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역할만족도가 0-3세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Satisfaction on Attachment Formation with Their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1 no.1, 2012년, pp.27 - 40  

노지영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황혜신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mothers' attachment formation with their children. For this research, mothers' attachment formation with their children was examined based on the relationship involving three factors: personal variables,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와 관련된 변인만을 제한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추후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변인을 포함한 연구가 요구된다.
  • 현재 아동의 애착형성과의 관계에서 양육행동이나 양육 태도에 관련된 연구들만 있을 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나 부모역할만족도 같은 심리적, 정서적 요인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애착형성 연구에서 아동과 양육자의 양육행동 에만 초점을 두던 것에서 벗어나 양육자의 심리적, 정서 적인 측면까지 고려하고자 한다. 또한, 부모역할에 대한 지각을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인 요인으로만 보기보다는 만족감과 같은 긍정적인 차원에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 또한, 부모역할에 대한 지각을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인 요인으로만 보기보다는 만족감과 같은 긍정적인 차원에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여러 변인 중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역할만족도가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영아에게는 부모와 안정된 애착을 형성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지만 양육의 부담이 가중 되는 부모에게는 힘든 시기일수도 있으며 이는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이시기에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 그러나 상대적으로 애착이 형성되는 영아기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이 자녀의 입장에서 애착형성에 관심을 가지고 이루어졌다면, 본 연구 에서는 0-3세 자녀를 가진 어머니를 중심으로 자녀와의 애착형성이 어떻게 이루어지며,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살피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 자신에게나 자녀 모두에게 영향을 주는 변인이라고 여겨, 심리적 특성인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착과 관련된 연구결과도 다소 일관되지 않아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개념의 양육스트레스의 유의한 영향변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도 양육스트레스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0-3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들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역할만족도가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아동발달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개인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부모역할만족도, 및 영아기 자녀와의 애착형성 간에 상관관계분석을 하고, 어머니의 개인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부모역할만족도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영아기 자녀와의 애착형성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애착이 형성되는 0∼3세의 자녀를 둔 어머 니들을 대상으로 하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어머니의 역할만족도가 영아기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아동발달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 또한 자녀의 부모와의 애착에 관심이 있을 뿐, 애착형성의 주체가 되는 어머니의 애착형성에 관심을 둔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 자신에게나 자녀 모두에게 영향을 주는 변인이라고 여겨, 심리적 특성인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애착과 관련된 연구결과도 다소 일관되지 않아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개념의 양육스트레스의 유의한 영향변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도 양육스트레스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영아가의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를 키우고 부모 역할을 수행하면서 심리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경험하지만, 반면에 기쁨이나 행복 등의 긍정적인 정서적 체험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변인으로 부모역할 만족도를 고려해 보고자 하였다. 부모역할은 결혼한 부부가 자녀를 출산한 순간부터 부모라는 위치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일에 있어 수행하도록 기대되는 특정적 행동으로서, 부모역할로의 전환은 부모에게 많은 어려움을 줌과 동시에 높은 만족도를 준다.
  • 어머니의 영아기 자녀와의 애착형성은 주 양육자인 어머니와 자녀와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자녀를 낳으면서 겪게 되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고려해 보고자 하였다. 양육스트레스란 구체적 상황 하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로 가족체계가 직면하는 발달 과정 속에서 어느 정도 예상되는 스트레스이며, 어머니는 자녀양육으로 인해 정신적, 신체적 피로감을 느끼고 생활이 자유롭지 못 한 점 등에 심리적 부담감을 느낄 수 있다(Kim & Kang, 1997).
  • 양육스트레스는 자녀를 키우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겪게 되는 개인적 경험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특히 출산 이후 육아의 스트레스가 많으며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중요한 시기인 영아기의 부모가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출산 후의 어머니는 자신의 몸을 회복해야하는 동시에 어린 영아를 키우면서 더 많은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 영아기 자녀에 대한 양육자의 애착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Hwang(2005)의 ‘어머니 애착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영아기 1개월부터 사용가능하며, 우리나라 어머니의 전통적인 문화적 배경과 정서적 문화에 기반을 두고 우리나라 아동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형성을 측정하고자 개발되었다. 어머니의 애착형성을 총 8개의 하위요인 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동안 애착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는데, 대표적으로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그동안 애착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스트레스, 어머니와 아버지의 아동기 경험 등의 다양한 요인들을 애착의 관련 변인으로 본연구들(Hong, 2004; Heo, 2001; Kang, 2008; Moon et al., 2007)과, 부모특성과 애착과의 관계, 애착과 다른 발달 특성과의 관계를 밝히고 있는 연구들(Jung et al., 2006; Han & Lee, 2003; Hwang & Chung, 2006; Yoon, 2002)이 대표적이다. 위의 연구들이 대부분 유아기의 애착에 관심을 가지고 애착과 관련된 변인들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Lee(2002)는 아동의 애착은 무엇과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나? Lee(2002)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애착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아동의 애착은 어머니 스트레스와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는 상황에서 매일 일어날 수 있는 스트레스 사건에 대해 어머니가 그 사건을 스트레스로 지각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애착안정성이 낮아진다고 하였다.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영아기의 자녀와 형성하는 애착은 어떤 점에서 중요성을 가지는가?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영아기의 자녀와 형성하는 애착은 일차적으로 형성되는 가장 기본적인 애착이며 이 때 형성된 애착관계의 질은 성인이 된 후에도 인간의 행동이나 관계형성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가진다. 영아기에 형성되는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은 영아의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만 아니라 언어발달, 표현능력, 문제해결능력, 호기심, 자기통제력 등과 같은 영아기 이후의 전반적인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 Charlottes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 Ahn, J. Y. (2000).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3. Bang, K. S. (2000). Effects of maternal role education program on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and infa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4. Bee, H. L., Barnard, K. E., Eyres, S. J., Gray, C. A., Hammond, M. A., Spietz, A.L., Snyder, L., & Clark, B. (1982). Prediction of IQ and language skill from prenatal status, child performance, family characteristics,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53, 1134-1156. 

  5. Crinic, K. A., & Greenberg, M. T.(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16, 1628-1637. 

  6. Doh, H. S., & Kim, J. S. (1997). Social Support , Parent - Satisfaction ,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6), 127-135. 

  7. Guidubaldi, J., & Cleminshaw, H. K. (198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leminshaws-Guidbaldi parent-satisfaction scale, In M. J. Fine(ED.), The Second Handbook on Parent Education Contemporary Perspectives(p257-277). San Diego:Academic Hall. 

  8. Han, J. H., & Lee, Y. H. (2003). The relationship of maternal role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s with children's patterns of attachment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0(2), 119-149. 

  9. Han, T. S. (2008). The effects of mot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motionality, marital conflicts and parenting-related variables on preschool attach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10. Heo, M. S.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styles and child attachment security to parent.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1. Hong, M. R. (2004). Mother-child interaction during problem solving and related variable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2. Hwang, H. J. (2005). A study on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maternal attachment invent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13. Hwang, H. J., & Chung, O. B (2006). A study on mother's attachment to her infant and related factor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3(4), 95-115. 

  14. Hyun, O. K. (1993). Mothers' parental satisfactina and related variab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kuk University. 

  15. Hyun, O. K., & Cho, B. H. (1994). Development of the parent-satisfaction sca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2(1), 103-117. 

  16. Jung, S. H., Jin, M. K., Jung, U. S., & Lim, H. D. (2006). A study of infant-mother attachment and related variable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3(3), 21-37. 

  17. Kang, O. S. (2008).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achment type, parent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18. Kim, J. H., & Moon, H. J. (2006). Variables related to the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s of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1), 115-129. 

  19. Kim, K. H., & Cho, B. H. (2000). An ecological approach to analysis of variables in the parenting stress of the dual-earner mothers and fath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1(4), 35-50. 

  20. Kim, K. H., & Kang, H. K. (1997). Development of the parenting stress sca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5), 141-150. 

  21. Kim, S. R. (1992). Early day care and the family as predictors of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2. Kwon, M. K., Kwon, H. K., Moon, H. J., Sung, M. Y., Shin, Y. L., Ahn, S. H., Ahn, H. J., Lee, K. O., Chun, H. Y., Han, Y. M., Han, Y. J., & Hwang, H. S. (2005). Child Development. Seoul: ChangjiSa. 

  23. Lee, J. H. (1994). Attachment security and related variables between employed mothers and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4. Lee, K. H. (2002). A developmental pathway of child attachment security through maternal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1(4), 153-171. 

  25. Mann, M. B., & Thornberg, K. R. (1987). Guilt of working women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day car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27, 451-464. 

  26. Min, S. W.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hild-rearing stress on the child-rearing attitude : focused on the parents with their children attending children's nursing homes in dongdaemun-gu, Seoul.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27. Moon, H. J. (2001). A Study of Parental Satisfaction and Child - Rearing Practic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1), 205-219. 

  28. Moon, S. K., Lee, M. Y., & Park, S. H. (2007). The effects of parental childhood attachment, young children's temperament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49(1), 251-268. 

  29. Noh, A. M. (2008). The influences of parenting stress and self-differentiation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in mothers with infant.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30. Park, E. I. (1995). Attachment type between infant-mothers and related variab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31. Park, E. K. (2004). The study on the primary factors that effect on making attachment of the working couple and infancy.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32. Park, J. H. (2008).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attachment to their young children and satisfaction with the parental role, and the femal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quotient (EQ). Master's thesis. Chongshin University. 

  33. Song, S. M., & Song, J. S. (2007). A Study on Parenting Beliefs, Parental Satisfaction, and Child Rearing Stress. Korean Journal of Humand Ecology, 16(5), 933-944. 

  34. Won, J. S. (1990). An empirical study on transition to parenthoo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35. Yoon, J. H. (2002).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child attachment, and social adjustment.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