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릉도 연안의 거머리말속 잘피 분포
Distribution of the Seagrass, Zostera spp. in Ulleungdo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5 no.4, 2020년, pp.106 - 116  

박정임 (해양생태기술연구소 기업부설연구소) ,  김재훈 (해양생태기술연구소) ,  송휘준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구연 (경남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릉도에 자생하는 거머리말속 잘피 분포 현황을 밝히기 위해 2019년 9월말 울릉도 연안과 항내에서 선박을 이용하여 잠수조사를 하였다. 잘피 생육 환경을 조사하기 위해 잘피가 서식하는 장소의 해수와 퇴적물 공극수의 영양염 농도, 염분 및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울릉도 천부리, 저동리, 사동리와 남양리 연안에는 비교적 깊은 수심(14~24 m)에서 수거머리말 군락지가 관찰되었고, 총 생육면적은 약 4.9 ha이었다. 현포리 현포항내에는 3~5 m의 수심에서 생육면적 약 0.9 ha의 거머리말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거머리말의 평균 생육밀도와 생체량은 각각 121.9±9.7 shoot m-2와 99.0±13.2 gDW m-2로 서식지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거머리말의 생육밀도와 생체량은 각각 193.8±18.8 shoot m-2와 102.6±6.8 gDW m-2로 나타났다. 울릉도의 수거머리말과 거머리말 군락지 퇴적물의 영양염 농도와 퇴적물 유기물 함량은 남해안과 동해안의 잘피군락지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울릉도 연안의 거머리말속 잘피 현황을 최초로 보고하며,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울릉도 해역의 보존과 해양보호생물인 수거머리말과 거머리말 보호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distribution of the Zostera species growing naturally in Ulleungdo, scuba diving surveys using ships were conducted along the coast and inside the harbors of the island at the end of September 2019. In areas of seagrass occurrenc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nutrient concentrations in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울릉도 연안에 생육하는 해산 현화식물인 잘피의 출현 양상과 생육 환경을 조사하여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또한, 울릉도 연안의 거머리말속 잘피분포 현황을 조사하여 추후 자연적 또는 인위적 영향으로 이 곳 잘피군락의 변화를 조사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 2015). 본 연구는 울릉도 연안에 생육하는 해산 현화식물인 잘피의 출현 양상과 생육 환경을 조사하여 국내 최초로 보고한다. 또한, 울릉도 연안의 거머리말속 잘피분포 현황을 조사하여 추후 자연적 또는 인위적 영향으로 이 곳 잘피군락의 변화를 조사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den Hartog, C., 1970. The seagrass of the world. 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Netherlands, 275 pp. 

  2. Dennison, W.C., R.J. Orth, K.A. Moore, J.C. Stevenson, V. Carter, S. Kollar, P.W. Bergstrom and R.A. Batiuk, 1993. Assessing water quality with submersed aquatic vegetation. BioScience, 43(2): 86-94. 

  3. Gallegos, C.L., D.L. Correll and J.W. Pierce, 1990. Modeling spectral diffuse attenuation, absorption and scattering coefficients in a turbid estuary. Limnol. Oceanogr., 35: 1486-1502. 

  4. Hovel, K.A., M.S. Fonseca, D.L. Meyer, W.J. Kenworthy and P.G. Whitfield, 2002. Effects of seagrass landscape structure, structural complexity and hydrodynamic regime on macrofaunal densities in North Carolina seagrass beds. Mar. Ecol. Prog. Ser., 243: 11-24. 

  5. Kang, D.H., S. Cho, H. La, J.M. Kim, J. Na and J.G. Myoung, 2006. Estimating spati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seagrass habitats using Hydroacoustic system. Ocean Polar Res., 28(3): 225-236. 

  6. Kang, J.W., 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 Pusan Fish. Coll., 7: 1-125. 

  7. Kil, J.H., S.H. Park and K.S. Koh, 2006. The distribution of non-native plants in Ulleung Island. Korean J. Plant Res., 19(2): 237-242. 

  8. Kim, J.B., J.I. Park, C.S. Jung, P.Y. Lee and K.S. Lee, 2009. Distributional range extension of the seagrass Halophila nipponica into coastal waters off the Korean peninsula. Aquat. Bot., 90: 267-272. 

  9. Kim, J.H., S.H. Park, Y.K. Kim, S.H. Kim, J.I. Park and K.S. Lee, 2014. Seasonal growth dynamics of the seagrass Zostera caulescens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Ocean Sci. J., 49(4): 391-402. 

  10. Kim, K., J. Eom, J.-K. Choi, J.H. Ryu and K.Y. Kim, 2012. Application of hydroacoustic system and Kompsat-2 image to estimate distribution of seagrass beds. J. Korean Soc. Oceanogr., 17(3): 181-188. 

  11. Kim, K., J.H. Kim and K.Y. Kim, 2008. Using a digital ecosounder to estimate eelgrass (Zostera marina L.) cover and biomass in Kwangyang bay. Algae, 23: 83-90. 

  12. Kim, K.B. and G.I. Lee, 2008. A study on volcanic stratigraphy and fault of Ulleung-do , Korea. J. Eng. Geo., 18(3): 321-330. 

  13. Kim, S.T., K. Hwang, G.J. Park and C.G. Choi, 2016. Benthic algal community of Ulleungdo, East coast of Korea. J. Fish. Mar. Sci. Edu., 28(1): 83-90. 

  14. 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FIRA), 2019. 2018 Site survey for the marine forest (seagrass bed) creation in western coast of Korea. Busan, Korea, 225 pp. 

  15. Kwon, D.H., 2012. A Geomorphology on the Ulleungdo. Kor. Geomorph. Assoc., 19(4): 39-57. 

  16. Lacy, J.R. and S. Wyllie-Echeverria, 2011. The influence of current speed and vegetation density on flow structure in two macrotidal eelgrass canopies. Limnol. Oceanogr. Fluids Environ., 1(1): 38-55. 

  17. Lee, J.H., H.J. Cho and T.C. Hur, 2006. Spatial distribution and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 of forest vegetation in Ulleung Island, Korea. J. Ecol. Field Biol., 29(6): 521-529. 

  18. Lee, K.S., S.R. Park and J.B. Kim, 2005. Production dynamics of the eelgrass, Zostera marina in two bay systems on the south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Mar. Biol., 147: 1091-1108. 

  19. Lee, K.-S., S.R. Park and Y.K. Kim, 2007. Effects of irradiance, temperature, and nutrients on growth dynamics of seagrasses: A review. J. Exp. Mar. Ecol., 217: 253-277. 

  20. Lee, S.Y., S.M. Lee, J.H. Kim and C.I. Choi, 2003. Phenology and morphometrics change of Zostera marina L. population at Duksan Port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J. Korean Soc. Oceanogr., 2: 70-77. 

  21. Lee, S.Y., Y. Suh, S. Kim and C.I. Choi, 2002.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Zostera caulescens Miki (Zosteraceae) in Korea. Ocean Polar Res., 24(4): 345-357. 

  22. Mckenzie, L.J., M.A. Finkbeiner and H. Kirkman, 2001. Methods for mapping seagrass distribution. In: Global Seagrass Research Methods, edited by Short, F.T. and R.G. Coles, Elsevier, Amsterdam, pp. 101-121. 

  2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2007.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arine Ecosystems Act. 

  24. Myoung, J.G., J.H. Park, S.H. Cho and J.M. Kim, 2005. Fish fauna in coastal Waters of Ulleungdo, Korea by Scuba investigation in Summer. Korean J. Ichthyol., 17(1): 84-87. 

  25. Orth, R.J., T.J.B. Carruthers, W.C. Dennison, C.M. Duarte, J.W. Fourqurean, K.L. Heck, A.R. Hughes, G.A. Kendrick, W.J. Kenworthy, S. Olyarnik, F.T. Short, M. Waycott and S.L. Williams, 2006. A global crisis for seagrass ecosystems. BioScience, 56: 987-996. 

  26. Paik, E.I., 1986. Distribution of Polychaetous Annelid worms from Ulnung-do Coast. Bull. Korean Fish Soc., 19(4): 363-367. 

  27. Park, J.I., J.H. Kim, Y.H. Hwang and J.U. Lee, 2019. The distribution of seagrass (Zostera spp.) along the coasts of Korea. In: Proceedings of Spring symposium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cology, Jeju, pp. 99. 

  28. Park, J.I., J.Y. Park and M.H. Son, 2012. Seagrass distribution in Jeju and Chuja Islands. Korean J. Environ. Biol., 30(4): 339-348. 

  29. Rho, T.K., Y.B. Kim, J.I. Park, Y.W. Lee, D.H. Im, D.J. Kang, T. Lee, S.T. Yoon, T.H. Kim, J.H. Kwak, H.J. Park, M.K. Jeong, K.I. Chang, C.K. Kang, H.L. Suh, M. Park, H. Lee and K.R. Kim, 2010. Plankton community response to physico-chemical forcing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during Summer 2008. Ocean Polar Res., 32(3): 269-289. 

  30. Thomas, F.I.M. and C.D. Cornelisen, 2003. Ammonium uptake by seagrass communities: Effects of oscillatory versus unidirectional flow. Mar. Ecol. Prog. Ser., 247: 51-57. 

  31. Yang, J.H., J.B. Lee, H.W. Lee, H.K. Cha, S.R. Kim and Y.W. Heo, 2016. Maturity and spawning of sebastes thompsoni in the coastal waters off Ulleungdo, Korea. Kor. J. Fish. Aquat. Sci., 49(3): 404-409. 

  32. Yang, S., H.D. Jang, B.M. Nam, G.Y. Chung, R.Y. Lee, J.H. Lee and B.U. Oh, 2015. A florisitic study of Ulleungdo Island in Korea. Korean J. Pl. Taxon., 45(2): 192-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