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2 no.4, 2012년, pp.195 - 201
우미혜 (한국화학연구원 에너지소재연구센터) , 최성호 (한국화학연구원 에너지소재연구센터) , 정하균 (한국화학연구원 에너지소재연구센터)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발광피크의 중심파장이 황색 영역에 해당하는 YAG:Ce3+ 형광체를 녹색 형광체로 이용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발광 중심파장을 단파장 영역으로 이동시키는가? | 하지만 YAG:Ce3+ 형광체는 발광 스펙트럼 상에서 발광피크의 중심파장이 대략 560 nm로 황색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발광 중심파장을 단파장 영역으로 이동시켜야 녹색 형광체로 이용할 수 있는데, 이것은 Al3+이온 자리의 일부를 Ga3+ 이온으로 치환시킴으로써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Al3+ 이온(이온반경 0. | |
PDP의 장점은? | 1)특히 최근에는 평판 디스플레이의 한 응용분야로 3차원 입체영상 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 소자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2) 이 중에서 PDP는 넓은 시야각과 빠른 반응속도및 대면적화 등에 장점을 가지며 3차원 입체영상 구현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sup> 그러나 플라즈마 방전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 구현을 위해서는 형광체의 긴 잔광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영상 중첩 현상을 방지하여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형광체가 4 ms 보다 짧은 잔광시간을 가지는 것이 요구된다. | |
YAG:Ce3+ 형광체는 무엇인가? | 따라서 Zn2SiO4:Mn2+의 잔광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잔광 시간이 짧은 Y3Al5O12: Ce3+ (YAG:Ce3+, Yttrium aluminum garnet) 형광체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YAG:Ce3+ 형광체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조합하여 백색광을 구현하는 황색 형광체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5,6) 이 형광체에서 활성제로 사용되는 Ce3+에 의한 발광은 f-d 전자전이로부터 기인하는데, 이는 양자역학적으로 허용된 전이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YAG:Ce3+의 잔광시간은 1 ms 이하로 짧다. |
S. Sharma, A. K. Srivastava, H. Singh, M. Raja and H. K. Dwivedi, Displays, 31, 122 (2010).
J. -H. Seo, S.Choi, S. Nahm, H. -K. Jung, Kor. J. Mater. Res., 22(2), 103 (2011) (in Korean).
C. -C. Wu, B. -M. Cheng and T. -M. Chen, J. Rare Earth., 24, 179 (2006).
B. Y. Han, J. S. Yoo, Y. G. Yoo and E. G. Heo, J. Electrochem. Soc., 156, J382 (2009).
S. H. Lee, D. S. Jung, J. M. Han, H. Y. Koo and Y. C. Kang, J. Alloy. Comp., 477, 776 (2009).
D. Haranath, H. Chander, P. Sharma and S. Singh, Appl. Phys. Lett., 89, 173118 (2006).
Y. Pan, M. Wu and Q. Su, J. Phys. Chem. Solid., 65, 845 (2004).
M. Medraj, R. Hammond, M. A. Parvez, R. A. L. Drew and W. T. Thompson, J. Eur. Ceram. Soc., 26, 3515 (2006).
H. Yang, L. Yuan, G. Zhu, A. Yu and H. Xu, Mater. Lett., 63, 2271 (2009).
K. Ohno and T. Abe, J. Electrochem. Soc., 141, 1252 (1994).
H. Yang, D. -K. Lee and Y. -S. Kim, Mater. Chem. Phys., 114, 665 (2009).
C. W. Won, H. H. Nersisyan, H. I. Won, J. H. Lee and K. H. Lee, J. Alloy. Comp., 509, 2621 (2011).
M. -S. Tasi, W. -C. Fu, W. -C. Wu, C. -H. Chen and C. -H. Yang, J. Alloy. Comp., 455(1-2), 461 (2008).
G. Li, Q. Cao, Z. Li, Y. Huang, Y. Wei and J. Shi, J. Alloy. Comp., 485, 561 (2009).
V. Babin, M. Kink, Y. Maksimov, K. Nejezchleb, M. Nikl and S. Zazubovich, J. Lumin., 122-123, 332 (2007).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