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벽 추출염료와 염직물의 열적 퇴화 거동 연구
Analysis of Amur Cork Tree Extract and Dyed Silk upon Thermal Degradation Treatment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5 no.10, 2011년, pp.1228 - 1241  

안춘순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compares the change in berberine content in liquid dye and the color and dye uptake of amur cork tree dyed silk upon thermal degradation treatment. Thermal degradation of amur cork tree extract and liquid dye of standard berberine was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4^{\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박물관 복식 유물의 퇴색현상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대부분의 연구는 박물관 보관 및 전시환경을 시뮬레이트한 것들이다. 그러나 박물관 유물 중 특히 출토복식의 퇴색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은데 그 이유 중 하나는 땅 속 유기환경의 복잡함과 또한 관 속에서 시신과 유물과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해 아직 명확하게 규명된 바가 없는데 기인한다고 하겠다. 관련 연구로서 Needles et al.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오븐법(이하 OV라 칭함)을 염액과 염직물의 주된 퇴화 변인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또한 오븐법에 의한 퇴화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실온법(이하 RT라 칭함) 및 4℃ 냉장법(이하 LT라 칭함)도 도입하여 황벽 추출염료와 베르베린 표준염료를 퇴화시키고 동일 염료로 염색한 견직물을 퇴화시켜 염액 내 베르베린의 함량 변화와 염색한 견직물의 색상 변화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Sigma Aldrich로부터 구입한 표준염료 상품을 지칭할 때는 ‘베르베린 표준염료’ 혹은 ‘베르베린 표준염액’으로 칭하고, 베르베린 표준염료를 구성하는 성분이며 황벽 추출염료에 함유되어 있는 주색소는 ‘베르베린’으로 칭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출토복식의 퇴색현상과 관련하여 퇴화 실험 후 황벽 염료의 색소성분인 베르베린의 함량 변화와 황벽 염료로 염색한 직물의 색상 변화와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로서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유추하였다.
  • , 1995).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오븐법(이하 OV라 칭함)을 염액과 염직물의 주된 퇴화 변인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또한 오븐법에 의한 퇴화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실온법(이하 RT라 칭함) 및 4℃ 냉장법(이하 LT라 칭함)도 도입하여 황벽 추출염료와 베르베린 표준염료를 퇴화시키고 동일 염료로 염색한 견직물을 퇴화시켜 염액 내 베르베린의 함량 변화와 염색한 견직물의 색상 변화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출토복식의 퇴색현상과 관련하여 황벽 염료의 색소성분인 베르베린의 함량 변화와 황벽 염료로 염색한 직물의 색상 변화와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황벽으로부터 추출한 염액과 Sigma Aldrich(USA)로부터 구입한 베르베린 표준염료를 100℃ 오븐(OV), 실온(RT), 및 4℃ 냉장 상태에서 일정 시간 방치하여 염료를 퇴화시킨 후 주색소성분인 베르베린의 함량을 HPLC-MS로 분석하고자 한다.
  • 둘째, 황벽 추출염액과 베르베린 표준염료로 염색한 견직물을 100℃ 오븐에 일정 시간 방치하여 직물을 퇴색시킨 후 측색하여 퇴색의 정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셋째, 액체염료의 베르베린 함량 변화와 염색한 견직물의 퇴색의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출토직물의 퇴색현상은 과거에 직물 염색에 사용된 염료의 퇴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Sigma Aldrich로부터 구입한 표준염료 상품을 지칭할 때는 ‘베르베린 표준염료’ 혹은 ‘베르베린 표준염액’으로 칭하고, 베르베린 표준염료를 구성하는 성분이며 황벽 추출염료에 함유되어 있는 주색소는 ‘베르베린’으로 칭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황벽나무의 학명과 일반명은? 황벽은 운향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동북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황벽나무는 학명이 Phellodendron ammurense R. 일반명은 Amur Cork Tree 로 알려져 있다(Hu et al., 2010; Read & Zasada, 2008).
황벽은 무엇인가? 황벽은 운향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동북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황벽나무는 학명이 Phellodendron ammurense R. 일반명은 Amur Cork Tree 로 알려져 있다(H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hn, C. (2006). 영암군 금정면 탐진최씨 출토복식 분석 [Analysis of exhumed textiles of Tamjin Choi of Kumjungmyeon, Youngamgoon]. In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Ed.), 최원립 장군묘 출토복식을 통해 본 17세기 조선 무관의 차림새 [The 17th-century Joseon military attire excavated from the tomb of General Choi Won-Lip] (pp. 206-222). Seoul: Minsokwon. 

  2. Ahn, C. (2010). GC-MS analysis of amur cork tree extract and its degradat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6), 1042-1052. 

  3. Ahn, C., & Obendorf, S. K. (2003). Separation of chromophoric substance from madder plant under different extraction and analytical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11), 1350-1357. 

  4. Ahn, C., & Obendorf, S. K. (2004). Dyes on archaeological textiles: Analyzing alizarin and its degradation products. Textile Research Journal, 74(11), 949-954. 

  5. Ahn, C., & Obendorf, S. K. (2006). GC-MS analysis of dyes extracted from turmeric. Fibers and Polymers, 7(2), 158-163. 

  6. Ahn, C., & Obendorf, S. K. (2007). GC-MS analysis of curcumin dye after selective degradation treatment. Fibers and Polymers, 8(3), 278-283. 

  7. Block, I., & Kim, H. K. (1986). Accelerated aging of cellulosic textiles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effect of tetrahydridoborate reduction. In H. L. Needles & S. H. Zeronian (Eds.), Historic textile and paper materials: Conservation and characterization, Advances in Chemistry Series 212 (pp. 411-424). Washington, DC: American Chemical Society. 

  8. Brushwood, D. E. (1988). Effects of heating on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nd processing. Textile Research Journal, 58(6), 309-317. 

  9. Cheng, X. X., Lui, Y., Hu, Y. J., Liu, Y., Li, L. W., Di, Y. Y., & Xiao., X. H. (2009). Thermal behavior and thermodynamic properties of berberine hydrochloride. Journal of Thermal Analysis and Calorimetry. Advance online publication. doi:10.1007/s10973-009-0288-9 

  10. Connors, K. A. (1990). Chemical Kinetics: The study of reaction rates in solution. New York: VCH Publishers, Inc. 

  11. Hadaruga, N. G., Hadaruga, D. I., Paunescu, V., Tatu, C., Ordodi, V. L., Bandur, G., & Lupea, A. X. (2006). Thermal stability of the linoleic acid/ ${\alpha}$ - and ${\beta}$ -cyclodextrin complexes. Food Chemistry, 99, 500-508. 

  12. Hu, Y. M., Su, G. H., Sze, S. C. W., Ye, W., & Tong, Y. (2010). Quality assessment of Cortex Phellodendri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Biomedical Chromatography, 24, 438-453. 

  13. Hua, W., Ding, L., Chen, Y., Gong, C. B., He, J., & Xu, G. (2007). Determination of berberine in human plasma by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mass spectrometry.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44, 931-937. 

  14. Jung, W. K., Chang, D. S., Seol, B. Y., Park, S. J., Cho, I. S., & Cho, K. M. (1997). 염색학 [Studies on dyeing]. Seoul: Hyungseul Publishing Co. 

  15. Kim, B. H. (1996). 황색 천연염료의 염색성과 항균성: 황백, 치자, 울금을 중심으로 [Dyeability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yellow natural dyes: Focusing on amur cork tree, cape jasmin, and curcumi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6. Kim, J. P., Jung, M. Y., Kim, J. P., & Kim, S. Y. (2000). Antiphotooxidative activity of protoberbeerines derived from Coptis Japonica makino in the chlorophyll-sensitized photooxidation of oil.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8(4), 1058-1063. 

  17. Koh, B. J. (1999). 일영 출토 고령신씨 유물 소고 [Study on the textiles of Koryeong Shin family excavated from Ilyoung]. 한국복식, 17, 39-128. 

  18. Koh, B. J. (2001). 상암동 출토 전주이씨 익정(1699-1782) 유물연구 [Study on the textiles of Chunjoo Lee family Ikjung (1699-1782) excavated from Sangamdong]. 한국복식, 19, 83-159. 

  19. Kwak, Y. S. (1988). A study on dyeing with costume colours of royal court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Focusing on regular rule of Sang-uiw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0. Lee, M. S., Hong, M. K., Kim, E. K., & Bae, S. W. (2001).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color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abrics dyed with natural dy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3), 617-628. 

  21. Lee, Y. H., Hwang, E. K., Jung, Y. J., Do, S. K., & Kim, H. D. (2010). Dyeing and deodorizing properties of cotton, silk, wool fabrics dyed with amur cork tree, Dryopteris crassirhizoma, Chrysanthemum boreale, Artemisia extract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15, 2246-2253. 

  22. Li, X., Liu, H., Li, J., Zhao, X., Wang, S., & Zheng, X. (2009).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berberine and palmatine in rabbit plasma by LC-MS-MS and its application in pharmacokinetic study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Coptidis and Coptidis-Gardeniae couple extract. Original Chromatographia, 70(7/8), 1113-1119. 

  23. Lis, A., Boczek, E., & Gora, J. (2004).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s from the fruits, leaves, and flowers of the amur cork tree (Phellodendron amurense Rupr.). Flavour Fragrance Journal, 19, 549-553. 

  24. Milic, B., Stojanovic, S., Vucurevic, N., & Turcic, M. (1968). Chlorogenic and quinic acids in sunflower meal.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19, 108-113. 

  25. Min, Y. D., Kwon, H. C., Yang, M. C., Lee, K. H., Choi, S. U., & Lee, K. R. (2007). Isolation of limonoids and alkaloids from Phellodendron amurense and their multidrug resistance (MDR) reversal activity.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30(1), 58-63. 

  26. Needles, H. L., Cassman, V., & Collins, M. J. (1986). Mordanted, natural-dyed wool and silk fabrics: Light and burial-induced changes in the color and tensile properties. In H. L. Needles & S. H. Zeronian (Eds.), Historic textile and paper materials: Conservation and characterization, Advances in Chemistry Series 212 (pp. 199-210). Washington, DC: American Chemical Society. 

  27. Needles, H. L., & Nowak, K. C. J. (1989). Heat-induced aging of linen. In S. H. Zeronian & H. L. Needles (Eds.), Historic textile and paper materials II: Conservation and characterization, ACS Symposium Series 410 (pp. 159-167). Washington, DC: American Chemical Society. 

  28. Nelson, E. K. (1938). Volatile oil of amur cork tree fruit. Journal of American Chemical Society, 60(4), 920-921. 

  29. Park, S. S. (1998). 파주 금릉리 출토 경주정씨 유물 소고 [Study on the textiles of Kyungju Chung family excavated from Kumreungri Pajoo]. 한국복식, 16, 31-89. 

  30. Peacock, E. E. (1983). Deacidification of degraded linen. Studies in Conservation, 28, 8-14. 

  31. Peacock, E. E. (1996). Biodegrad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ater-degraded archaeological textiles created for conservation research.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and Biodegradation, 1996, 49-59. 

  32. Petroviciu, I., Albu, F., & Medvedovici, A. (2010). LC/MS and LC/MS/MS based protocol for identification of dyes in historic textiles. Microchemical Journal, 95, 247-254. 

  33. Ramos, P., Gieseg, S. P., Schuster, B., & Esterbauer, H. (1995). Effect of temperature and phase transition on oxidation resistance of low density lipoprotein. Journal of Lipid Research, 36, 2113-2128. 

  34. Read, R. A., & Zasada, J. C. (2008). Phellodendron amurense Rupr.: Amur cork tree. In F. T. Bonner & R. P. Karrfalt (Eds.), The woody plant seed manual, agric. Handbook No. 727 (pp. 783-785).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35. Sato, F., & Yamada, Y. (1984). High berberine producing cultures of coptis japonica cells. Phytochemistry, 23(2), 281-285. 

  36. Schweppe, H. (1989). Identification of red madder and insect dyes by thin-layer chromatography. In S. H. Zeronian & H. L. Needles (Eds.), Historic textile and paper materials II: Conservation and characterization, ACS Symposium Series 410 (pp. 188-219). Washington, DC: American Chemical Society. 

  37. TNO Triskelion. (1992-2011). Compound list. VCF Volatile Compounds in Food 12.3. Retrieved July 28, 2011, from http://www.vcf-online.nl/VcfCompounds.cfm 

  38. Wang, D., Liu, Z., Guo, M., & Liu, S. (2004). Structural elucidation and identification of alkaloids in Rhizoma Coptidis by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mass Spectrometry, 39, 1356-1365. 

  39. Whitmore P. M., & Cass, G. R. (1988). Ozone fading of traditional Japanese colorants. Studies in Conservation, 33(1), 29-40. 

  40. Wouter, J. (1985).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of anthraquinones: Analysis of plant and insect extracts and dyed textiles. Studies in Conserrvation, 30, 119-128. 

  41. Yamada, Y., & Okada, N. (1985). Biotransformation of tetrahydroberberine to berberine by enzymes prepared from cultured Coptis Japonica Cells. Phytochemistry, 24(1), 63-65. 

  42. Yamada Y., & Sato, F. (1981). Production of berberine in cultured cells of coptis japonica. Phytochemistry, 20(3), 545-547. 

  43. Ye, Y., Salmon, L, G., & Cass, G. R. (2000). The ozone fading of traditional Chinese plant dyes.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for Conservation, 39(2), 245-2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