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솔비탄계 비이온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른 에멀션점착제의 점착물성
Adhesive Properties of Emulsion PSA for Various Nonionic Sorbitan Surfactants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3 no.4, 2012년, pp.182 - 187  

임태균 (동국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명천 (동국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에멀션형 점착제 분야에서 노닐페닐계 비이온계면활성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찾기 위해 솔비탄계 비이온계면활성제를 다양한 화학구조별로 선별하여 에멀션형 점착제를 제조한 후 이를 노닐페닐계 비이온계면활성제인 NPE40을 사용한 점착제와 점착물성을 비교해 봄으로써 그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NSR10-series와 Tween 60의 경우에 NPE40의 경우보다 초기점착력, 박리강도 그리고 유지력 면에서 모두 더 우수한 점착물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솔비탄계 비이온계면활성제의 특이한 화학구조와 소수성기와 에틸렌옥사이드기의 적절한 비율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aking emulsion-typ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environmentally friendly sorbitan nonionic surfactants having various chemical structures were prepared and us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ng the traditional nonyl-phenyl nonionic surfactant (NPE40) by comparing their adhesive...

주제어

참고문헌 (16)

  1. A. Zosel and B. Schuler, J. Adhes., 70, 179 (1999). 

  2. 김남석, 김성훈, 한국유화학회지, 27, 216 (2010). 

  3. H. J. Youn and H. L. Lee, J. Korea Tech. Assoc. Pulp Pap. Ind., 30, 28 (1998). 

  4. 최용해, 강진규, 이원기, 접착 및 계면, 10, 1 (2009). 

  5. 정영식, 민성기, 설수덕, 접착 및 계면, 10, 174 (2009). 

  6. A. Lindgren, M. Sjostrom, and S. Wold, J. Am. Oil Chem. Soc., 73, 863 (1996). 

  7. L. Uppgard, A. Lindgren, M. Sjostrom, and S. Wold, J. Surfact. Deterg., 3, 33 (2000). 

  8. 한인선, 계면활성제/접착제, 22, 2 (2005). 

  9. K. K. Gautam, J. Oleo Sci., 55, 155 (2006). 

  10. S. J. Maneerat, Sci. Tech., 27, 675 (2005). 

  11. D. Kim, C. Huang, H. Lee, I. Han, S. Kang, S. Kwon, J. Lee, Y. Han, and H. Kim, Appl. Catalyst A, 249, 229 (2003). 

  12. L. L. Schramm, E. N. Stasiuk, and D. G. Marangoni, Annu. Rep. Prog. Chem., Sect. C, 99, 3 (2003). 

  13. L. Felton, A. Tammie, and T. Moore, Drug Dev. Ind. Pharm., 26, 205 (2000). 

  14. E. E. McEntire, R. Stockl, and C. Ramesh, US Patent 0259029 (2007). 

  15. Y. K. Jeong, US Patent 0190551 (2008). 

  16. J. Ni and C. Breyer, US Patent 0171245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