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펄트루젼 I형 FRP 압축재의 설계
Design of Pultruded I-shape FRP Compression Member 원문보기

복합재료 : 한국복합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v.25 no.2, 2012년, pp.46 - 53  

주형중 ((주)아이시스이엔씨) ,  이승식 (삼성물산(주) 건설부문) ,  이종석 (k-water 녹색기술연구소) ,  윤순종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펄트루젼 공정에 의해 생산된 FRP 부재는 길이에 제한이 없이 임의의 단면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건설 구조용 부재로 사용하기 적합하며, 특히, 각종 화학적 유해환경 등에서 그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습윤환경 및 해양환경 등의 부식환경에서 그 활용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설계를 위한 관련 규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FRP 구조재는 대부분 단면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판요소로 구성된 박판부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재를 압축재로 사용할 경우 강도한계상태는 주로 좌굴거동에 의해 결정된다. 이 연구에서는 FRP I형 단면 압축재에 대한 좌굴거동을 이론적으로 해석하였고, 기존 실험적 연구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설계방법 및 설계흐름도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설계방법은 ANSI/AISC 360-10의 방법과 유사한 형태로서 설계자의 편의를 도모하였으며, 비교적 간단한 방법에 의해 PFPR I형 단면 압축재의 설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pultrusion process, FRP composite structural members having various cross-section shapes can be produced with unlimited lengths. Because of such reasons, these members are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in the construction field. Especially, this material is highly appreciated if the material 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PFRP 압축재의 국부좌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설계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고 있으며,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된 방법이 있으나 설계절차기 비교적 난해하여 현장기술자들이 사용하기에는 아직까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PFRP I형 단면 압축재의 좌굴거동을 조사하였고, 좌굴강도 결정을 위한 설계방법을 단순화하여 제시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하중이 재하되지 않는 변에서 특정 경계조건을 갖는 직교이방성판들의 좌굴계수 사이의 상관관계로부터 I형 단면 압축재의 국부좌굴계수를 근사적으로 예측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Fig. 2에서 하중이 재하되는 길이방향의 탄성계수는 E11, 폭방향의 탄성계수는 E22로서 펄트루젼 공정특성을 고려하여 재료의 성질을 직교이방성으로 가정하였다. 이 직교이방성판에 면내 등분포 압축력 P가 작용하여 좌굴이 발생할 때 내부에 축척된 변형에너지와 면내 등분포 압축력이 판에 대해 한 일이 동일하다는 에너지 원리를 적용하면 좌굴응력과 좌굴계수는 식 (1a), (1b)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Bulson, 196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폴리에스터 수지 복합재가 건설산업에서 적용성이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유리섬유를 보강한 폴리에스터 수지 복합재(fiber reinforced plastic, FRP)는 기존 건설재료에 비해 경제적 측면에서 불리하다는 인식 때문에 건설산업에서 그 적용성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재료적 장점으로 강재나 콘크리트가 접근하기 어려운 습윤환경 및 해양조건 등 특수한 조건에서 그 사용성이 점진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펄트루젼 복합재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PFRP는 제조공정의 특성상 대부분의 주요 보강섬유가 부재 축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재료의 성질은 직교이방성으로 가정할 수 있다(주 등, 2006). 이러한 PFRP의 특성으로 등방성 부재인 강재에 비해 구조적 해석절차가 복잡하고, 보편화된 설계규준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적용성에서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PFRP를 건설분야의 구조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실험적 연구를 통한 설계규준의 확립이 필요하다.
구조용 압축재의 좌굴은 크게 어떻게 구분되는가? PFRP 구조재 뿐만 아니라 건설구조용 강재는 단면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대부분 판요소로 구성된 박판부재로 생산, 가공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재를 압축재로 사용할 경우 설계강도(design strength)는 대부분 좌굴강도(buckling strength)에 의해 결정된다. 구조용 압축재의 좌굴은 크게 전체좌굴(global buckling)과 국부좌굴(local buckling)로 구분되며, 전체좌굴은 주로 부재의 유효세장비(effective slenderness ratio)에 큰 영향을 받고 국부좌굴에 비해 구조적 거동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PFRP 압축재의 국부좌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설계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고 있으며,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된 방법이 있으나 설계절차기 비교적 난해하여 현장기술자들이 사용하기에는 아직까지 어려움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주형중, 이승식, 윤순종, "펄트루젼 구조압축재의 국부좌굴 설계규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지, 제18권, 제5호, 2006, pp. 597-605. 

  2. Bulson, P.S., "The Stability of Flat Plates, American Elsevier Publishing Company," Inc., 1969, New York. 

  3. Shih, B.J., "On the Analysis of Fiber-Reinforced Polymeric Bridge Components," PhD. Thesis,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1994. Atlanta, Georgia. 

  4. Yoon, S.J., "Local Buckling of Pultruded I-shape Column," PhD. Thesis,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Atlanta, Georgia. 

  5. 채수하, "직교이방성 박판기둥의 해석과 설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05. 

  6. Joo, H.J., "Buckling Behavior and Design of Pultruded Thin-walled Open Section Compression Members," PhD. Thesis, Hongik University, 2010. 

  7. Salmon, C.G., and Johson, J.E., "Steel Structures (Design and Behavior)", 5the ed., Pearson Prentice Hall, 2009, New Jersey. 

  8. Timoshenko, S.P. and Gere, J.M., Theory of Elastic Stability, McGraw-Hill, 1961, New York. 

  9. ANSI/AISC 360-10, Specification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 2010,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10. 정재호, 윤순종, 유성근, "직교이방성판의 좌굴강도를 구하기 위한 근사식의 개발," 한국복합재료학회지, 제16권, 제5호, 2003, pp. 28-38. 

  11. 윤순종, 정상균, "탄성구속된 직교이방성판의 좌굴거동," 한국복합재료학회지, 제12권, 제3호, 1999, pp. 17-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