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비만도와 칼슘 섭취량과의 관련성 연구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of Obesity and Calcium Intak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2 no.1, 2012년, pp.9 - 16  

연지영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영미 (강원대학교 삼척제2캠퍼스 간호학과) ,  김은영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alcium intake on body weight and body fat in female college students.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a 3 day dietary record of 248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percent body f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비만도와 식이를 통한 칼슘 섭취량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이 칼슘 섭취와 비만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상반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칼슘 섭취와 관련된 조사는 대부분 골밀도와의 관련성을 보는 연구는 많으나(Choi et al 2000, 2006, Jeong et al 2010), 비만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부 여대생을 대상으로 비만도와 식이를 통한 칼슘 섭취량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칼슘의 인체생리학적 특성은 무엇인가? 칼슘은 인체 내 무기질 중 가장 많이 존재하며, 성인은 체중 1.5~2%의 칼슘을 보유한다. 체내 칼슘은 99% 이상은 치아와 뼈에 들어 있고, 나머지가 혈액, 세포외액, 근육을 비롯한 여러 조직에 존재하며, 신체의 생리기능을 조절한다(The Korea Nutrition Society 2010). 또한 칼슘 섭취와 비만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Zemel MB 2004), 칼슘이 풍부한 식사는 체질량지수, 체중 및 체지방량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비만의 유병률을 낮춘다고 하였다(Lee et al 2009).
칼슘이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량을 조절하는 기전은 무엇인가? 칼슘 섭취는 체질량지수 및 체지방량 감소와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Zemel MB 2004). 세포내 칼슘 이온은부갑상선 호르몬과 1,25-dihydroxyvitamin D를 포함하는 cal- citrophic 호르몬을 조절함으로써 지방 대사를 조절하는데, 식이를 통한 칼슘 섭취량이 낮을 경우 calcitrophic 호르몬에 의해 인체의 지방세포에서는 지방 생합성과 지방 축적이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식이 칼슘 섭취량이 충분할 경우, calcitrophic 호르몬의 작용이 억제되고, 지방 세포로의 칼슘 유입이 억제되어 중성지방 합성이 감소된다(Lee et al 2009). 이러한 근거로 Zemel et al(2000)는 6주간 고지방, 고탄수화물 식이와 함께 칼슘(0.
우리나라 칼슘 섭취율의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 결과 정상군에서 요구르트 섭취와 체지방과의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비만군의 경우 유의성은 없었으나 우유 및 유제품 섭취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우리나라는 칼슘 섭취율이 낮고 주된 칼슘원은 우유, 멸치, 배추김치, 두부등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우리나라 고유 식생활상 식물성 급원을 통해 칼슘을 섭취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급원을 통한 칼슘 섭취 및 흡수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ortolotti M, Rudelle S, Schneiter P, Vidal H, Loizon E, Tappy L, Acheson KJ (2008) Dairy calcium supplementation in overweight or obese persons: its effect on markers of fat metabolism. Am J Clin Nutr 88: 877-885. 

  2. Buchowski MS, Semenya J, Johnson AO (2002) Dietary calcium intake in lactose maldigesting intolerant and tolerant African-American women. J Am Coll Nutr 21: 47-54. 

  3. Choi YJ, Im R, La SH, Choi MK (2006)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 intake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arpu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2: 10-17. 

  4. Davies KM, Heaney RP, Recker RR, Lappe JM, Barger-Lux MJ, Rafferty K, Hinders S (2000) Calcium intake and body weight. J Clin Endocrinol Metab 85: 4635-4638. 

  5. Kim OH, Jung H, Kim JH (2007) Comparison of food intake serum lipid levels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by body mass index. Kor J Community Nutr 12 : 40-49. 

  6. Kim SH, Yu CH, Kim JY, Lee SS (2005) The effect of milk consumption on blood lipid levels of the Korea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38: 495-604. 

  7. Layman DK (2003) The role of leucine in weight loss diets and glucose homeostasis. J Nutr 133: 261S-267S. 

  8. Lee DH, Kim IS (2000) The study of association among serum lipid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food intake frequency and nutrient intake in healthy adults. Kor J Community Nutr 5: 642-653. 

  9. Lee RD, Nieman DC (1996) Nutritional assessment 2nd ed. Mosby. St Louis. 

  10. Lee TY, Yoo HJ, Joo NS (2009) Daily calcium intake and obesity in middle-aged Koreans.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8: 59-64. 

  11. Lin YC, Lyle RM, McCabe LD, McCabe GP, Weaver CM, Teegarden D (2000) Dairy calcium is related to changes in body composition during a two-year exercise intervention in young women. J Am Coll Nutr 19: 754-760. 

  12. McCarron DA(1983) Calcium and magnesium nutrition in human hypertension. Ann Intern Med 98: 800-805. 

  13. Melanson EL, Donahoo WT, Dong F, Ida T, Zemel MB (2005) Effect of low- and high-calcium dairy-based diets on macronutrient oxidation in humans. Obes Res 13: 2102-2112.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9-Nutrition Survey(I).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15. Pereira MA, Jacobs DR Jr, Van Horn L, Slattery ML, Kartashov AI, Ludwig DS (2002) Dairy consumption, obesity, and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 young adults: The CARDIA study. JAMA 287: 2081-2089. 

  16. Shi H, Norman AW, Okamura WH, Sen A, Zemel MB (2002) 1 alpha, 25-dihydroxyvitamin D3 inhibits uncoupling protein 2 expression in human adipocytes. FASEB J 16: 1808-1810. 

  17. Snijder MB, van der Heijden AA, van Dam RM, Stehouwer CD, Hiddink GJ, Nijpels G, Heine RJ, Bouter LM, Dekker JM (2007) Is higher dairy consumption associated with lower body weight and fewer metabolic disturbances? The Hoorn Study. Am J Clin Nutr 85: 989-995. 

  18. St-Onge MP, Goree LL, Gower B (2009) High-milk supplementation with healthy diet counseling does not affect weight loss but ameliorates insulin action compared with low-milk supplementation in overweight children. J Nutr 139: 933-938. 

  19. Sun X, Zemel MB (2003) Effects of mitochondrial uncoupling on adipocyte intracellular Ca(2+) and lipid metabolism. J Nutr Biochem 14: 219-226. 

  20. The Korea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amendment for Koreans, Korea. 

  21. Yeon JY, Bae YJ (2010)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focused on comparison with overweight and normal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 Nutr 23: 453-461. 

  22. Yu CH, Kim HS, Park MY (1999) Some factors affecting serum lipid levels of Korean rural women. Korean J Nutr 32: 926-933. 

  23. Zemel MB (2003) Role of dietary calcium and dairy products in modulating adiposity. Lipids 38: 139-146. 

  24. Zemel MB (2004) Role of calcium and dairy products in energy partitioning and weight management. Am J Clin Nutr 79: 907S-912S. 

  25. Zemel MB, Shi H, Greer B, Dirienzo D, Zemel PC (2000) Regulation of adiposity by dietary calcium. FASEB J 14: 1132-1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