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국연안해역에서 저서 와편모조류의 출현 및 분포현황에 대한 첫 보고
First Report for Appearance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Epiphytic Dinoflagellates in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0 no.4, 2012년, pp.355 - 361  

백승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전국연안에서 해조류에 부착한 저서성 부착 맹독와편모조류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2011년 11월 25일에서 30일 사이 조사하였다. 해조류에 부착하는 맹독와편모조류 Gambierdiscus spp.는 전국 27개 정점 중 5개 정점[St. 6 (전남고흥군), St. 9 (경남남해군), St. 18 (경북 포항시 구룡포), St. 20 (경북 영덕), St. 26 (강원도 양양)]에서 출현하였다. Ostreopsis spp.는 3개 정점의 해조류[St. 11 (잎꼬시래기, 붉은까막살, 애기풀가사리), St. 18 (진두발, 마디잘록이, 참곱슬이), St. 21 (붉은까막살, 마디잘록이, 큰잎모자반)]에서 출현하였으며, 그중, 정점 18에서는 극히 높은 개체수(140 cells $g^{-1}$)가 관찰되었다. Prorocentrum lima는 서해와 남해안에서는 거의 출현하지 않았으나, 동해해역 대부분의 정점에서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Coolia spp.는 서해와 남해안에서는 전혀 출현하지 않았으나, 동해해역 일부 정점에서 극히 낮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결과적으로 아열대성 저서 와편모조류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연안해역 (동해를 중심으로)에 정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그들의 개체수 밀도는 해조류의 기질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us of Gambierdiscus, Ostrepsis, Prorocentrum, Coolia and Amphidinium are epiphytic ciguatoxin-producing armored dinoflagellate, often attached on macroalgae. These organisms are the primary causative agent of ciguatera fish poisoning which occurs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However, re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국연안해역(서해, 남해, 동해)에서 해조류에 부착한 저서성 맹독 와편모조류가 출현하고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남해과 동해 연안에서 해조류에 부착한 저서 부착 맹독와편모조류의 정착 및 출현 여부에 초점을 맞춰 조간대의 Tidal pool에 국한되어 조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조간대에서 우점하는 해조류의 생물상에 따라서 부착미세조류의 분포 및 개체수 현존량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연안에서 아열대성 와편모조류의 정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각 정점에서 주요 우점 해조류(2~3종)를 채집하여 평가하였다. 전국 연안의 각 정점에서 채집한 해조류의 종(국명과 학명)리스트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구아테라독이 축적된 어류를 인간이 먹을 경우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가? 특히 시구아테라독이 축적된 어류를 인간이 먹을 경우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킨다. 시구아테라독에 의하여 사망하는 경우는 적지만, 그 증상으로 구토, 설사, 심장박동수 저하, 두통, 근육통 등의 신경계질환 등이 있고, 심할 경우 지각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aylor 1979; Yasumoto et al. 1980).
시구아테라독에 의한 피해를 일으키는 원인 생물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1994; Parsons and Preskitt 2007). 질환 발생 원인 생물로는 상업용으로 가치가 높은 자연산 돌돔(Japanese parrotfish: Oplegnathus punctatus)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Yasumoto et al. 1980; Yasumoto personal comments).
저서성 부착 와편모조류 Gambierdiscus, Ostreopsis, Coolia, Prorocentrum, 그리고 Amphidinium은 어떤 조류인가? 저서성 부착 와편모조류 Gambierdiscus, Ostreopsis, Coolia, Prorocentrum, 그리고 Amphidinium은 시구아테라 어류독을 생성하는 열대 및 아열대에 서식하는 미세조류이다(Taylor 1979). 이동반경이 좁고 해조류를 먹이원으로 하는 토착성 어류는 해조류에 부착한 저서와편모조류를 빈번하게 섭식할 수 있으며, 먹이연쇄를 통하여 와편모조류기원의 시구아테라독이 상위 영양단계의 생물(어류 및 포유류)에 전달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강제원. 1968. 한국동식물도감 제8권 식물편(해조류) 465pp. 

  2. 백승호. 2012. 남해무인도서 백도와 서귀포 인근 섶섬에서 맹독성저서와편모조류 Gambierdiscus spp.의 출현. Ocean Polar Res. 34:65-71. 

  3. 최창근, 김영대, 공용근, 박규진. 2007. 한국 동해연안 해조류 생태도감 165pp. 

  4. Carlson RD and DR Tindall. 1985. Distribution and periodicity of toxic dinoflagellates in the Virgin Islands. pp. 171-176. In Toxic Dinoflagellates (Anderson DM, White AW and Baden DG eds.). Elsevier, New York, 

  5. Chang FH, Y Shimizu, B Hay, R Stewart, G Mackay and R Tasker. 2000. Three recently recorded Ostreopsis spp. (Dinophyceae) in New Zealand: temporal and regional distribution in the upper North Island from 1995 to 1997. New Zealand J. Mar. Freshwat. Res. 34:29-39. 

  6. Chinain MM, M Germain, X Deparis, S Pauillac and AM Legrand. 1999. Seasonal abundance and toxicity of the dinoflagellate Gambierdiscus spp. (Dinophyceae), the causative agent of ciguatera in Tahiti, French Polynesia. Mar. Biol. 135:259-267. 

  7. Gong GC, YLL Chen and KK Liu. 1996. Chemical hydrography and chlorophyll-a distribution in the east china sea in summer: implications in nutrient dynamics. Cont. Shelf Res. 16:1561-1590. 

  8. Grzebyk G, B Berland, BA Thomassin, C Bosi and A Arnoux. 1994. Ecology of ciguateric dinoflagellates in the coral reef complex of Mayotte Island (S.W. Indian Ocean). J. Exp. Mar. Ecol. 178:51-66. 

  9. Hama T, KH Shin amd N Handa. 1997. Spatial variability in the primary productivity in the East China Sea and its adjacent waters. J. Oceanogr. 53:41-51. 

  10. Heil CA, P Bird and WC Dennison. 1998. Macroalgal habitat preference of ciguatera dinoflagellate at Heron Island, a coral cay in the southeastern great barrier reef, Australia. pp. 52-53. In Harmful Algae (Reguera B, J Blanco, ML Fernandez and T Wyatt eds.). Xunta de Galicia and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of UNESCO, Santiago de Compostela. 

  11. Ishikawa A and A Kurashima. 2010. Occurrence of the toxic benthic dinoflagellate Gambierdiscus toxicus in Ago Bay, central part of Japan. Bull. Jpn. Soc. Fish. Oceanogr. 74: 13-19. 

  12. Ishikawa A, Y Takeichi and T Takayama. 2012.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the benthic dinoflagellate Gambierdiscus sp. isolated from temperate coastal waters of Japan. pp. 82. In The 15 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ful Algae, Changwon. 

  13. Kim HS, WH Yih, JH Kim, G Myung and HJ Jeong. 2011. Abundance of epiphytic dinoflagellates from coastal waters off Jeju Island, Korea during autumn. Ocean Sci. J. 46:205- 209. 

  14. Kim K, KI Chang, DJ Kang, YH Kim and JH Lee. 2008. Review of recent findings on the water masses and circulation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J. Oceanogr. 64:721-735. 

  15. Parsons ML and LB Preskitt. 2007. A survey of epiphytic dinoflagellates from the coastal waters of the island of Hawaii. Harmful Algae 6:658-669. 

  16. Rhodes L, J Adamson, T Suzuki, L Briggs and I Garthwaite. 2000. Toxic marine epiphytic dinoflagellates, Ostreopsis siamensis and Coolia monotis (Dinophyceae), in New Zealand. New Zealand J Mar. Freshwat. Res. 34: 371-383. 

  17. Selina MS and TY Orlova. 2010. First occurrence of the genus Ostreopsis (Dinophyceae) in the Sea of Japan. Bot. Mar. 53: 243-249. 

  18. Taniyama S, O Arakawa, M Terada, S Nishio, T Takatani, Y Mahmud and T Noguchi. 2003. Ostreopsis sp., a possible origin of palytoxin (PTX) in parrotfish Scarus ovifrons. Toxicon 42:29-33. 

  19. Taylor FJR. 1979. The description of the benthic dinoflagellate associated with maitotoxin and ciguatoxin, including observations on Hawaiian material. pp. 71-77. In Toxic Dinoflagellate Blooms (Taylor DL and HH Seliger eds.). Elsevier Scientific, NY. 

  20. Turquet J, JP Quod, A Coute and MA Faust. 1998. Assemblage of benthic dinoflagellates and monitoring of harmful species in Reunion Island, SW Indian Ocean, 1993-1996. pp. 44- 47. In Harmful Algae (Reguera B, J Blanco, ML Fernandez and T Wyatt eds.). Xunta de Galicia and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of UNESCO, Santiago de Compostela. 

  21. Yasumoto TA, A Inoue, T Ochi, K Fujimoto, Y Oshima, Y Fukuyo and R Adachi. 1980. Environmental studies on a toxic dinoflagellate responsible for ciguatera. Bull Jpn. Soc. Sci. Fish. 46:1397-14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