010). 비형식 과학학습의 이해. 서울: 북스힐. 

  5. 맹승호, 신명환, 차현정, 함석진, 신현정, 김찬종 (2010). 지구과학 논문의 언어 특성 이해: 레지스터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1(7), 785-797. 

  6. 박은지, 이선경, 김찬종, 김기상 (2010). 화석 전시물에 대한 질문카드 개발 및 활용 여부에 따른 관람 중 소통의 특징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799-814. 

  7. 신현정 (2011). 과학관 전시물의 학습 어포던스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과학 학습 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8. 이정아, 맹승호, 김찬종 (2008). 과학수업담화의 새로운 독법: 교수학적 담화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832-847. 

  9. 정원영 (2010). 자연사 전시관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반 환경 학습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10. 정원영, 이주연, 박은지, 김찬종, 이선경 (2009). 자연사관 관람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대화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한국지구과학회지, 30(7), 909-920. 

  11. 최지은 (2004). 자연사 박물관 관람객의 관람유형과 관람만족도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지, 25(5), 315-326. 

  12. 최지은, 이선경, 신명경, 임진영, 변호승, 이선경, 이창진, 김찬종 (2004). 자연사 박물관의 예비관람객의 요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2), 91-106. 

  13. Allen, S. (2002). Looking for learning in visitor talk; A methodological exploration. Learning conversation in museums.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4. Ash, D. (2003). Dialogic Inquiry in life science conversations of family groups in a museu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2), 138-162. 

  15. Ballantyne, R., & Packer, J. (2005). Promoting environmentally sustainable attitudes and behaviour through free choice learning experiences: what is the state of the game?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1(3), 281-295. 

  16. Brown, J. S., Collins, A., & Duguid, P. (1989).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18(1), 32-42. 

  17. Eggins, S. (2004).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2nd ed.). London: Comtinuum. 

  18. Falk, J. H., Dierking, L. D., & Adams, M. (2006). Living in a learning society: Museums and free-choice learning. In S. Macdonald (Ed.), A Companion to Museum Studies, (pp. 323-339). New Jersey: Wiley-Blackwell. 

  19. Fang, Z. & Schleppegrell, M. J. (2008). Reading in secondary content areas: A language-based pedagogy. Ann Arbor: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 Frederiksen, C. H. (1999). Learning to reason through discourse in a problem based learning group. Discourse Processes, 27(2), 135-160. 

  21. Halliday, M. A. K. & Matthiessen, C. M. I. M. (200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3rd ed.). London: Armold. 

  22. Hein, G. E. (1995). The constructivist museum. Journal of Education in Museums, 16, 21-23. 

  23. Hogan, K., Nastasi, B. K., & Pressley, M. (1999). Discourse patterns and collaborative scientific reasoning in peer and teacherguided discussions. Cognition and instruction, 17(4), 379-432. 

  24. Hooper-Greenhill, E. (2007). Museums and education: Purpose, pedagogy, performance. Philadelphia: Taylor & Francis. 

  25. Lee, S-K., & Kim, C-J. (2007). Understanding visitor learning in a natural history museum: A case of dyadic discour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2), 134-143. 

  26. Leinhardt, G., & Crowley, K., (2002). Objects of learning, objects of talk: Changing minds in museums. In S. G. Paris (Ed.), Perspectives on object-centered learning in museums, (pp. 301-324),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7. Leinhardt, G., Crowley, K., & Knutson, K. (2002). Learning conversations in museums. London: Routledge. 

  28. Maeng, S. & Kim, C.-J. (2011). Variations in science teaching modalities and students' pedagogic subject positioning through the discourse register and language code. Science Education, 95(3), 431-457. 

  29. Ogborn, J., Kress, G., Martins, I., & McGillicuddy, K. (1996). Explaining science in the classroom.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30. Paris, S. G. (2002). Perspectives on objectcentered learning in museums.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1. Piscitelli, P., & Weier, K. (2002). Learning with, through, and about art: The role of social interactions. In S. G. Paris (Ed.), Perspectives on object-centered learning in museums, (pp. 121-151),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2. Rowe, S. (2002). The role of objects in active, distributed meaning-making. In S. G. Paris (Ed.), Perspectives on object-centered learning in museums, (pp. 19-35).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3. Sachatello-Sawyer, B. (2002). Adult museum programs: Designing meaningful experiences. Maryland: Altamira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