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자기수용, 사회적 지지, 내적통제성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Acceptance, Social Support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on Speech Anxie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0 no.1 = no.115, 2012년, pp.41 - 53  

김윤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  박부진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acceptance, social support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affect their speech anxie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distributed to 570 fifth and sixth graders attending 4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 total of 534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수용, 사회적 지지, 내적통제성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국내연구는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자기수용과 사회적 지지 및 내적통제성이라는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을 살펴보고 그 영향력을 연구함으로써 초등학생의 발표불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그 기제를 밝히는데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존에 개발된 프로그램들은 인지-행동적 접근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또한, 발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존에 개발된 프로그램들은 인지-행동적 접근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본 연구에서는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보다 다양한 변인 들을 밝힘으로써, 자기 주도적 학습이나 토론학습이 중요시 되어 가는 학교 현장에서 발표불안을 겪는 아동이 정서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성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발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그러므로 앞서 제시한 변인들과 발표불안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표불안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변인들 외에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불안과 관련이 있는 자기 수용, 사회적 지지, 내적통제성의 세 가지 변인이 발표불안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데 사회불안은 남아와 여아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La Greca & Stone, 1993), 성별에 따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불안을 보이는 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Han & Yoo, 1996).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자기수용, 사회적 지지, 내적통제성 및 발표불안의 차이를 비교하고, 초등학생의 성별, 자기수용, 사회적 지지 및 내적통제성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기수용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지지가 갖는 중재효과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자기수용, 사회적 지지, 내적통제성 및 발표불안의 차이를 비교하고, 초등학생의 성별, 자기수용, 사회적 지지 및 내적통제성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기수용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지지가 갖는 중재효과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더해, 외부의 반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신을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사람은 부정적인 사건을 경험하더라도 부정적인 정서 반응을 경험할 가능성이 낮으며(Ellis & Harper, 1997; Chamberlain & Haaga, 2001),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스스로에 대한 자아개념이 확고하다는 연구 결과들에 주목하였다(Wills, Vaccaro, & McNamara, 1992; Wenz-Gross, Siperstein, & Unith, 1997; Kim & Park, 2001).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기수용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만약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가 나타난다면 아동의 발표불안을 상담하는데 있어서 아동을 둘러싼 환경적인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켜주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점을 가정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아동의 현재 정서에 뿐만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의 생활에까지도 부정적인 영향을 지속적으로 끼칠 수 있는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변인들(자기수용, 사회적 지지, 내적통제성)을 밝히고자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발표불안을 겪는 아동들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발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제작에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여 아동의 심리적 안녕과 건강한 인성발달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아동의 현재 정서에 뿐만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의 생활에까지도 부정적인 영향을 지속적으로 끼칠 수 있는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변인들(자기수용, 사회적 지지, 내적통제성)을 밝히고자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발표불안을 겪는 아동들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발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제작에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여 아동의 심리적 안녕과 건강한 인성발달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표불안이 심할 경우 어떠한 임상적 특성이 나타나는가? 또한, 발표불안은 아동의 정서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발표불안을 가진 아동은 자아개념이나 자존감이 낮으며 자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못하고 정서적으로도 불안정하다. 그리고 심할 경우 신경쇠약, 우울증, 편집경향 등의 임상적 특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Kim, 2001). 비슷한 맥락으로 Mahoney(1980)는 발표불안이 높은 사람은 피로나 신경쇠약에 걸리기 쉽다고 하였다.
최근 학교 수업 방식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사회생활의 많은 부분이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아동에게 있어 수업시간의 경험은 아동의 정서 상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최근 학교 수업 방식은 일방적으로 듣고 외우는 예전의 주입식 교육방법에서 벗어나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요구하고 있다. 초등학교의 경우 7차 교과서 개정 이후, 소집단 내에서 의견을 나누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의견을 교사 및 학급의 다른 학생들에게 발표하는 수업방식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발표불안이란? 이처럼 개인이 다수의 타인에게 관심을 받으며 자신의 견해를 표명해야하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상황에서 타인의 평가가 예상되거나 또는 실제로 평가가 이루어 질 때, 불안을 나타내는 부적응적인 인지적, 생리적, 행동적 반응을 발표불안(Speech Anxiety)이라고 정의한다(Fremouw & Breitenstein, 1990; Barlow, 2004).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Ⅳ-TR)에 따르면 이러한 발표불안은 불안 장애의 하위 영역 중 사회적 상황이나 활동 상황에서 불편함과 불안을 경험하는 사회불안장애(Social Anxiety Disorder)에 포함되는 것으로, 발표불안을 겪는 사람들은 발표 상황에서 심장이 심하게 두근거리거나, 땀을 흘리거나, 떨리거나, 뺨이 붉어지거나 위장 장해 등을 경험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3)

  1. Abraham, K. G. & Christopherson, V. A.(1984). Perceived competence among rural middle school children: Parental antecedents and relation to locus of control.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4, 343-351. 

  2. Ahn, S. H. & Park, M. Y.(2005). Determinants of the general self-esteem: Influence of self-view, importance, and acceptance of specific domain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4(1), 109-140. 

  3. Aiken, L. S. & West, S. G.(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 Newbury Park, CA: Sage. 

  4. Aken, M. A. G. & Asendorpf, J. B.(1997). Support by parents, classmates, friends, and siblings in preadolescence: Covariation and compensation across relationship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4, 79-93. 

  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6. Anderson, P. L., Zimand, E., Hodges, L. F., & Rothbaum, B. O.(2005).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ublic-speaking anxiety using virtual reality for exposure. Journal of Depression and Anxiety, 22, 156-158. 

  7. Baek, Y, H. & Choi, W. S.(1997). Influence of environmental variables, inner control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on adolescent's stress. Journal of the Korea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2), 33-48. 

  8. Barlow, D. H.(2004). Anxiety and its disorders: The nature and treatment of anxiety and panic. N.Y.: The Guilford Press. 

  9. Chamberlain, J. M. & Haaga, D. A. F.(2001).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responses to negative feedback. Journal of Rational-Emotive Therapy & Cognitive- Behavior Therapy, 19, 177-189. 

  10. Cho, Y. R.(2001).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ral group therapy for speech anxiet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 399-411. 

  11. Cho, Y. R. & Won, H. T.(1997). Cognitive assessment of social anxiety. Psychological Issues, 4, 397-434. 

  12. Choi, M. J.(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ttachment to their parents, peer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Unpublished master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Korea. 

  13. Choi, W. S. & Moon, K. R.(2004). On factors affecting internal and external control of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Parent Education, 12(1), 149-165. 

  14. Cohen, S. & Hoberman, H. M.(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15. Compas, B. E.(1987). Coping with stres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Psychological Bulletin, 101(3), 393-403. 

  16. Coopersmith, S.(1981).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2n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7. Cottraux, J.(2005). Recent developments in research and treatment for social phobia(social anxiety disorder).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18, 51-54. 

  18. Daly, J. A. & Stafford, L.(1984). Correlat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ommunicative anxiety. In J. A. Daly & J. C. MacCroskey(Eds.). Avoiding Communication( 125-144). London: Sage Publication. 

  19. Ellis, A. & Harper, R. A.(1997). A guide to rational living (3rd ed). North Hollywood, CA: Wilshire. 

  20. Enger, M., Howerton, D., & Cobbs, C. R.(1994). Internal/ external locus of control, self-esteem, and parental verbal interaction of at risk black male adolescent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4(3), 269-274. 

  21. Fremouw, W. J. & Breitenstein, J. L.(1990). Speech anxiety. In H. Leitenberg(Eds.), Handbook of Social and Evaluation Anxiety(455-474). New York and London: Plenum press. 

  22. Garnefski, N. & Diekstra, R.(1996).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family, school and peers: relationship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5(12), 1657-1664. 

  23. Greenberg, J., Solomon, S., Pyszczynski, T., Rosenblatt, A., Burling, J., Lyon, D., Simon, L., & Pinel, E. (1992). Why do people need self-esteem? Convertging evidence that self-esteem serves an anxietybuffering fun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6), 913-922. 

  24. Han, J. C., Kim, E. K., Kim, Y. R., & Bae, J. M.(1994). Development of self-growth program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Yonsei Journal of Educational Science, 43, 171-202. 

  25. Han, M. H. & Yoo, A. J.(1996). The relation of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o problem behavior. Journal of Child Study, 17(1), 173-188. 

  26. Helsen, M., Vollebergh, W., & Meeus, W.(2000). Social support from parents and friends and emotional problems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3), 319-335. 

  27. Hofmann, S. G.(2004). Cognitive mediation of treatment change in social phobia.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2, 392-399. 

  28. Hwang, M. S. & Jeong, E. H.(2008). A study on an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over social support and social unres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0(1), 111-125. 

  29. Kernis, M. H., Brockner, J., & Frankel, B. S.(1989). Selfesteem and reactions to failure: The mediating role of overgener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4), 707-714. 

  30. Kessler, R. C., Stein, M. B., & Berglund, P.(1998). Social phobia subtype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5, 613-617. 

  31. Kim, A. K.(2002).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social supports, and depression and externalizing problems of early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16(3), 31-50. 

  32. Kim, A. K.(2003). The effects of parental conflicts, social supports, locus of control orientation on early adolescents'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0(3), 351-372. 

  33. Kim, B. H. & Choi, H. L.(2003). The relation among self-consciousness, self-efficacy, irrational belief and speech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5(3), 581-593. 

  34. Kim, B. Y.(2005). Development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children with speech anxiety and its effects. The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4(1), 167-190. 

  35. Kim, E. C.(1987).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cademic achievement and test anxiety. Unpublished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Korea. 

  36. Kim, E. J., & Won, H. T.(2000). Social self-processing in social phobic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33-45. 

  37. Kim-Cohen, J., Caspi, A., Moffitt, T., Harrington, H., Milne, B., & Poulton, R.(2003). Prior juvenile diagnoses in adults with mental disorder: Developmental follow-back of a prospective-longitudinal cohort.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0, 709-717. 

  38. Kim, J. A.(2002). The effects of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acceptance, problem solving andtion for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Korea. 

  39. Kim, K. W.(2007).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self-acceptance and stress coping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4), 983-999. 

  40. Kim, L., Sandler, I. N., & Tein, J. Y.(1997). Locus of control as a stress moderator and mediator in children of divorc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0, 115-129. 

  41. Kim, M. S.(1996). A study on the related variables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hild Study, 11(1), 61-75. 

  42. Kim, M. S.(2001).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sentation anxiety,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 thesis, Sogang University, Korea. 

  43. Kim, S. H. S.(2005). The mediating effect of a child'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erfectionism and the child's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0(4), 461-481. 

  44. Kim, S. H. S. & Jo, H. I.(2005).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erfectionism and child'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depression, and anxiety. Journal of Child Study, 26(5), 151-163. 

  45. Kim, Y. H. & Park, K. J.(2001).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perceived social support, locus of control, and self-esteem. Journal of Child Study, 22(2), 49-64. 

  46. La Greca, A. M. & Stone, W. L.(1993).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revised: Factor structure and concurrent validit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 17-27. 

  47. Lee, G. E. & Cho, Y. J.(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adult attachment,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ocial distres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n social distres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6(2), 191-204. 

  48. Lee, H. C. & Choi, J. Y.(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social problem solving.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2(2), 152-160. 

  49. Lee, I. S. & Youn, J. S.(2007). Effects of aromatherapy on speech anxiety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 of School Health, 20(1), 37-44. 

  50. Lee, M. S.(1994). The effect of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a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Unpublished master thesis, Sogang University, Korea. 

  51. S. H. & Chang, I. W.(1990). Study on anxiety and control-locus of vocational girls' highschool students. Chung-Ang Journal of Medicine, 15(3), 297-306. 

  52. Lee, S. H. & Kim, Y. H.(2007). Effects of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children's anxiety. Korean Journal of Welfare Counseling, 2(2), 85-98. 

  53. Macinnes, D. L.(2006). Self-esteem and self-acceptance: an examination into their relationship and their effect on psychological health.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3, 483-489. 

  54. Mahoney, M. J.(1980). Abnormal psychology. N.Y.: Harper & Row. 

  55. McCroskey, J. C.(1984). The communication apprehension perspective, In J. A. Daly & J. C. McCroskey( Eds.), Avoiding communication(13-38). London: Sage Publication. 

  56. Moon, H. S. & Oh, K. J.(2002).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2), 429-443. 

  57. Nutt, D. & Ballenger, J.(2003). Anxiety disorders. Blackwell Science. Pribyl, C. B., Keaten, J. & Sakanoto, M.(2001). The effectiveness or a skills-based program in reducting public speaking anxiety. Japanese Psychological Research, 43, 148-155. 

  58. Oh, K. J. & Yang, Y. R.(2003). Psychological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social anxiety in adolescence II: A 6 month follow-up stud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3), 577-597. 

  59. Park, J. H. & Park, J. M.(2010). The effects of children's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exam anxiety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Child Study, 31(6), 125-134. 

  60. Robinson, T. E.(1997). Communication apprehension and the basic public speaking course: A national survey of in-class treatment techniques. Communication Education, 46, 188-197. 

  61. Rotter, J. B.(1975). Some problems and misconception related to the construct of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3, 1. 

  62. Seol, K. M.(1997). Human relationships and mental health. Seoul: HakJisa Publisher. 

  63. Sherman, L. W. & Hoffman, R. J.(1980). Achievement as a momentary event, as a continuing state, locus of control. Perceptual and Motor skills, 51, 1159-1166. 

  64. Shin, J. E.(2009). The effects of cognitive and behavioral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lieve college students of public speaking anxiet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0(1), 285-297. 

  65. Sim, S. W.(2000). The relationship among the children's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aggress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Korea. 

  66. Strauss, C. C. & Last, C. G.(1993). Social and simple phobias in children. Journal of Anxiety Disorder, 7, 141-152. 

  67. Stein, D. J. & Hollander, E.(2002). Textbook of anxiety disorder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68. Turner, S. M., Beidel, D. C., Dancu, C. V., & Keys, D. J.(1986). Psychopathology of social phobia and comparison to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5, 389-394. 

  69. Turner, S. M., Beidel, D. C., & Townsley, R. M.(1992). Social phobia: A comparison of specific and generalized subtypes and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1, 326-331. 

  70. Um, E. N.(2003).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peech training with small group for decreasing speech anxiety and its effects.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orea. 

  71. Weiner, B.(1980). The role of affect rational(attributional) approaches to human motivation. Educational Researcher, 9(7), 4-11. 

  72. Wenz-Gross, M., Siperstein, G. N., & Unith, A. S.(1997). Stress,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middle school.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7(2), 129-151. 

  73. Wills, T. A., Vaccaro, D. & McNamara, G.(1992). The role of life events, family support and competence in adolescent substance us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0, 349-3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