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ween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중합한 에멀션점착제의 접착물성
Adhesive Properties of Emulsion PSA Polymerized Using Tween Series Nonionic Surfactants 원문보기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화학공학, v.52 no.3, 2014년, pp.289 - 293  

임태균 (동국대학교 화공생물공학과) ,  이명천 (동국대학교 화공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에멀션형 점착제 분야에서 노닐페닐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찾기 위해 Tween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선정하여 에멀션형 점착제를 제조한 후 이를 노닐페닐계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NP-40을 사용한 점착제와 점착물성을 비교해 봄으로써 그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Tween 60과 Tween 80의 경우 NP-40의 경우보다 박리강도와 유지력 면에서 매우 우수한 점착물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aking emulsion typ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environmentally friendly Tween series nonionic surfactants were us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ng the traditional nonyl-phenyl nonionic surfactant (NP-40) by comparing their adhesive properties. Results exhibited that the PS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다양한 구조의 Tween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수성 아크릴 에멀션을 중합하고 그 물성을 측정하여 이 계면활성제의 구조 변화가 점착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이용하여 Tween계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기존 노닐페닐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물질인지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다양한 구조의 Tween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수성 아크릴 에멀션을 중합하고 그 물성을 측정하여 이 계면활성제의 구조 변화가 점착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이용하여 Tween계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기존 노닐페닐계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물질인지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멀션형 점착제 중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또한 물을 사용한다는 친환경적 장점 때문에기존의 용제형 점착제를 지속적으로 대체해 가고 있다. 그러나 친환경적이라고 인식되어져 왔던 에멀션형 점착제가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각종 첨가제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계속 발표됨으로써 보다 완벽한 친환경 에멀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에멀션형 점착제의 장점은 무엇인가? 에멀션형 점착제는 가격이 싸고 사용성의 편리함 때문에 건축내외장, 목공, 화장품, 의료용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물을 사용한다는 친환경적 장점 때문에기존의 용제형 점착제를 지속적으로 대체해 가고 있다. 그러나 친환경적이라고 인식되어져 왔던 에멀션형 점착제가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각종 첨가제로 인해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계속 발표됨으로써 보다 완벽한 친환경 에멀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에멀션 점착제의 중합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주 역할은 무엇인가? 에멀션 점착제의 중합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그 종류에 따라 중합시 수행하는 역할이나 기대하는 효과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의 주 역할은 계면장력을 낮추어 입자 표면의 기계적 강도를 높혀 주기 위함이다. 에멀션 점착제를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중합한 경우 그 사용양에 상당히 민감하게 작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allegol, J., Gorce, J.-P., Dupont, O., Jeynes, C., McDonald, P. J. and Keddie, J. L., "Origins and Effects of a Surfactant Excess near the Surface of Waterborn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J. Am. Chem. Soc., 18(11), 4478-4487(2002). 

  2. Lee, H. J., Jang, S. H., Chang, S. M. and Kim, J. M.,"Study on Polymerization Condition of Water-based Acrylic Adhesion," Korean Chem. Eng. Res.(HWAHAK KONGHAK), 48(5), 609-614(2010). 

  3. Zosel, A. and Schuler, B., "The Influence of Surfactants on the peel strength of Water-bas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 Adhes., 70(1-2), 179-195(1999). 

  4. Kim, N. S. and Kim, S. H., "Effect of Protective Colloid on the Synthesis of Poly(Vinyl acetate-co-Ethyl acrylate," J. Korean Oil Chemists' Soc., 27(2), 216-221(2010). 

  5. Youn, H. J. and Lee, H. L., "Development of Multi-function Mulch papers and Evaluation of Their Performance," Journal of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30(3), 38-45(1998). 

  6. Lindgren, A., Sjostrom, M. and Wold, S., "Quantitative Structure-Effect Relationships for Some Technical Nonionic Surfactants," J. Am. Oil Chem. Soc., 73(7), 863-875(1996). 

  7. Uppgard, L., Lindgren, A., Sjostrom, M. and Wold, S., "Multivariate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for the Aquatic Toxicity of Alkyl Polyglucosides," J. Surfactants Deterg., 37(2), 131-138(2000). 

  8. Han, I. S., "Environmentally friendly Nonionic Surfactant," Surfactant/ Adhesive, 22(3), 2-7(2005). 

  9. Gautam, K. K. and Tyagi, V. K., "Microbial Surfactants: A Review," J. Oleo Sci., 55(2), 155-166(2006). 

  10. Maneerat, S. J., "Biosurfactants from Marine Microorganism," Sci. Tech., 27(6), 1263-1272(2005). 

  11. Schramm, L. L., Stasiuk, E. N. and Marangoni, D.G., "Surfactants and Their applications," Annu. Rep. Prog. Chem., Sect. C, 99(2), 3-48(2003). 

  12. Park, M. C. and Lee, M. C., "Effects of Polymeric Emulsifiers on the Properties of Acrylic Emuls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J. Appl. Polym. Sci., 94(2), 1456-1460(2004). 

  13. Park, M. C. and Lee, M. C., "Adhesive Properties of Acrylic Emul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ith Polymeric Emulsifier," Polymer, 27(6), 596-602(2003). 

  14. Seo, I. S. and Lee, M. C., "Effects of Intra-particle Composition on the Adhesive Properties and Water Dispersity of Water Dispersible Acrylic Emul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J. Korean Ind. Eng. Chem., 18(5), 444-448(2007). 

  15. Li, B. and Brooks, B. W., "Semi-batch Processes for Emulsion Polymerisation," Polym. Int., 29(1), 41-46(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