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장석 조면현무암의 장석 성분에 대한 연구
Plagioclase Composition of Feldspar Trachybasalt in Jeju Island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1 no.3 = no.69, 2012년, pp.309 - 333  

예남희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윤성효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고정선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석 반정을 함유한 현무암이 제주도 한라산을 중심으로 남북 방향에서 주로 발견되는데, 그 중 하나인 남쪽사면에 있는 시오름 조면현무암에 반정으로 장석이 매우 우세하게 나타난다. 사장석 반정의 함량이 $10cm^2$ 단위 면적에서 약 20개로 매우 우세하며 연구지역에서 측정된 667개 사장석 결정의 크기는 장축 길이는 최대 13.0mm, 최소 0.7mm 정도(평균 4.2mm), 단축 길이는 최대 8.6mm, 최소 0.5mm 정도(평균 2.3mm)로 측정되었다. 모우드분석 결과에 따르면 시오름 조면현무암은 반정이나 미반정으로 사장석(16~28%), 감람석과 단사휘석(1.5~6%), 자철석이나 티탄철석과 같은 불투명광물(~0.1%)로 이루어졌으며 은미정질 석기는 60~82%이다. 사장석, 감람석, 단사휘석 반정의 성분들은 각각 비토우나이트~안데신, 크리소라이트~하이알로시더라이트, 보통휘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장석 반정은 정상누대구조, 역누대구조, 진동누대구조, 패치형누대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보여준다. 사장석의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가면서 An함량은 증가한다.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가면서 An함량이 감소하다가 외곽부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가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진동누대구조를 보이면서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가면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사장석 반정의 중심과 연변부에 융식된 구조를 가지며 일부 최외곽부가 멜트에 의해 융식되어 타형을 이루거나 혹은 잔존구조만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사장석과 단사휘석 반정의 핵에서 연변부로 감에 따라 성분의 변화와 암석기재적 특징은 멜트에서 비평형상태에 있었음을 지시하며, 또 매우 매픽하고 높은 온도의 멜트의 재공급에 의해 마그마 혼합을 포함하는 결정작용 동안의 마그마방에서 지질학적 환경변화가 진행되었음을 나타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alt having lots of feldspar phenocryst occurred at the northern and southern slope of the Mt. Halla, Jejudo. Among them, the Sioreum trachybasalt in southern slope consists of abundant phenocrysts of plagioclase in aphanitic groundmass. And the number of plagioclase grains are about 20 per $...

주제어

참고문헌 (22)

  1. 고정선, 윤성효, 현경봉, 이문원, 길영우, 2004, 제주도 우도 단성화산의 현무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14, 45-60. 

  2. 홍현주, 2005, 제주도 대포동 현무암에 발달한 지삿개 주상절리의 형태학 및 암석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2p. 

  3. 박기화, 이병주, 조등룡, 김정찬, 이승렬, 김유봉, 최현일, 1998, 제주.애월 도폭 지질 보고서. 제주도, 290p. 

  4. 박기화, 이병주, 조등룡, 김정찬, 이승렬, 김유봉, 이한영, 조병욱, 장영남, 손병국, 전희영, 김용욱, 2000, 서귀포.하효리 도폭 지질 보고서. 제주도, 163p. 

  5. 원종관, 이문원, 윤성효, 고보균, 1998, 제주도 남동부 표선 지역 화산암류의 지구과학적 특징. 지질학회지, 34, 172-191. 

  6. Anderson, A.T., 1968, Oxidation of the La Blache Lake titaniferous magnetite deposit. Quebec. Journal of Geology, 76, 528-547. 

  7. Banerjee, R. and Iyer, S.D., 1989, Petrography of the Carlsberg Ridge basalts. Indian Journal of Marine Science, 18, 124-127. 

  8. Batemann, P.C. and Chappell, B.W., 1979, Crystallization, fractionation, and solidification of the Tuolumne Intrusive Series, Yosemite National Park, Califormia. Bulletin of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90, 465-482. 

  9. Bryan, W.B. and Moore, J.G., 1977, Compositional variations of young basalts in the Mid-Atlantic Ridge rift valley near latitude $36^{\circ}$ 49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88, 556-570. 

  10. Carmichael, I.S.E., 1967, The iron-titanium oxides of salic volcanic rocks and their associated ferromagnesian silicates.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104, 208-224. 

  11. Deer, W.A., Howie, R.A, and Zussman, J., 1963, Rock forming mineral. Longmans Group Ltd, London, England, 435p. 

  12. Dungan, M.A. and Rhodes, J.M., 1978, Residual glasses and melt inclusions in basalts from DSDP Legs 45 & 46: evidence for magma mixing.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67, 417-431. 

  13. Elthon, D., 1984 Plagioclase buoyancy in oceanic basalts: chemical effects. Geochimica Cosomchimica Acta., 48, 753-763. 

  14. Fisk, M.R., 1984. Depths and temperatures of mid-oceanic ridge magma chambers and the composition of their source magmas. In: Ophiolites and oceanic lithosphere (eds. Gass. I. G., Lippard. S. J. and Shelton. A. W.), Blackwell Sci. Publ, Oxford, 17-23. 

  15. Grove, T., Baker, M.B and Kinzler, R.J., 1984, Coupled CaAl-NaSi diffusion in plagioclase feldspar: Experiments and applications to cooling rate speedometry. Geochimica Cosomchimica Acta, 48, 2113-2121. 

  16. Irvine, T.N. and Baragar, W.R.A., 1971, A guide to the 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common volcanic rocks.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 8, 523-548. 

  17. Kuo, L.C. and Kirkpatrick, R.J., 1982, Pre-eruptive history of phyric basalts from DSDP Legs 45 and 46 : Evidence from morphology and zoning patterns in plagioclase.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79, 13-27. 

  18. Le Martre, R.W., 1989, A propose by the IUGS subcomission on the systematics of igneous rocks for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 silica (TAS) diagram. Australian Journal of Earth Scienec, 31, 243-255. 

  19. Lee, M.W., 1982,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Jeju volcanic is land, Korea. The Sciened Reports of the Tohoku University, Tohoku University, Sendai, Japan, series 3, 15, 177-256. 

  20. Meyer, P.S. and Shibata, T., 1990. Complex zoning in plagioclase feldspars from ODP Site 648. In: Proc. Oceandrilling Project Science Results 106/109(eds. R. Detrick, J. Honnorez, et al.), College Station, Texas, 123-142. 

  21. Morimoto, N., 1989, Rock-forming mineral. Tokyo Universeity Press, 239p. 

  22. Shibata, T., DeLong, S.E. and Walker, D., 1979, Abyssal tholeiites from the Oceanographer Fracture Zone I. Petrology and fractionation.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70, 89-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