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평창, 영월(강원도)의 석회암 지역 식물상
Floristic Study of County Pyeong-chang and Yeong-wol including Limestone Regions (Prov. Gangwon-do) from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1, 2012년, pp.11 - 38  

남기흠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김중현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김영철 (한국자생식물원) ,  김진석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이병윤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중부에 위치한 평창, 영월 지역은 석회암 지역이며 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2010년 3월부터 10월까지의 조사로 평창, 영월 지역의 식물상을 밝혀 석회암 지역 식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 지역의 식물상은 134과 503속 1,010종 11아종 110변종 10품종 4잡종의 1,145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환경부 법적보호인 멸종위기야생식물은 7분류군이며, 한국고유종은 50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238분류군으로 5등급 24분류군, 4등급 30분류군, 3등급 60분류군, 2등급 45분류군, 1등급 79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82분류군이었으며, 본 조사지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특이하게 분포하는 식물은 5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석회암 지역에서만 분포가 확인되는 식물은 35분류군이며, 격리되어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은 15분류군, 해안성 식물은 3분류군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Pyeong-chang and Yeong-wol (Gangwon-do) areas are limestone regions that are important biogeographically showing the peculiar flora. In order to manage efficiently endangered and rare plant species, we have investigated flora of these above reg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평창, 영월을 중심으로 석회암지대에 나타나는 식물상을 밝히고 식물지리학적 분포 특이성과 중요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석회암지역은 어디인가? 한국의 석회암지역은 주로 강원도 남부와 충청북도 북부지방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경북의 울진, 문경, 안동, 충북 괴산, 영동, 전북 진안, 전남 장성, 화순 등지에 산재되어 있다(Park, 1981). 석회암지대의 대부분은 Cambro-Ordovice기에 해당하는 고생대 조선계의 대석회암통(조선누층군)에 속하며, 일부 평안누층군과 시생대의 변성퇴적암층이 협재되어 있다(Park, 1981).
조사지역에 대한 조사기간은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는 2010년 3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총 16회 27일간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에서 영월군 영월읍까지의 평창강 유역,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에서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까지의 남한강 상류유역, 그리고 영월군과 단양군의 경계에 위치한 태화산 일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석회암층이 나타나는 강변에서 직경 약 5㎞ 일원의 지천변과 인근산지를 주요 조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석회암 지역이 무슨 특징이 있기에 다른 생태계의 구조를 가지는가? 석회암지대의 대부분은 Cambro-Ordovice기에 해당하는 고생대 조선계의 대석회암통(조선누층군)에 속하며, 일부 평안누층군과 시생대의 변성퇴적암층이 협재되어 있다(Park, 1981). 석회암 지역의 토양은 다량의 칼슘과 탄산이온을 함유하고 있어 pH가 높고(중성 또는 약알칼리성), 단립구조가 발달하여 배수가 잘되기 때문에 다른 토양보다 쉽게 건조해지는 등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특징으로 비석회암지대와는 다른 생태계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oshiok, 1973; Kim et al., 1990;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hang, C.S. and H. Kim(2001) The Flora of Mt. Baekdeok.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pp. 138-171. (in Korean) 

  2. Chung, G.Y.(1994) A study on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and conservation in Todam Sambong area, limestone region. Bull. KACN. 13: 99-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ronquist, A.(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 Press, New York. 1,262pp. 

  4.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1,482pp. 

  5. Hong, H.H. and H.T. Im(1997) A Floristic and Conservational Study on Mt. Chabyong. Bull. KACN 16: 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ong, M.P. and Y.C. Kim(2008) A study on the flora of Nature conservation area in Dong river.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66pp. (in Korean) 

  7. Im, H.T., H.H. Hong and C.I. Choi(1997) Saussurea chabyoungsanica Im (Compositae), a New Species from Mt. Chabyoung-san, Korea. J. Plant Biol. 40(4): 288-290. 

  8. Kim, C.H. and M.K. Han(1998) The Flora of Dong river area.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pp. 109-156. (in Korean) 

  9. Kim, J.H., H.T. Mun and Y.S. Kwak(1990)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s in Limestone Areas. Korean J. Ecol. 13(4): 285-2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J.H., H.T. Mun and Y.S. Kwak(1991)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Chinese Cork Oak (Quercus variabilis) Forests in Limestone Area. Korean J. Ecol. 14(2): 159-169. 

  11. Kim, J.H., Y.S. Kwak and H.T. Mun(1992) Classification of Calcicoles and Calcifuges on the Basis of the Ratio of Soluble to Insoluble $Ca^{2+}$ and $Mg^{2+}$ in the Leaves. Korean J. Eco. 15(3): 311-328. 

  12. Kim, J.S., B.C. Lee, J.M. Chung and J.H. Pak(2005) Flora and Phytogeography on Mt. Deokhang (Gangwon-do), Limestone area in Korea. Korean J. Pl. Taxon. 35(4): 337-3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J.S., J.M. Chung, S.Y. Kim and J.H. Pak(2009) Clematis calcicola J. S. Kim: A new species of Clematis sect. Atragene (Ranunculaceae) from Korea. Korean J. Pl. Taxon. 39(1): 1-3. 

  14. Kim, Y.C., H.H. Chae, J.W. Yoon, J.H. Kwak and H.S. Jeon(2009) The Flora of Seo river in Yeongwol. Korea Botanical Garden, pp. 1-51. (in Korean) 

  15. Kitagawa, M.(1972) Notulae fractae ob flora Asiae orientalis (29). J. Jap. Bot. 47: 355-357. 

  16. Lee, H.J., M.P. Hong, H.J. Jang and M.J. Jang(2007) Survey on the Ecosystem of Nature conservation area in Dong river. Wonju Regional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pp. 15-52. (in Korean) 

  17. Lee, H.S.(1991) Studies on the Characters of Soil and Flora on Limestone Area, Danyang. Seowon Univ. J. Basic Sciences 5: 67-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T.B.(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791pp. (in Korean) 

  19.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I, II. Hyangmunsa, Seoul, 914pp, 910pp. (in Korean) 

  20. Lee, W.B., Y.M. Jeon and C.I. Choi(2002) Flora in the Dong River Valley, Korea. Korean. J. Limnol. 35(5): 396-4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W.T. and K. Heo(2001) The Flora of Mt. Sambang(979m) and Its adjacent regions.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pp. 86-145. (in Korean) 

  22. Lee, W.T.(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855pp. (in Korean) 

  23. Lee, W.T.(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1,688pp. (in Korean) 

  24.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ee, Y.N. and Y.C. Oh(1970) Flora of Dodamsambong area of Tanyang. J. Korean Res. Inst. Better Living(Ewha Women's Univ.) 5: 101-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Lee, Y.N. and Y.C. Oh(2006) A new genus and a new species of Cyperaceae. Bull. Korea Pl. Res. 6: 24-26. 

  27. Lee, Y.N.(2000) Pulsatilla in Korea. Bull. Korea Pl. Res. 1: 1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Lee, Y.N.(2006) New Flora of Korea I, II. Gyohaksa, Seoul, 974pp, 885pp. (in Korean) 

  29. Melchior, H.(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Nikolasse, 666pp. 

  30. Min, W.K., C.S. Chang, J.I. Jeon, H. Kim and D.Y. Choi(2002) Flora of Mt. Baek-deok-san. Bull. of Seoul Nat'l Univ. Arboretum 22: 20-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Ministry of Environment(2005) Endemic species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pp. 325-417. (in Korean) 

  32. Ministry of Environment(2006) A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pp. 114-155. (in Korean) 

  33. Oh, B.U. and Y.S. Kim(2001) The Flora of Mt. Taehwa.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pp. 72-114. (in Korean) 

  34. Oh, Y.C.(2006)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1. Monocotyledoneae, Cyperacea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757pp. (in Korean) 

  35. Park, B.S.(1981) A study on the Phytogeography of Limestone Caverns in Korea. Hansa Univ. 11: 55-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Park, S.H.(1995) Colou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 of Korea. Ilchokak, Seoul, 371pp. (in Korean) 

  37. Park, S.H.(2001) Colou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 of Korea(Appendix). Ilchokak, Seoul, 178pp. (in Korean) 

  38. 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575pp. (in Korean) 

  39. Smith, A.R., K.M. Pryer, E. Schuettpelz, P. Korall, H. Schneider and P.G. Wolf(2006)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Taxon 55: 705-731. 

  40. Sun, B.Y., J.O. Hyun, C.H. Kim and J.K. An(2002) Report on the Ecosystem of Dong River area. Ministry of Environment, pp. 115-134. (in Korean) 

  41. Yoshiok, K.(1973) Plant geography. Kyoritsu Shup Pan Co. Ltd., Tokyo, 83pp.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