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w5-2 SCAR 분자표지와 생물검정법을 이용하여 토마토 유전자원 94종의 $Tomato$ $spotted$ $wilt$ $virus$(TSWV)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Sw5-2 SCAR 분자표지의 PCR 산물은 대략 574bp, 500bp, 462bp였는데, 크기가 가장 큰 PCR 산물이 Sw5-b 저항성 대립유전자와 연관되어 있었다. Sw5-b 저항성 대립유전자는 3개 수집종('Eureta', 10-318, 10-321)에서 관찰되었는데, 접종한 개체 가운데 이들 가운데 일부는 TSWV-pb1(토마토 분리주)에 일시적으로 감염되어 회복되거나 줄기에 괴사 병징을 보였다. ELISA 검사에서 음성으로 판명된 수집종 당 1개체씩 총 35개체를 선발하여 병징 발현 및 바이러스 감염 유무를 추가로 조사하였다. 접종 5개월 이후에 병징이 나타나지 않은 26개체를 대상으로 RT-PCR을 이용하여 TSWV 감염유무를 조사한 결과, 모든 개체에서 TSWV의 RT-PCR 산물이 약하게 증폭되었고, 이들 PCR 산물의 증폭 수준은 'Eureta'와 비슷하였다. 선발된 유전자원의 저항성은 조직 내 TSWV의 농도를 낮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들은 Sw5를 포함한 여러 가지 유전자들에 의해 양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otal of 94 tomato accessions were evaluated for the resistance to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using a Sw5-2 SCAR marker and bioassay. PCR products of the marker were approximately 574 bp, 500 bp, and 462 bp, among which the longest was lin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SWV는 국내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중요한 병원체로 인식되고 있지만 토마토의 TSWV 저항성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w5 분자표지와 생물검정법을 이용하여 국내 토마토 유전자원의 TSWV 저항성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란 무엇인가? Bunyaviridae와 Tospovirus 속의 구형 바이러스인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는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에 의해 주로 전반된다(Whitfield et al., 2005).
토마토의 TSWV 저항성 유전자 중 Sw5의 기능은 무엇인가? , 2009) 넓은 지역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고, 근원적으로 TSWV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TSWV 저항성 상용 품종 개발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알려진 토마토의 TSWV 저항성 유전자 가운데 Sw5는 여러 가지 TSWV 분리주뿐만 아니라 Tomato chlorotic spot virus, Groundnut ringspot virus 같은 다른 Tospovirus에도 저항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oiteux et al., 1993).
Sw5-a와 Sw5-b의 구분 간 문제점은 무엇인가? 한편, Sw5-2 PCR 산물의 염기서열을 보면 Sw5-a와 Sw5-b 서열이 함께 존재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재료의 저항성 조사에는 문제없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이들이 매우 가깝게 연관되어 있어 두 유전자의 차이가 쉽게 나타내지 않는다 해도 이들을 구분할 수 있는 분자표지 개발도 추후에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ramburu, J. and M. Mart. 2003. The occurrence in north-east Spain of a variant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that breaks resistance in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containing the Sw-5 gene. Plant Pathol. 52:407. 

  2. Boiteux, L.S. and L.B. Giordano. 1993. Genetic basis of resistance against two Tospovirus species in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Euphytica 71:151-154. 

  3. Brommonschenkel, S.H., A. Frary, and S.D. Tanksley. 2000. The broad-spectrum Tospovirus resistance gene Sw-5 of tomato is a homolog of the root-knot nematode resistance gene Mi. Mol. Plant Microbe Interact. 13:1130-1138. 

  4. Canady, M.A., M.R. Stevens, M.S. Barineau, and J.W. Scott. 2001.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resistance in tomato derived from Lycopersicon chilense Dun. LA 1938. Euphytica 117:19-25. 

  5. Cho, J.D., J.S. Kim, S.H. Lee, G.S. Choi, and B.N. Chung. 2007. Viruses and symptoms on peppers, and their infection types in Korea. Res. Plant Dis. 13:75-81. 

  6. Cho, J.D., J.Y. Kim, J.S. Kim, H.S. Choi, and G.S. Choi. 2010. Occurrence and symptoms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on eggplant, whole radish and sugar loaf in Korea. Res. Plant Dis. 16:232-237. 

  7. Choi, H.S., S.H. Lee, M.K. Kim, H.R. Kwak, J.S. Kim, J.D. Cho, and G.S. Choi. 2010. Occurrence of virus diseases on major crops in 2009. Res. Plant Dis. 16:1-9. 

  8. Dianese E.C., M.E.N. Fonseca, R. Goldbach, R. Kormelink, A.K. Inoue-Nagata, R.O. Resende, and L.S. Boiteux. 2010. Development of a locus-specific, co-dominant SCAR marker for assistedselection of the Sw-5 (Tospovirus resistance) gene cluster in a wide range of tomato accessions. Mol. Breeding 25:133-142. 

  9. Garland S., M. Sharman, D. Persley, and D. Mcgrath. 2005. The development of an improved PCR-based marker system for Sw-5, an important TSWV resistance gene of tomato. Aust. J. Agr. Res. 56:285-289. 

  10. Gordillo, L.F., M.R. Stevens, M.A. Millard, and B. Geary. 2008. Screening two Lycopersicon peruvianum collections for resistance to tomato spotted wilt virus. Plant Dis. 92:694-704. 

  11. Han J.H., W.P. Lee, J. Lee, M.K. Kim, H.S. Choi, and J.B. Yoon. 2011. Symptom and resistance of cultivated and wild Capsicum accessions to tomato spotted wilt virus. Res. Plant Dis. 17:59-65. 

  12. Kim, J.Y., J.D. Cho, J.S. Kim, S.S. Hong, J.G. Lee, G.S. Choi, and J.W. Lim. 2009. Reduction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on table tomatoes in greenhouses by soil fumigation. Plant Pathol. J. 25:151-156. 

  13. Paterson, R.G., S.J. Scott, and R.C. Gergerich. 1989. Resistance in two Lycopersicon species to an Arkansas isolate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Euphytica 43:173-178. 

  14. Prince J.P., Y. Zhang, E.R. Radwanski, and M.M. Kyle. 1997. A versatile and high-yielding protocol for the preparation of genomic DNA from Capsicum spp. (pepper). Hortscience 32: 937-939. 

  15. Roggero, P., V. Masenga, and L. Tavella. 2002. Field isolates of tomato spotted wilt virus overcoming resistance in pepper and their spread to other hosts in Italy. Plant Dis. 86:950-954. 

  16. Spassova, M.I., T.W. Prins, R.T. Folkertsma, R.M. Klein-Lankhorst, J. Hille, R.W. Goldbach, and M. Prins 2001. The tomato gene SW5 is a member of the coiled coil, nucleotide binding, leucine-rich repeat class of plant resistance gene and confers resistance to TSWV in tobacco. Mol. Breeding 7:151-161. 

  17. Stevens, M.R., S.J. Scott, and R.C. Gergerich. 1992. Inheritance of a gene for resistance to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from Lycopersicon peruvianum. Euphytica 59:9-17. 

  18. Thompson, J.D., T.J. Gibson, F. Plewniak, F. Jeanmougin, and D.J. Higgins. 1997. The Clustal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 25:4876-4882. 

  19. Whitefield, A.E., D.E. Ullman, and T.L. German. 2005. Tospovirus-Thrips interactions. Annu. Rev. Phytopathol. 43:1-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