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와 추자도에 자생하는 잘피의 분포 현황
Seagrass Distribution in Jeju and Chuja Island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0 no.4, 2012년, pp.339 - 348  

박정임 (해양생태기술연구소) ,  박재영 (해양생태기술연구소) ,  손민호 (해양생태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와 추자도에 자생하는 보호대상해양생물인 잘피 자생지의 서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2011년 7월 GPS를 활용하여 서식면적을 기록하였고, 직접적인 잠수 조사로 서식 현황을 확인하였다. 잘피가 자생하는 곳은 해수와 퇴적물 공극수의 영양염 분석과 함께 분포 면적, 종조성, 형태적 특성, 밀도와 생물량을 조사하였다. 추자도에는 3종의 거머리말속 잘피(거머리말, 수거머리말, 포기거머리말)가 출현한 것에 비하여 제주도에는 거머리말 한 종이 동북연안에서만 서식하고 있었다. 제주도의 거머리말 서식면적은 $238,572m^2$이고, 추자도의 잘피 서식면적은 $23,584m^2$로 수거머리말이 $21,216m^2$, 포기거머리말이 $1,870m^2$, 거머리말이 $498m^2$를 차지하고 있었다. 제주도와 추자도의 거머리말은 조간대부터 조하대 평균 수심 5m까지 출현하였다. 추자도의 포기거머리말과 수거머리말은 각각 조하대 평균 수심 3~4m와 4~6m에서 출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urvey the seagrass distribution in Jeju and Chuja Islands, we directly observed seagrass beds using SCUBA in July, 2011. Distributional area, species composition, morphology, density, and biomass of seagrasse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n investigation sites. In particular,...

주제어

참고문헌 (36)

  1. 강돈혁, 조성호, 라형술, 김종만, 나정열, 명정구. 2006. 수중음향을 이용한 해초 서식처(Seagarss Habitats)의 공간 및 수직 분포 추정. Ocean Polar Res. 28:225-236. 

  2. 국토해양부. 2010.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국토해양부. 495pp. 

  3. 국토해양부. 2011. 해양생태계기본조사 프로토콜. 국토해양부. 168pp. 

  4. 김근용, 김주형, 김광용. 2008a. 디지털 음향측심기를 이용한 광양만 잘피(Zostera marina L.)의 피도와 생물량 추정. Algae 23:83-90. 

  5. 김정배, 박정임, 이근섭. 2009. 득량만에 자생하는 잘피의 분포 현황. 한수지. 42:509-517. 

  6. 김정배, 박정임, 최우정, 이재성, 이근섭. 2010. 섬진강 하구에 자생하는 잘피의 분포 현황 및 생태적 특성. 한수지. 43: 351-361. 

  7. 김태환, 박상률, 김영균, 김종협, 김승현, 김정하, 정익교, 이근섭. 2008b. 진동만과 가막만에 서식하는 잘피 개체군의 생장 동태 및 탄소고정량 추정. Algae 23:241-250. 

  8. 박정임, 김영균, 박상률, 김종협, 김영상, 김정배, 이필용, 강창근, 이근섭. 2005. 잘피(Zostera marina L.) 서식지 복원을 위한 최적 이식방법 및 시기선정에 관한 연구. Algae 20: 379-388. 

  9. 이상룡, 이성미, 최청일. 2005a. 남해연안에 생육하는 거머리 말(Zostera marina L.) 개체군의 생물계절학과 생식능력. Ocean Polar Res. 27:67-74. 

  10. 이성미, 이상룡, 최청일. 2005b. 한국산 해초 포기거머리말, 수거머리말, 애기거머리말과 거머리말의 생물계절학. Ocean Polar Res. 27:125-133. 

  11. 정창수, 홍기훈, 김석현, 박준건, 김영일, 문덕수, 장경일, 남수용, 박용철. 2000. 제주해협을 통과하는 화학물질 플럭스. 바다. 5:208-215. 

  12. 해양수산부. 2003. 어장관리 프로그램. 해양수산부 연안계획과 전자지도. 해양수산부. CD 1.06GB. 

  13. 해양수산부. 2007.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해양수산부. 186pp. 

  14. Bradley MP and MH Stolt. 2006. Landscape-level seagrasssediment relations in a coastal lagoon. Aquat. Bot. 84:121- 128. 

  15. Bulthuis DA. 1995. Distribution of seagrasses in a North Puget Sound estuary: Padilla Bay, Washington, USA. Aquat. Bot. 50:99-105. 

  16. Dennison WC and RS Alberte. 1982. Photosynthetic responses of Zostera marina L. (eelgrass) to in situ manipulations of light intensity. Oecologia 55:137-144. 

  17. Gallegos CL, DL Correll and JW Pierce. 1990. Modeling spectral diffuse attenuation, absorption and scattering coefficients in a turbid estuary. Limnol. Oceanogr. 35:1486-1502. 

  18. Hovel KA, MS Fonseca, DL Meyer, WJ Kenworthy and PG Whitfield. 2002. Effects of seagrass landscape structure, structural complexity and hydrodynamic regime on macrofaunal densities in North Carolina seagrass beds. Mar. Ecol. Prog. Ser. 243:11-24. 

  19. Huh SH and CL Kitting. 1985. Trophic relationships among concentrated populations of small fishes in seagrass meadows. J. Exp. Mar. Biol. Ecol. 92:29-43. 

  20. Kim JB, J-I Park, C-S Jung, P-Y Lee and K-S Lee. 2009. Distributional range extension of the seagrass Halophila nipponica into coastal waters off the Korean peninsula. Aquat. Bot. 90:267-272. 

  21. Lee K-S, J-I Park, Y-K Kim, SR Park and J-H Kim. 2007. Recolonization of Zostera marina following destruction caused by a red tide algal bloom: The role of new shoot recruitment from seed banks. Mar. Ecol. Prog. Ser. 342:105-115. 

  22. Lee K-S, SR Park and JB Kim. 2005. Production dynamics of the eelgrass, Zostera marina in two bay systems on the south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Mar. Biol. 147:1091- 1108. 

  23. Lee K-S, SR Park and YK Kim. 2007. Effects of irradiance, temperature, and nutrients on growth dynamics of seagrasses: A review. J. Exp. Mar. Ecol. 217:253-277. 

  24. Lee K-S and SY Lee. 2003. The seagrasses of the Republic of Korea. pp. 193-198. In World Atlas of Seagrasses: Present Status and Future Conservation (Green EP, FT Short and MD Spalding ed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25. Lee SM. 2007. Distribution of seagrass and its ecological importance of Jeju Island, Korea. Final Report for MAB Young Scientist Award. 21pp. 

  26. Livingston RJ, SE McGlynn and X Niu. 1998. Factors controlling seagrass growth in a gulf coastal system: water and sediment quality and light. Aquat. Bot. 60:135-159. 

  27. McKenzie LJ, MA Finkbeiner and H Kirkman. 2001. Methods for mapping seagrass distribution. pp.101-121. In Global seagrass research methods (Short FT and RG Coles eds.). Elsevier. Amsterdam. 

  28. Mumby PJ, EP Green, AJ Edwards and CD Clark. 1997. Measurement of seagrass standing crop using satellite and digital airborne remote sensing. Mar. Ecol. Prog. Ser. 159:51- 60. 

  29. Murray L, WC Dennison and WM Kemp. 1992. Nitrogen versus phosphorus limitation for growth of an estuarine population of eelgrass (Zostera marina). Aquat. Bot. 44:83-100. 

  30. Schultz ST. 2008. Seagrass monitoring by underwater videography: Disturbance regimes, sampling design, and statistical power. Aquat. Bot. 88:228-238. 

  31. Short FT. 1987. Effects of sediment nutrients on seagrasses, literature review and mesocosm experiment. Aquat. Bot. 27:41-57. 

  32. Short FT and S Wyllie-Echeverria. 1996. National and humaninduced disturbance of seagrasses. Environ. Conserv. 23: 17-27. 

  33. Texas Parks and Wildlife Department. 1999. Seagrass Conservation Plan for Texas. Texas Parks and Wildlife Department. Resource Protection Division. Austin. 79pp. 

  34. Thomas FIM and CD Cornelisen. 2003. Ammonium uptake by seagrass communities: effects of oscillatory versus unidirectional flow. Mar. Ecol. Prog. Ser. 247:51-57. 

  35. Udy JW and WC Dennison. 1997.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ree seagrass species to elevated sediment nutrients in Moreton Bay, Australia. J. Exp. Mar. Biol. Ecol. 217:253-277. 

  36. Widemann JR and TT Bannister. 1986. Absorption and scattering coefficients in Irondequoit Bay. Limnol. Oceanogr. 31:567-5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