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월 하송리 출토 금속유물 보존처리 및 제작기법 연구
Production Techniques for the Metal Artifacts Excavated in Hasong-ri, Yeongwol and Their Conservation Treatment 원문보기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21, 2019년, pp.53 - 66  

이병훈 (강원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팀) ,  고형순 (강원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팀) ,  김수기 (용인대학교 문화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원도 영월 하송리 유적에서 출토된 금속유물의 보존처리 과정과 표면성분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금동소형풍탁 1점, 풍설 2점, 호리병 형태 소형 청동병 1점을 대상으로 XRF를 이용한 표면 성분분석을 진행하였고, 호리병 형태 소형청동병은 X-ray를 통한 내부구조관찰을 실시하였다. 금동소형풍탁과 풍설은 같은 위치에서 출토되었으나, 금동소형풍탁은 도금층이 확인되는데 반해, 풍설은 부식층이 표면에 고착되어 가시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분석결과 금동소형풍탁은 Cu-Sn-Pb 3원계 합금 청동소지에 Au를 수은 아말감으로 도금하여 제작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풍설은 소지가 구리이며, 소량의 금성분이 검출되었다, 호리병 형태 소형 청동병은 형태적으로 비슷한 고려시대 화폐인 은병(銀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표면 성분분석과 함께 X-ray 촬영을 실시하였다. X-ray 촬영 결과 저부의 가운데 부분에 작은 구멍을 막았던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확인되었으며, 전체적인 표면분석 결과에서는 은이 검출되지 않아 은병이 아닌 청동유물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scribes the processes undertaken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metal artifacts excavated in Hasong-ri, Yeongwol, Gangwon-do and the results of the related surface composition analysis. X-ray fluorescence analysis (XRF) was applied to analyze the surface composition of a small gilt-b...

주제어

표/그림 (2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청동병은 형태가 고려시대 화폐인 은병과 비슷하여 X-ray 촬영을 통해 정확한 형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은(Ag) 성분이 첨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X-ray 촬영 결과 저부의 가운데 부분에 작은 구멍을 막았던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확인되었으며, 전체적인 표면분석 결과에서는 은이 검출되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영월 하송리 유적에서 출토된 금속유물 중 금동소형풍탁 1점, 풍설 2점, 청동병 1점을 대상으로 보존처리 과정과 표면 성분분석 결과를 서술하였다. 금동소형풍탁과 풍설은 같은 장소에서 출토되어 유물 표면의 화학적 조성을 살펴보았다. 청동병은 고려시대 화폐였던 은병과 형태가 유사하여 은의 첨가 여부를 확인하고자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 또한, 청동병은 고려시대 화폐였던 은병과 형태가 유사하여, 성분분석을 통해 사실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유물 표면의 여러 points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의 경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분석데이터를 해석하였다.
  • 우선, 같은 장소에서 출토된 금동소형풍탁과 풍설의 화학적 조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청동병은 고려시대 화폐였던 은병과 형태가 유사하여, 성분분석을 통해 사실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유물 표면의 여러 points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의 경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분석데이터를 해석하였다.
  • ArtTAX potable μXRF Spectrumeter, Germany)를 이용하여 표면 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제작기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청동병이 고려시대 화폐인 은병과 형태상으로 매우 유사하여 분석을 통해 각 부분별로 은(Ag) 성분 포함여부를 확인하고, 서로간의 관련성을 찾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영월 하송리에서 출토된 금속유물의 보존처리 과정과 표면 성분분석 결과를 서술하였다. 보존처리 및 연구대상 유물은 금동소형풍탁 1점, 풍설 2점, 청동병 1점이다.
  • 보존처리 및 연구대상 유물은 금동소형풍탁 1점, 풍설 2점, 청동병 1점이다. 우선, 같은 장소에서 출토된 금동소형풍탁과 풍설의 화학적 조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청동병은 고려시대 화폐였던 은병과 형태가 유사하여, 성분분석을 통해 사실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 청동병은 형태가 고려시대 화폐인 은병과 비슷하여 X-ray 촬영을 통해 정확한 형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은(Ag) 성분이 첨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 풍설 두 점은 부식층이 표면 전체적으로 덮여있어서, 도금의 흔적이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금동소형풍탁과 함께 출토되었기 때문에 형태적으로 관련성이 있을 것이라 추정하여 도금의 흔적을 찾고자 하였다. 표면분석 결과 구리 (Cu) 성분이 98%정도이며, 금(Au)은 소량 검출되었고 수은(Hg)은 확인되지 않았다(도6~7, 표5~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월 하송리 유적에 대해 설명하라 영월 하송리 유적은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 산 33번지에 위치한 서산사지라고 전해 오는 문화유적분포범위에 해당되는 곳으로 이와 관련된 유물이 발굴되었다[1] . 영월 하송리 유적은 영월 지역에서 고려시대 사지로는 처음 확인된 유적이며, 조사결과 7동의 건물지와 건물지 부속시설인 축대, 배수로, 담장 등이 확인되었다.
영월 하송리 유적이 가지는 의의? 영월 하송리 유적은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 산 33번지에 위치한 서산사지라고 전해 오는 문화유적분포범위에 해당되는 곳으로 이와 관련된 유물이 발굴되었다[1] . 영월 하송리 유적은 영월 지역에서 고려시대 사지로는 처음 확인된 유적이며, 조사결과 7동의 건물지와 건물지 부속시설인 축대, 배수로, 담장 등이 확인되었다.
청동병의 X-ray 분석 결과를 서술하라 그리고 은(Ag) 성분이 첨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X-ray 촬영 결과 저부의 가운데 부분에 작은 구멍을 막았던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확인되었으며, 전체적인 표면분석 결과에서는 은이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유물 본체와 바닥 가운데 구멍부분의 구리 함량에 차이가 있으며, 구멍부분 납의 함량이 본체의 납 함량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청동병의 본체와 저부 구멍부분의 함량에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제작과정을 달리했을 가능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文化財廳.江原道.寧越郡.江原文化財硏究所, p178, 文化遺蹟分布地圖-寧越郡, (2004). 

  2. 천득염, 지승용, 한국의 청동탑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Vol.7, No.2, p37, (1998). 

  3. 김도연, 高麗時代 銀貨유통에 관한 -硏究 韓國史學報, (2001). 

  4. 高麗史節要 卷6 肅 宗 6년 6월, "六月詔曰 金銀天地之精 國家之寶也 近來奸民 和銅盜鑄 自今用銀甁 皆標印 以爲永式 違者重論 時用銀甁爲貨 其制以銀一斤爲之 像本國地形 俗名闊口." 

  5. 국사편찬위원회,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i/view.do?treeId04013&levelIdti_013_0210 

  6. 강원문화재연구소, 영월 하송리 유적, p3, 강원도민일보사, 춘천,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