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산화수소/자외선/산소 처리를 이용한 베르베린 염료 및 염직물의 퇴화거동 연구
Study on the Degradation Behavior of Berberine Dye and Berberine Dyed Silk using Hydrogen Peroxide/UV/Oxygen Treatment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0 no.2, 2012년, pp.238 - 250  

안춘순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degradation behavior of SB(standard berberine) dye and SB dyed silk using HPLC-MS instrument after degradation in the hydrogen peroxide/ultraviolet ray radiation/oxygen system up to 9 days and 40 hours respectively. In the degraded samples, berberine was detected at 5.2 min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GC-MS 분석법의 경우, 극미량 성분의 검출이 가능하여 분자량이 작은 퇴화물질의 분석에는 용이한 반면, berberine 분자를 molecular ion 상태로 검출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Ahn, 2009; Ahn, 2010). HPLC-MS 분석법은 염료와 같이 수용성이며 중간 크기의 질량을 갖는 물질에 대해 우수한 검출력과 편리성을 동시에 지니므로 본 연구에서는 HPLC-MS 분석을 활용하여 SD 염료의 퇴화거동과 SD 염료로 염색한 견직물의 퇴화거동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용어의 혼돈을 피하기 위해 실험을 위해 구입한 표준염료 베르베린을 지칭할 때는 SD(standard dye)로 표기하고, 황벽에 포함된 색소 화합물로서의 berberine 및 HPLC-MS로 검출되는 berberine 화합물을 지칭할 때에는 영문으로 ‘berberine’으로 표기하였다.
  • 본 연구는 출토복식의 염료성분 판정을 위한 장기적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황벽의 주 염료성분인 베르베린의 표준염료를 실험실 조건에서 퇴화시킨 후 HPLC-MS를 이용해 분석하여 그 퇴화거동과 퇴화물을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베르베린 표준염료로 염색한 견직물을 베르베린 표준 염료와 같은 조건으로 퇴화시킨 후, 그 퇴화거동 및 색상변화를 베르베린 표준염료의 퇴화거동과 비교하여 출토복식의 염료판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출토복식의 염료성분 판정을 위한 장기적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황벽의 주 염료성분인 SD 염료와 염색한 직물을 H2O2/UV/O2 조건으로 퇴화시킨 후 HPLC-MS를 이용해 분석하여, 그 퇴화거동과 퇴화물을 조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SD 염료의 berberine 성분은 퇴화시간 경과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SD 염료로 염색한 견직물에서도 같은 양상이 관찰되었다.
  • 본 연구는 출토복식의 염료성분 판정을 위한 장기적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황벽의 주 염료성분인 베르베린의 표준염료를 실험실 조건에서 퇴화시킨 후 HPLC-MS를 이용해 분석하여 그 퇴화거동과 퇴화물을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베르베린 표준염료로 염색한 견직물을 베르베린 표준 염료와 같은 조건으로 퇴화시킨 후, 그 퇴화거동 및 색상변화를 베르베린 표준염료의 퇴화거동과 비교하여 출토복식의 염료판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벽은 어디에 속하는가? 황벽은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서, 학명이 Phellodendron ammurense Rupr. 혹은 Phellodendron chinense Rupr.
출토복식이 퇴색되는 주된 요인은? 과거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었던 천연염료들은 대부분 식물성 염료로서, 식물 원료에 함유되어 있는 색소에 의해 염료 고유의 색상을 발현한다. 출토복식이 퇴색된 데에는 여러 가지 경로가 있겠으나, 가장 주된 요인으로서 매장 환경 내의 미생물에 의한 천연염료의 화학적 변질을 들 수 있다. 즉, 산화 작용 등의 퇴화에 의해 염료는 본래의 분자구조를 잃게 되며 퇴화 기간 혹은 정도에 따라 분자구조를 유지하는 염료의 수가 감소할 것으로 추측된다.
유물의 퇴색를 최소화 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현재, 국내 박물관에서는 출토복식이 발굴된 뒤에 주로 수세 등의 보존처리 과정을 거쳐 유물의 장기 보관 및 전시를 준비하고 있는데, 발굴되는 대부분의 복식유물이 천연염료로 염색한 19C 이전의 유물들임을 감안할 때 보존처리에 따른 추가적인 유물의 퇴색이 우려된다.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한 방안으로서 유물에 사용된 염료를 판별하여 각 염료에 적합한 보존처리 과정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hn, C.(2006). 영암군 금정면 탐진최씨 출토복식 분석[Analysis of exhumed textiles of Tamjin Choi of Kumjungmyeon, Youngamgoon]. In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Ed.), 최원립 장군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The 17th-century Joseon military attire excavated from the tomb of General Choi Won-Lip] (pp. 206-222). Seoul: Minsokwon. 

  2. Ahn, C.(2009). Examination of berberine dye using GC-MS after selective degradation treat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2), 2002-2010. 

  3. Ahn, C.(2010). GC-MS analysis of amur cork tree extract and its degradat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6), 1042-1052. 

  4. Ahn, C.(2011). Analysis of dye extracted from Phellodendron bark using liquid chromat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2), in print. 

  5. Ahn, C., & Obendorf, S. K.(2004). Dyes on archaeological textiles: Analyzing alizarin and its degradation products. Textiles Research Journal, 74(11), 949-954. 

  6. Ahn, C., & Obendorf, S. K.(2007). GC-MS analysis of curcumin dye after selective degradation treatment. Fibers and Polymers, 8(3), 278-283. 

  7. Ahn, C., Zeng, X., & Obendorf, S. K.(in print). Analysis of dye extracted from Phellodendron bark and its identification in archaeological textiles. Textile Research Journal. 

  8. Berghe, I. V., Gleba, M., & Mannering, U.(2009). Towards the identification of dyestuffs in early Iron Age Scandinavian peat bog textile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6(9), 1910-1921. 

  9. Chan, C. O., Chu, C. C., Mok, D. K. W., & Chau, F. T.(2007). Analysis of berberine and total alkaloid content in Cortex Phellodendri by near infrared spectroscopy (NIRS) compared with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ultravisible spectrometric detection. Analytica Chimica Acta, 592(2), 121-131. 

  10. Choo, C. K. K., & Lee, Y. E.(2002). Analysis of dyeings produced by traditional Korean methods using colorants from plant extracts. Coloration Technology, 118(1), 35-45. 

  11. Colonna, G. M., Caronna, T., Marcandalli, B.(1999). Oxidative degradation of dyes by ultraviolet radiation in the presence of hydrogen peroxide. Dyes and Pigments, 41(3), 211-220. 

  12. Cooper, W. J., & Lean, D. R. S.(1989). Hydrogen peroxide concentration in a northern lake: Photochemical formation and dial variability.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23(11), 1425-1428. 

  13. Drasar, P., & Moravcova, J.(2004). Recent advances in analysis of Chinese medical plantsand traditional medicines. Journal of Chromatography B, 812(1/2), 3-21. 

  14. Grosjean, D., Whitmore, P. M., Moor, P. D., Cass, G. R., & Druzik, J. R.(1988). Ozone fading of organic colorants: Products and mechanism of the reaction of ozone with curcumi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2(11), 1357-1361. 

  15. Hu, Y. M., Su, G. H., Sze, S. C. W., Ye, W., & Tong, Y.(2010). Quality assessment of Cortex Phellodendri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Biomedical Chromatography, 24(4), 438-453. 

  16. Hua, W., Ding, L., Chen, Y., Gong, C. B., He, J., & Xu, G.(2007). Determination of berberine in human plasma by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44(4), 931-937. 

  17. Ince, N. H.(1999). Critical effect of hydrogen peroxide in photochemical dye degradation. Water Research, 33(4), 1080-1084. 

  18. Jarosz-Wilkolazka, A., Kochmanska-Rdest, J., Malarczyk, E., Wardas, W., & Leonowicz, A.(2002). Fungi and their ability to decolourize azo and anthraquinonic dyes.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30(4), 566-572. 

  19. Jung, W. K., Chang, D. S., Seol, B. Y., Park, S. J., Cho, I. S., & Cho, K. M.(1997). 염색학[Studies on dyeing]. Seoul: Hyungseul Publishing Co. 

  20. Kim, S. J., Ishikawa, K., Hirai, M., & Shoda, M. (1995). Characteristics of a newly isolated fungus, Geotrichum candidum Dec1, which decolorizes various dyes. Journal of Fermentation and Bioengineering, 79(6), 601-607. 

  21. Kim, T. K., Yoon, S. H., Lim, Y. J., & Son, Y. A. (2003). Dyeability improvement of berberine colorant by electrostatic attactive force of a reactive anionic ag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158(6), 47-54. 

  22. Lee, H. S., Eom, Y. E., & Eom, D. O.(1999). Narrowbor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of berberine and palmatine in crude drugs and pharmaceuticals with ion-pair extraction using cobalt thiocyanate reagent.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21(1), 59-63. 

  23. Lee, J. G., Choi, J. Y., Oh, J. S., Jung, H. W., Choi, E. H., Lee, H. S., Kim, J. A., Chang, T. S., Son, J. K., & Lee, S. H.(2007). Isolation of melamin biosynthesis inhibitory compounds from the Phellodendri Cortex.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8(4), 387-393. 

  24. Lee, M. S., Hong, M. K., Kim, E. K., & Bae, S. W. (2001).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color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abrics dyed with natural dy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3), 617-628. 

  25. Lee, Y. H., Hwang, E. K., Jung, Y. J., Do, S. K., & Kim, H. D.(2010). Dyeing and deodorizing properties of cotton, silk, wool fabrics dyed with Amur Corktree, Dryopteris crassirhizoma, Chrysanthemum boreale, Artemisia extract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15(4), 2246-2253. 

  26. Lee, Y., Lee, J., Kim, Y., Choi, S., Ham, S. W., & Kim, K. J.(2008). Investigation of natural dyes and ancient textiles from Korea using TOF-SIMS. Applied Surface Science, 255, 1033-1036. 

  27. Li, X., Liu, H., Li, J., Zhao, X., Wang, S., & Zheng, X.(2009).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berberine and palmatine in rabbit plasma by LC-MS-MS and its application in pharmacokinetic study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coptidis and coptidisgardeniae couple extract. Chromatographia, 70(7/8), 1113-1119. 

  28. Li, X., Wang, Y., & Yan, X.(2007). Effects of water stress on berberine, jatrorrhizine and palmatine contents in amur corktree seedlings. Acta Ecologica Sinica, 27(1), 58-64. 

  29. Liu, G., Wu, T., & Zhao, J.(1999). Photoassisted degradation of dye pollutants. Irreversible degradation of alizarin red under visible light radiation in air-equilibrated aqueous $TiO_{2}$ dispersion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3(12), 2081-2087. 

  30. Nyanhongo, G. S., Gomes, J., Gubitz, G. M., Zvauya, R., Read, J., & Steiner, W.(2002). Decolorization of textile dyes by laccases from a newly isolated strain of Trametes modesta. Water Research, 36(2), 1449-1456. 

  31. Needles, H. L., & Nowak, K. C. J.(1989). Heatinduced aging of linen. In S. H. Zeronian & H. L. Needles (Eds), Historic textile and paper materials II: Conservation and characterization, ACS Symposium series 410 (pp. 159-167). Washington, DC: American Chemical Society. 

  32. Park, S. S.(1998). 파주 금릉리 출토 경주정씨 유물 소고[Study on the textiles of Kyungju Chung family excavated from Kumreungri Pajoo]. 한국복식[Korean Costume], 16, 31-89. 

  33. Peacock, E. E.(1996). Biodegrad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ater-degraded archaeological textiles created for conservation research.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and Biodegradation, 38(1), 49-59. 

  34. Peralta-Zamora, P., Kunz Moraes, S. G. de., Perlegrini, R., Moleiro, P. C., Reyes, J., & Duran, N.(1999). Degradation of reactive dyes. I. Comparative study of ozonation, enzymatic and photochemical processes. Chemosphere, 38(4), 835-852. 

  35. Petroviciu, I., Albu, F., & Medvedovici, A.(2010). LC/MS and LC/MS/MS based protocol for identification of dyes in historic textiles. Microchemical Journal, 95(2), 247-254. 

  36. Read, R. A., & Zasada, J. C.(2008). Phellodendron amurense Rupr.: Amur corktree. In Bonner Franklin T., Karrfalt, Robert P. (Eds.), The woody plant seed manual, agric. handbook No. 727 (pp. 783-785).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37. Scheck, C. K., & Frimmel, F. H.(1995). Degradation of phenol and salicylic acid by ultraviolet radiation/ hydrogen peroxide/oxygen. Water Research, 29(10), 2346-2352. 

  38. Schweppe, H.(1989). Identification of red madder and insect dyes by thin-layer chromatography. In ACS Symposium Series 410, S. H. Zeronian and H. L. Needles, Ed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pp. 188-219. 

  39. Suto, K., Kakinuma, S., Ito, Y., Sagara, K., Iwasaki, H., & Itokawa, H.(1997). Determination of berberine and palmatine in Phellodendri Cortex using ion-pair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y on-line coupled with ion-pair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by on-column trapping. Journal of Chromatography A, 786(2), 371-376. 

  40. Wang, Y. J., Pan, M. H., Cheng, A. L., Lin, L. I., Ho, Y. S., Hsieh, C. Y., & Lin, J. K.(1997). Stability of curcumin in buffer solutions and characterization of its degradation products.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15(12), 1867-1876. 

  41. Wouters, J.(1985).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of anthraquinones: Analysis of plant and insect extracts and dyed textiles. Studies in Conservation, 30(3), 119-128. 

  42. Young, L., & Yu, J.(1997). Ligninase-catalysed decolorization of synthetic dyes. Water Research, 31(5), 1187-1193. 

  43. Zhang, X., Boytner, R., Cabrera, J. L., & Laursen, R. (2007). Identification of yellow dye types in Pre- Columbian Andean textiles. Analytical Chemistry, 79, 1575-15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