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웨어 브랜드 원산지 이미지가 중국 대학생들의 브랜드 개성 지각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ortswear Brands' Country-of-Origin on Purchase Intention in Terms of Brand Personality as Perceived b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0 no.2, 2012년, pp.208 - 221  

장방방 (전북대학교 대학원) ,  김용숙 (전북대학교 의류학과.인간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portswear brands' country-of-origin on purchase intention (PI) in terms of brand personality as perceived b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hinese students preferred to shop for sportswear at specialty stores, liked Nike and Adidas most, desig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중국산 캐주얼 의류가 한국 시장에서 받고 있는 평가에 대한 연구(Chen, 2006)가 있으나, 중국 대학생들이 즐겨 착용하는 스포츠웨어의 브랜드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원산지 이미지가 브랜드 개성 지각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중국에서 생산 되고 있는 글로벌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원산지 이미지가 갖는 후광효과를 밝혀 중국에서 생산을 기획하거나 중국의 스포츠웨어 시장에 진입하고자 하는 글로벌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기획 또는 마케팅 전략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셋째, 중국 대학생들의 지각한 스포츠웨어 브랜드 개성의 요인을 비교한다. 넷째, 중국 대학생들의 스포츠웨어 원산지 이미지가 브랜드 개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원산지 이미지가 브랜드 개성 지각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중국 대학생들의 스포츠웨어 구매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중국 대학생들이 지각한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원산지 이미지를 비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중국의 토종 브랜드로 부상하고 있는 스포츠웨어 회사는?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중국의 스포츠웨어 시장은 온라인 판매와 더불어 가속화하고 있다. 최근 중국의 토종 브랜드로 리닝, 안타(Anta), 361° 인터내셔널 (International), 테브(特步: Xtep), 차오단(喬丹: Qiaodan) 등이 부상하고 있으며, 하이태크가 결합된 스포츠용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중국의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중국 브랜드이다(Apparel Magazine, 2009). 2009년 11월에 실시된 조사 결과에 의하면 나이키(Nike)와 아디다스(Adidas)와 같은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판매율은 아주 높았다.
중국 대학생들이 즐겨 사용하는 말은 어떤것이 있는가? 중국 대학생들의 자주 사용하는 용어로 ‘쿠(酷)’가 있는데, 이는 영어의 ‘cool’이 변형된 단어로, 이성, 생동감, 품격, 능력, 냉철한 기질, 유행과 패션을 선도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들이 즐겨 사용하는 말로 ‘내가 좋아하는(我就喜欢)’, ‘나의 세계에서내 마음대로(我的地盘我做主)’, ‘나는 나를 좋아한다(我喜欢我)’, ‘멋지다(酷)’, ‘튄다(炫)’, ‘최고로 신선한(最新鲜)’, ‘최고의 패션(最时尚)’, ‘나는 나(我就是我)’, ‘불가능은 없다’, ‘하면 된다’ 등이 있다 (Lu, 2009).
중국의 스포츠웨어에대한 요구가 높아진 배경은 무엇인가? 중국은 개방 이후 급속도로 서구문물을 수용하였고, 산업화 과정에서 ‘세계의 공장’으로 탈바꿈하면서 국민 소득이 향상되고 여가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점차 건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스포츠 인구가 증가되었다. 이에 따라 스포츠웨어 시장도 확대되기 시작했으며, 2008년 베이징(北京) 올림픽을 계기로 중국인들의 스포츠와 레저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 급증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스포츠웨어에대한 요구가 높아졌다(Kang & Peng,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aker, J.(1997).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August), 347-357. 

  2. Ahmed, Z. U., Johnson, J. P., Xia, Y., Chen, K. F., Han, S. T., & Lim, C. B.(2004). Does countryof-origin matter for low-involvement products?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21(1), 102-120. 

  3. 服裝周刊 [Apparel Magazine](2009). China's apparel retail sales increase 29.82% in November 2009: Sportswear market is increasing. 24(23), 76-80. 

  4. 服裝周刊 [Apparel Magazine](2010). China's apparel retail sales increase 27.3% in June 2010: Sportswear sales increase over 15%. 25(11), 82-83. 

  5. Asia's rising tiger: Textile industry of China(2010, April 8). Samsungdesignnet. Retrieved October 20, 2010,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6. Bai, Y., Wen, X. C., & Lin, B. Z.(2009). A research on brand consuming psychology of university students: Sportwear brand survey from 8 Geijing university students. 商場現代化[Modern Shopping Malls], 5(3), 5-8. 

  7. Chen, C. H.(2006).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the national image of the products' origin on the evaluation of the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8. Chen, Y.(2009). Brand country origin confusion and its impact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黑龍江對外經貿[Heilongjiang's Foreign Trade], 12(5), 154-165. 

  9. Cho, S. H., Hong, S. P., & Lee, J. H.(2005). Scale development of brand personality and its adaptation for the sport product.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4(3), 621-629. 

  10. Cho, S. H., Lee, J. H., & Jun, S. C.(2005). The relationship among sport brand personality, consumer attitude, and brand loyalty in sporting goods. Journal of Korean Sport Industry Management, 10(3), 37-48. 

  11. Choi, D. H.(2004). The effects of congruity of sports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Korea Sport Research, 15(3), 495-506. 

  12.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post 80's generation in China(2010, May 10). Samsungdesignnet. Retrieved October 20, 2011,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13. Dong, T. T.(2010). 90's university students' concept as consumers on the future society and their thought. 江蘇商論[Jiangsu Business Theory], 22(2), 22-23. 

  14. Jung, H. J.(2010). The effect of country image on fashion brand equ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5. Kang, D. N., & Peng, M.(2010). Construction of sportswear brand in China. 管理?究[Management and Research], 6(11), 50-51. 

  16. Ko, E. J., & Yun, S. Y.(2004). Impact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J. of Korean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4, 59-80. 

  17. Ko, E. J., Kim, K. H., & Zhang, H.(2008). A cross cultural study of antecedents of purchase intention for sports shoes in Korea and China.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8(1), 134-145. 

  18. Lin, L. N.(2006). An exploratory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apparel consumption. 商場現代化[Modern Shopping Malls], 18(31), 60-63. 

  19. Liu, L.(2011). Country image construction in foreign propaganda in a case of Germany. 德國?究, [Germany Research], 26(1), 48-53. 

  20. Lu, S. Z.(2009). About education and guidance of 80's and 90's. 中國?年政治學院學[Journal of Political Science for Chinese Youth], 28(2), 1-5. 

  21. Luo, Q. L.(2009). A study on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in 80's and 90's. 管理科學[Management Science], 18(4), 164-166. 

  22. Song, Y. W., Jung, Y. S., & Kim, S. D.(2009). The effects of country-of-origin on the purchase intention in terms of the brand personality in the context of an automobile purchase: Chinese percepti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origin. Research Journal of Industrial Economy, 22(5), 2501-2524. 

  23. Sun, C.(2011). Foreign policy of Naoto Kan cabinet and China-Japan relationship. 國際問題?究 [International Study], 24(2), 53-59. 

  24. 紡織服裝周刊[Textiles and Apparel Weekly](2010). China's sportswear market research in 2010. 30(21), 25-34. 

  25. Wang, X., & Yang, Z.(2008). Does country-of-origin mat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purchase intention in emerging economies: Evidence from China's industry.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25(4), 458-474. 

  26. Yan, C., Jiang, L., & Zhang, B.(2010) The impact of apparel brand country of origin on consumers' cognitive. 紡織學報[Journal of Textile Technology], 31(7), 12-39. 

  27. Yi, Y. J., & La, S. A.(2002). Brand personality-brand identification-brand equity model: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users vs nonusers. Korean Marketing Research, 17(3), 1-33. 

  28. Zhou, J., & Sun, L.(2010). An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their marketing strategy. 經營?管理[Operation and Management], 26(5), 25-26. 

  29. Zuo, Y. Y., Feng, A. F., & Wang, H. F.(2008). An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apparel consuming culture. 紡織科技進展[Textile Science and Technology Progress], 18(16), 83-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