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크릴산 단량체와 아지리딘 경화제 함량에 따른 점착제의 점착물성 변화
Adhesive Property Changes Associated with the Content of Acrylic Acid Monomer and Aziridine Crosslinking Agent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6 no.1, 2012년, pp.29 - 33  

최환석 (충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황효연 (충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정선경 (자동차부품연구소) ,  이승구 (충남대학교 유기소재섬유시스템공학과) ,  이기윤 (충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관능성 단량체로서 acrylic acid(AA)를 사용하였고, 기본 단량체로서는 2-ethylhexyl acrylate(2-EHA)를 사용하여 용액중합의 방법으로 점착제를 합성하였다. 점착제의 점착물성 중에 AA와 경화제 함량에 따른 점착제의 표면에너지와 물성변화 연구를 조사하였다. 합성된 점착제의 구조는 FTIR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점도와 분자량은 Brookfield 점도계와 GPC를 사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분자량과 점도는 AA가 6 wt%까지는 함량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6 wt% 이상에서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표면에너지 역시 AA 함량증가에 따라 COOH 그룹에 의한 극성 강화로 표면에너지는 증가하였다. 반면, 점착력은 분자량과 반비례 관계를 보였으며 AA 함량과 경화제 함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lution type pressure sensitive acrylic adhesives were synthesized from 2-ethylhexyl acrylate (2-EHA) as a base monomer and acrylic acid as a functional monomer. The surface energy and basic physical properties of synthesized 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con...

주제어

참고문헌 (11)

  1. 2000 New Technology Trends Report,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2000. 

  2. D. Satas,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2nd ed.,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1989. 

  3. A. Zosel, Colloid Polym. Sci., 263, 541 (1985). 

  4. I. Benedek,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Applications, 2nd ed., Marcel Dekker, New York, 2004. 

  5. J. S. Go, Theory and Practice of Surface Chemistry, Chonnam National Univ. Press, Gwangju, p159 (2008). 

  6. N. S. Kim and H. Kim, Journal of Korean Oil Chemist's Soc., 25, 525 (2008). 

  7. J. D. Ferry, Viscoelastic Properties of Polymers, 3rd ed., John Wiley & Sons, Chichester, 1980. 

  8. R. M. Silverstein, F. X. Webster, and D. J. Kiemle, Spectrometric Identification of Organic Compounds, 7th ed., John Wiley & Son, New York, 2005. 

  9. A. N. Gent and J. Schultz, J. Adhesion, 3, 281 (1972). 

  10. J. S. Bae, E. K. Park, H. S. Park, and M. S. Pyoun, Polymer(Korea), 17, 203 (1993). 

  11. C. H. Lim, Y. J. Jung, and U. R. Cho, Elastomers and Composites, 44, 175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