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회암지대 석병산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Limestone Area, Mt. Seokbyeong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9 no.2, 2016년, pp.241 - 263  

송재모 (강원도산림개발연구원) ,  손호준 (국립산림과학원) ,  김영설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  김세창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  이다현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  박완근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  권순재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석병산 일대를 대상으로 2015년 3월부터 10월까지 관속식물 상에 대한 계절별 현지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석병산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102과 295속 454종 4아종 51변종 7품종으로 총 516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특산식물은 17과 24속 25종 1변종으로 총 26분류군이 나타났고, 이는 한국특산식물 360분류군의 7.2%에 해당한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21과 33속 33종 3변종 36분류군이 조사되었고, 환경부 지정 적색식물목록은 13과 17속 17종 1변종 총 1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그 중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에 해당하는 복주머니란과 개병풍이 포함되었다. 석회암지대의 지표식물은 총 36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산림청이 제시한 109개 분류군의 33.0%이며, 석병산에서 조사된 519분류군 중 6.9%에 해당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9분류군, IV등급 20분류군, III등급 35분류군, II등급 26분류군, I등급 42분류군으로 총 13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18분류군이 나타났으며, 귀화율은 3.4%, 도시화지수는 5.6%이었고,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특산식물 13분류군, 남방계식물 2분류군, 북방계식물 33분류군으로, 총 29과 41속 47종 1변종 총 48분류군이 발견되었다. 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조사지역인 석회암지대 석병산 일대는 백두대간의 한 축으로서 다양한 식물상을 보여주며, 식물 구계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임과 동시에, 희귀·멸종위기식물과 북방계 식물 및 기후변화 취약식물들의 중요한 피난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반면, 각종 개발로 인한 많은 훼손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vascular plants on Mt. Seokbyeongsan (1,055 m) and provide a basis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lant resources. The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from March to October 2015. The flora on Mt. Seokbyeongsan was classified as follows: 102 families, 2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석병산의 식물상을 조사하여 주요 식물들의 효율적인 관리와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미 훼손된 다른 석회암지대의 식생을 복원하기 위한 과학적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활용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ung, Y.G. 1994. A study on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and conservation in Todam Sambong area, limestone region. Bull. KACN. 13:99-199. 

  2. Hong, H.H. and H.T. Im. 1997. A floristic and conservational study on Mt. Chabyong. Bull. KACN. 16:1-19. 

  3. Joo, M.J., S.J. Ji, S.K. So, S.Y. J, H.J. Kim, K.S. Chang, K. Choi, C.H. Shin and J.C. Yang. 2015. The Flora of Mt. Nochu, Korea. Proceedings of Korean J. Plant Res. Spring. p. 65 (in Korean). 

  4. Jung, S.Y. 2014.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IAP) in South Korea. Department of Bioresource Sciences Ph.D. Thesis, Andong National Univ., Korea. p. 82 (in Korean). 

  5. Jung, Y.S. and E.J. Hong. 2003.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flora on Limestone Area, Danyang and Yeongwol. Institute of Basic Science Kangwon University 14:143-158. 

  6. Korean Forest Service. 2012. http://www.forest.go.kr/ 

  7. Korean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332 (in Korean). 

  8. Korean National Arboretum.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492 (in Korean). 

  9. Korean National Arboretum. 2012. The Plants in limestone areas. p. 141 (in Korean). 

  10. Korean National Arboretum. 2013.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 in Korea. Korean National Arboretum, http://www.nature.go.kr/ 

  11. Kim, B.W. and Y.J. Oh. 2000. Classification of Calcicoles and Calcifges in Mt. Jabyeong. Cave 61:17-46 (in Korean). 

  12. Kim, B.W., Y.J. Oh. and S.M. Kim. 1998. A study on the flora in Tanyang limestone area. Journal of the Korean Speleological Society 56:15-24. 

  13. Kim, H.J., M.J. Joo, S.J. Ji, S.J. Ji, S.Y. J, K.S. Chang, K. Choi and J.C. Yang. 2015. Florstic study of Neunggyeong-bong (Pyeongchang-gun, Gangneung-si) in Korea. Korean J. Plant Res. 28(2):178-195 (in Korean). 

  14. Kim, J.H., H.T. Mun and Y.S. Kwak. 1990.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s in limestone areas. Korean J. Ecol. 13(4):285-295 (in Korean). 

  15. Kim, J.S., B.C. Lee, J.M. Chung and J.H. Park. 2005. Flora and phytogeography on Mt. Deokhang (Gangwon-do), limestone area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5(4): 337-364 (in Korean). 

  16. Kim, Y.S., N.Y. Kim, Y.S. Kim, H.B. Lee, S.C. Kim, J.H. Kim and W.G. Park 2012. Flora and Vegetation of Mt. Gwabyung and Galmi-bong, Gangwon Province.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2):226-235 (in Korean). 

  17. Larcher, W. 1975. Physiological plant ecology. Springer-Verlag, Berlin, Germany. p. 252. 

  18. Lee, H.S. 1991. Studies on the characters of soil and flora on limestone area, Danyang. Institute of Basic Science Seowon University 5:67-80. 

  19.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 1814 (in Korean). 

  20. Lee, W.T.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p. 412 (in Korean). 

  21.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1(1):87-101 (in Korean). 

  22. Lee, Y.N. 2006. Flora of Korea I·II. Gyohaksa, Seoul, Korea. p. 1858 (in Korean). 

  23.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Germany. p. 666. 

  24. Ministry of Environment. 2012a. Red Data Book. http://www.korearedlist.go.k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 

  25. Ministry of Environment. 2012b.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Guidelin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mental Reserch. p. 486 (in Korean). 

  26. Nam, G.H., J.H. Kim, Y.C. Kim, J.S. Kim and B.Y. Lee. 2012. Floristic study of county Pyeong-chang and Yeong-wol including limestone regions (Prov. Gangwon-do) from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Eco. 26(1):11-38 (in Korean). 

  27.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 2014. http://www.me.go.kr. Ministry of Environment. 

  28. Nu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Dainippon-tosho. p. 160. 

  29. Park, W.G., W.K. Paik, W.T. Lee and S.D. Ahn. 1997. Flora and vegetation of resources plants in the Mt. Mandukbong (Kangwon-do). Korean J. Plant Res. 10(1):64-85 (in Korean). 

  30.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Plant Biology 23(3-4):69-8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