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구의 재보존처리
Conservation of the Reliquary from the East Pagoda at Gameunsa Temple Site 원문보기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13, 2012년, pp.59 - 69  

박학수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보물 제1359호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구 중 금동전각형사리기의 귀꽃이 2010년 11월에 분리된 것을 계기로, 금동사리기외함을 포함하여 2점의 재보존처리를 2011년 3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보존처리는 과도한 광택과 기포를 가진 코팅부위를 제거하고 인크랄락(Incralac)으로 재코팅 하는 과정과, 균열 부위와 분리된 귀꽃을 재접합 후 직조 유리 섬유로 보강하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코팅과 접착제 부위가 가진 광택과 기포를 제거할 수 없는 부위는 소광(消光) 처리와 채색을 통해 광택과 기포가 눈에 적게 띄도록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lower type ornament of the gilt bronze palace-type sarira reliquary among those sarira reliquaries of the East Pagoda at the Gameunssa Temple Site, which is the Treasure No. 1359 ow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separated from the sarira reliquary in November 2010, thus conducting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존처리 범위와 방법 등에 관한 자문을 받기 위해 자문위원으로 이오희(문화재위원), 강순형(국립문화재연구소), 김연수(국립고궁박물관), 유재은(국립문화재연구소)을 위촉하였으며, 자문회의는 2011년 2월 24일과 2011년 10월 21일에 걸쳐 2회 개최하였다. 이 글을 통해 보존처리가 되었던 문화재를 다시 보존처리 하며 고려해야만 했던 점들과 보존처리 과정에서 사용한 방법과 재료를 중심으로 소개하겠다.

가설 설정

  • 5. 기포가 존재하는 접착부위는 주변과 유사하게 채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금동사리기외함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 금동사리기외함(이하 외함, 유물번호: 신수16424)은 본체, 뚜껑, 바닥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닥판은 본체와 접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다(Figure 1). 본체, 뚜껑의 표면 코팅층에 광택이 많고 기포가 있는 부위가 존재하며, 또한 코팅재가 흘러 내리며 굳은 부분이 다수 존재한다(Figure 2).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구의 바닥판 균열은 무엇을 이용하여 접합하였는가? 바닥판의 균열부위는 에폭시계 수지인 Araldite Rapid에 무기안료를 혼합하여 접합하였다. 바닥판의 중량에 비해 접합부위의 단면적이 작아서 이동 등 정상적으로 가하지는 힘에도 버티기 어렵기 때문에 직조된 유리섬유(KPI사, KN 303-HS)에 Paraloid B-72를 침투시켜 판 상으로 굳힌 것을 접합부위, 복원부위와 인접한 바닥판을 덮을 수 있는 정도로 잘라서 하부 쪽에 덧댄 후, 자일린(Xylene)에 Paraloid B-72를 10 wt% 용해시킨 용액을 발라 부착시켜 강화시켰다(Figure 6(r),(s),(t)).
사리기에서 분리된 귀꽃은 무엇을 이용하여 접합하였나? 사리기에서 분리된 귀꽃은 아크릴계 접착제인 HMG B-72에 무기안료를 혼합하여 본체에 접합하였다. 이 부위 역시 접합면의 면적이 작아 접합된 귀꽃의 무게를 지속적으로 지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에, 앞서 사용한 직조 유리섬유판을 접합부위의 안쪽에 덧대고 아세톤을 사용하여 붙여 주었다(Figure 8(a),(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