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적 콘텐츠로의 한국 대중가요의 활용과 필요
Application and Need of Korean Popular songs as the Educational Cont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4, 2012년, pp.174 - 185  

정지영 (한세대학교 음악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대중가요는 문화적 그리고 사회적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산업적 규모도 다른 예술적 장르보다 비중이 높다. 또한 대학 등과 같은 교육기관의 전공신설과 대학원 과정에서의 실용음악 분야가 크게 증가하면서 대중가요는 사회문화적 경향뿐만 아니라 교육적 그리고 학술적 연구대상으로의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통적 측면의 음악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의 대중가요는 교육적 콘텐츠로써 활용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학술적 연구대상으로 대중가요의 정립과 분석을 그 활용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또한 대중가요의 작곡가와 시대별 가요경향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와 효과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대중음악에 대한 학술적 발전과 다양한 사회적 활용의 기반이 마련되어질 수 있으며 또한 예술교육의 내용적 측면에서도 많은 부분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about the popular music in Korea has been increased and the industry of popular culture has been also growing compared with other fields. In addition to this, many universities in Korea tends to establish departments of popular music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중가요의 산업적 성향에 대하여 2006년부터 2011년까지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하는 ‘음악산업백서’에 음악산업과 관련된 통계자료들을 바탕으로 대중가요의 산업적 규모 및 음악시장의 변화들을 살펴보고 대중가요가 가지는 산업적 가치를 통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중가요를 교육할 수 있는 실용음악관련 학과들에 대한 현황파악을 통해 대중가요의 음악적 그리고 학술적 측면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나타내고자 한다.
  • 대중가요의 산업적 성향에 대하여 2006년부터 2011년까지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하는 ‘음악산업백서’에 음악산업과 관련된 통계자료들을 바탕으로 대중가요의 산업적 규모 및 음악시장의 변화들을 살펴보고 대중가요가 가지는 산업적 가치를 통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대중가요의 학술적 활용을 위한 당위성을 제시하기 위해 현재까지 이루어진 대중가요의 연구경향을 저서들을 중심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또한 대중가요 연구논문들의 증가와 내용들을 고찰하여 시대적으로 연구경향이 어떻게 변화를 하였는지 인식하고 대중가요의 높아진 위상과 가치를 보이고자 한다.
  • 대중가요의 학술적 활용을 위한 당위성을 제시하기 위해 현재까지 이루어진 대중가요의 연구경향을 저서들을 중심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또한 대중가요 연구논문들의 증가와 내용들을 고찰하여 시대적으로 연구경향이 어떻게 변화를 하였는지 인식하고 대중가요의 높아진 위상과 가치를 보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기존 연구에서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들을 인지함으로써 본 연구의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활용적 측면에서 학문적 대상으로써의 대중가요의 역할과 정보화의 필요성을 통해 대중가요가 교육적 콘텐츠로써의 가능성을 보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중심적인 관점은 대중가요의 학술적 측면을 보다 강조하고 교육적 콘텐츠로써의 필요성을 토대로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대중가요 연구논문들의 증가와 내용들을 고찰하여 시대적으로 연구경향이 어떻게 변화를 하였는지 인식하고 대중가요의 높아진 위상과 가치를 보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기존 연구에서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들을 인지함으로써 본 연구의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 클래식과 전통음악 분야에서는 예술적 가치가 높은 작품들을 분석함에 있어 다양한 근거와 이론을 가지고 작곡가의 의도와는 별도로 새로운 논리적 접근을 하여 작품의 또 다른 가치를 이끌어 내고자 하는 활동 등이 활발하다. 즉, 하나의 음악적 분석이론을 가지고 클래식음악과 대중가요가 동일하게 접근되어지고 이로 인해 얻어지는 분석적 결과물들을 통해 공통되게 얻어질 수 있는 논리와 근거를 음악적으로 밝히는 연구를 말한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학기관에서 음악의 교과내용으로 사용되는 음악들이 클래식과 대중음악, 혹은 전통음악과 대중음악과 같은 이분법적 시각이 아닌 자연스럽게 서로 다른 분야들을 학습하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고 할 수 있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중가요가 직접적인 영향력과 경향을 가지는 대표적인 장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이는 대중음악이 가지는 역할과 기능 중에서 사회적 관련성과 문화적 영향력이 높기 때문이다. 대중성을 담은 양식 중 대중가요는 당시의 시대상들을 민감하게 반영 함과 동시에 가사를 중심으로 하는 구조적 특성과 사회적 파급성이라는 측면에서 직접적인 영향력과 경향을 가지는 대표적인 장르라고 할 수 있다.
2001년 국내 대중가요의 음반 판매율은 어느정도 비중을 차지하는가? [표 1]은 2001년부터 2007년까지의 국내 음악의 장르별 음반판매량을 조사한 것이다. 국내 대중가요의 음반 판매율이 2001년 76%로 다른 음악적 장르인 클래식과 팝음악에 비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4년 이후 국내에서 판매되는 음반 중 국내 대중가요가 80%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2007년에는 국내가요의 음반 판매율이 66%로 급격히 감소되어지는데 이는 디지털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많은 소비자들이 온라인을 통해 음악을 구매하고 따라서 전체 음반판매의 규모가 축소되었기 때문이다[5].
한국의 대중가요는 교육적 콘텐츠로써 활용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의 대중가요는 문화적 그리고 사회적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산업적 규모도 다른 예술적 장르보다 비중이 높다. 또한 대학 등과 같은 교육기관의 전공신설과 대학원 과정에서의 실용음악 분야가 크게 증가하면서 대중가요는 사회문화적 경향뿐만 아니라 교육적 그리고 학술적 연구대상으로의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통적 측면의 음악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의 대중가요는 교육적 콘텐츠로써 활용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박경자, "한국 대중가요에 나타난 일본음계의 고찰-요나누끼 음계를 중심으로", 한국음악학논문집, p.534, 1994. 

  2. 이수완, "아도르노와 대중음악", 낭만음악 , 통권71호, pp.23-45, 2006. 

  3. 이혜숙, 손우석, 한국 대중음악사, 리즈앤북, 2003. 

  4. 문화체육관광부, 음악산업진흥 중기계획, 2009. 

  5.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7 음악산업백서, 2008. 

  6. http://www.gaonchart.co.kr/main/section/album/list.gaon 

  7.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8 음악산업백서, 2009. 

  8.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9 음악산업백서, 2010. 

  9.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9음악산업백서, 2010. 

  10. 오지선, 한국근대 음악교육, 예솔, 2003. 

  11. 이정선, "대학 실용음악교육의 시작과 학과 개설 형태", 음악교육연구, 제38집, pp.120-121, 2010. 

  12.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6, 2009 음악산업백서, 2007, 2010. 

  13.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6-2009 음악산업백서, 2007-2010. 

  14. Allen Forte, The American Popular Ballad of the Golden Era, 1924-1950,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15. Elizabeth West Marvin and Richard Hermann (Ed.), Concert music, rock, and jazz since 1945: Essays and Analytic Studies, University Rochester Press, 2002. 

  16. Steve Larson, "Schenkerian Analysis of Modern Jazz: Questions about Method," Music Theory Spectrum, Vol.20, No.2, pp.209-241, 1998. 

  17. 김요한, "공연예술 장르의 콘텐츠 구축 -개별 작품의 DB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14권, pp.185-202, 2005. 

  18. 조국정, 석혜정, "영화 비주얼 이펙트 제작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자료검색 시스템 제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9권, 제6호, pp.92-102, 2009. 

  19. 한혜진, "뮤지컬 문화공연 콘텐츠의 원소스 멀티유즈 활용방안", 한국콘텐츠학회 2006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4권, 제2호, pp.180-184,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