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관 활성화를 위한 도슨트 제도 개선 연구
The Study of Docent System Improvement for Revitalization of Science Museum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3 no.2, 2012년, pp.200 - 215  

박영신 (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이정화 (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과학관은 관람객의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도슨트 제도'를 점차 확대하고 있으나 그 교육 및 관리체제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과학관 도슨트 46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이수한 양성교육, 현재의 활동 조건 및 보충 연수교육의 특징을 파악하여 도슨트 전문성을 기르기 위한 체계적인 도슨트 제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설문지, 2명의 경력 도슨트와의 인터뷰, 과학관 및 도슨트 양성 관련 문서를 수집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인적사항, 도슨트에 대한 인식, 양성교육, 도슨트 활동, 보충 연수교육, 만족도를 조사하는 총 4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첫째, 과학관 관계자들의 도슨트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면서 일반 자원봉사자와는 차별화된 방법으로 모집.양성되어 과학관의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육적인 측면에서 참관과 실습 위주의 도슨트 양성 및 보충 연수교육이 개발되어 강의를 통한 형식학습상황학습의 비형식학습이 균형을 이루면서 도슨트의 전문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셋째, 운영적인 측면에서 체계적인 평가제도를 도입한 도슨트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결국, 이러한 체계적인 도슨트 제도는 과학관의 위상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과학관교육의 입장에서 관람객에 대한 질 좋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과학대중화를 불러일으키게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vitalization of science museum depends on the number of qualified docents who can meet the museum visitors' educational needs. However, the current unstructured docent system is not sufficient to meet the goal. Forty six docents currently working in science museums were surveyed about docen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의 과학관 활성화를 위해 현재 활동 중인 도슨트를 대상으로 도슨트에 대한 인식은 무엇이고, 어떠한 자격으로 선정되고 양성되었으며, 현재 도슨트 활동 여건과 그에 따른 만족도는 어떠한지, 어떤 보충 연수교육을 받고 있으며 앞으로 희망하는 교육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실시한 설문지 및 보충자료에서 파악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이들이 지니고 있는 본인들의 일에 대한 신념이나 가치는 도슨트 활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도슨트의 자격조건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줄 수 있다는 판단 하에 설문지 영역에 포함하였다. 둘째로 도슨트가 경험했던 양성교육을 파악하여 이들의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과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 교육내용 요소를 파악하여 앞으로 과학관 활성화를 위한 도슨트 양성교육의 내용에 포함하고자 설문지 영역에 포함하였다. 셋째로 도슨트 활동에 대한 다양한 의견 즉, 성공적인 활동을 위한 노력, 활동의 어려운 점을 파악하여 도슨트의 체계화된 협의회의 필요성 또는 이들의 활동을 보장하는 환경적 요소를 파악하였다.
  • 국내에는 아직 과학관에서 도슨트를 양성하고 연수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정착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도슨트의 전문적인 역할을 기대하기 위해서 도슨트는 어떻게 인식되어야 하고 도슨트는 어떠한 양성교육 및 보충 연수교육 과정을 거쳐야 하며 운영은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이 연구의 목적으로 두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슨트에 대한 인식, 도슨트 양 성교육, 도슨트의 활동, 도슨트 보충 및 연수교육, 도슨트 활동에 따른 만족도를 중심으로 내용을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도슨트의 전문적인 역할을 기대하기 위해서 도슨트는 어떻게 인식되어야 하고 도슨트는 어떠한 양성교육 및 보충 연수교육 과정을 거쳐야 하며 운영은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알아보는 것을 이 연구의 목적으로 두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슨트에 대한 인식, 도슨트 양 성교육, 도슨트의 활동, 도슨트 보충 및 연수교육, 도슨트 활동에 따른 만족도를 중심으로 내용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슨트의 전문성을 위해서 도슨트를 양성하고 육성하는 교육제도에서 필요로 하는 자격조건, 교육조건 그리고 활동조건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 국내과학관에서 현재 활동하고 있는 도슨트를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를 통해 도슨트 교육 제도 내용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 우선 이 연구에 참여한 도슨트들에게 이들이 정의 하는 도슨트는 무엇인지 알아보았다(Fig. 1).
  • 국내의 과학관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람객이 요구하는 다양한 교육적 목적을 충족시켜줘야 하며, 이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는 전시해설을 통해 관람객을 직접적으로 상대하는 도슨트의 양성 및 운영이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함은 자명한 일이다. 이 연구에서는 도슨트 46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고 있는 도슨트 자원봉사직에 대한 이해, 이들이 이수한 도슨트 양성교육 특징, 그리고 현재 도슨트의 활동여건 및 도슨트 전문화를 위해 희망하는 보충 연수교육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할 수 있겠다.

가설 설정

  • 설문의 내용을 개발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국내의 가장 오랜 도슨트 경력의박 도슨트로부터 지난 2년간 국내의 도슨트 제도 관련 양성 및 보충 연수 교육, 도슨트의 활동 중의 어려운 점과 아쉬운 점 등에 대해서 많은 정보 및 지식을 확보하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도슨트 제도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설문 영역을 개발하였다(박영신과 이정화, 2011; 박영신, 2012). 첫째, 과학관 관계자들의 도슨트에 대한 인식영역이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현재 활동 중인 국내외 도슨트는 모두 본인들의 열정과 보람으로 자원봉사자의 형태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관에서의 전형적인 도슨트란 무엇인가? 과거 전형적인 도슨트는 소위 상류층을 대상으로 소장된 컬렉션에 대해서 설명하는 남자를 일컫는 용어였지만, 박물관의 설립목적이 시대를 따라 변하면서 그 의미 또한 확대되고 변하였다. 즉, 현재 인식 되는 과학관에서의 전형적인 도슨트란 ‘전시해설을 포함한 전시부스 또는 다양한 형태의 교육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관람객들이 과학과 그들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이해를 잘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주요 활동으로 하는 사람’으로 불린다(National Docent Council, 2001). 도슨트의 역사가 과학관보다 긴 미술관의 경우, 도슨트는 작가를 대신하여 작품의 의도를 설명해주고 더불어 의사소통을 통하여 관람객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하는 사람으로 일컫는다(윤은희, 2005).
본 논문에서 수행한, 국내의 과학관 도슨트 46명을 대상으로 양성교육, 현재의 활동 조건 및 보충 연수교육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만족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설문지는 인적사항, 도슨트에 대한 인식, 양성교육, 도슨트 활동, 보충 연수교육, 만족도를 조사하는 총 4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첫째, 과학관 관계자들의 도슨트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면서 일반 자원봉사자와는 차별화된 방법으로 모집.양성되어 과학관의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육적인 측면에서 참관과 실습 위주의 도슨트 양성 및 보충 연수교육이 개발되어 강의를 통한 형식학습과 상황학습의 비형식학습이 균형을 이루면서 도슨트의 전문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셋째, 운영적인 측면에서 체계적인 평가제도를 도입한 도슨트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결국, 이러한 체계적인 도슨트 제도는 과학관의 위상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과학관교육의 입장에서 관람객에 대한 질 좋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과학대중화를 불러일으키게 될 것이다.
과학대중화를 목표로 어떤 변화가 있는가? 과학대중화를 위한 한 방편으로 국내 과학관 및 박물관은 그 수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맞추어 각 기관에서는 증가하는 관람객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고자 과학관(이 연구에서는 과학관과 자연사 박물관을 모두 과학관으로 정의하고 있다) 교육자들은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편성하고 있다. 이 중 과학관 교육자들은 관람객의 전시물에 대한 교육적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과학관 내에 있는 자원봉사자들에게 전시해설을 할 수 있도록 교육 훈련을 시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곽민경, 2007, 도슨트(docent) 프로그램의 교육적 활성화 방안연구: 초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9 p. 

  2. 김영수, 2009, 국립민속박물관 전시해설 자원봉사자의 전문성 강화와 역량 개발을 위한 운영방안.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3 p. 

  3. 김종대, 2009, 박물관 교육의 이론과 실제. 문음사, 서울, 190 p. 

  4. 김효선, 김경훈, 2011, 국내 과학관 도슨트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9, 1-11. 

  5. 노용, 이주연, 류지영, 이선아, 2007, 박물관 교육의 기본. 미진사, 서울, 312 p. 

  6. 민수영, 2007, 성인학습자로서 박물관 도슨트의 경험 의미. 평생교육연구원, 13, 146-168. 

  7. 박영신, 2011a, 과학관에서의 도슨트의 이론 및 실천 조사. 한국지구과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p. 58. 

  8. 박영신, 2011b, 비형식 교육 환경에서 과학 대중화를 위한 도슨트 전문성 육성방안. 2011년도 세계 과학관 심포지엄, p. 20. 

  9. 박영신, 2012, 관람객의 교육만족도를 위한 과학관의 경력 도슨트의 전시해설 기법 전략 파악.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년도 동계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p. 23. 

  10. 박영신, 이정화, 2010, 국내외 과학관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의 실태: 도슨트 양성프로그램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010년도 동계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p. 173. 

  11. 박영신, 이정화, 2011, 과학관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및 발전 방향 모색. 한국지구과학회지, 32, 881-901. 

  12. 박영신, 이정화, 정세환, 오성훈, 김희경, 2011, 과학관에서의 도슨트의 이론 및 실천 조사. 한국지구과학학회 2011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p. 58. 

  13. 박응희, 이병준, 박지연, 최유주, 2009, 박물관교육방법으로서의 '해설'에 대한 교육학적 논의. 교육사상연구, 23, 97-111. 

  14.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 homepage: http://namu.sdm.go.kr/sub06/?Order06_02_1 (검색일: 2012. 4. 4.) 

  15. 윤병화, 2012, 학예사를 위한 박물관학. 예문사, 파주, 206 p. 

  16. 윤은희, 2005, 도슨트가 전시에 미치는 영향분석.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4 p. 

  17. 이철희, 2009, 박물관 도슨트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총주고 인쇄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3-136. 

  18. 이화여자대학교 자연사 박물관 homepage: http://nhm.ewha.ac.kr/edu/edu_09.jsp (검색일: 2012. 4. 4.) 

  19. 한문정, 양찬호, 노태희, 2010, 과학관을 활용한 교수.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교육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1060-1074. 

  20. Cox-Petersen, A.M., Marsh, D.D., Kisiel, J. and Melbar, L.M., 2003, Investigation of guided school tours, student learning, and science reform recommendations at a museum of natural histo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200-218. 

  21. Fienberg, J. and Lienhardt, G., 2000, Looking through the glass: Reflections of identity in conversations at a history museum. Museum Learning Collaborative Technical Report # MLC-06, http://mlc.lrdc.pitt.edu/mlc (검색일: 2012. 3. 13.) 

  22. Gateway Science Museum homepage: http://www.csuchico.edu/gateway/participate/volunteering.shtml (검색일: 2012. 4. 4.) 

  23. Grenier, R.S., 2005, How museum docents develop expertise.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Georgia, 207 p. 

  24. Grenier, R.S., 2009, The role of learning in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n museum docents. Adult Education Quarterly, 59, 142-157. 

  25. Griffin, J., 2004, Research on students and museums: Looking more closely at the students in school groups. Science Education, 88, 59-70. 

  26. Hooper-Greenhill, E., 2007, Museums and Education: purposes, pedagogy, performance. Routledge Press, London and New York, 231 p. 

  27. Lave, J. and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138 p. 

  28. McWane Science Center Docent Volunteer homepage: http://www.mcwane.org/contribute_volunteer/volunteer/docent (검색일: 2012. 4. 4.) 

  29. National Docent Council, 2001, The docent handbook, National Docent Symposium Council, USA, 103 p. 

  30. Tsybulskaya, D. and Camhi, J., 2009, Accessing and incorporating visitors' entrance narratives in guided museum tours. Curator, 51, 81-1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