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21 no.4, 2012년, pp.479 - 488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plasma is shown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to be effective of phenol degradation in the aqueous solutions in batch reactor with continuous air bubbling. Removal of phenol and effects of various parameters on the removal efficiency in the aqueous solution with h...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유전체에 공급하는 가스로 공기를 이용하여 페놀 처리에 대해 고찰한 결과는? | 1) 140 V까지 1차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페놀 제거 율도 증가하였으며, 140 V이상의 1차 전압에서는 초기 반응속도와 잔류 페놀 농도가 유사하게 나타나 페놀 제거를 위한 최적 전압은 140 V인 것으로 사료되 었다. 페놀의 분해경향을 간접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UV254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 반응시간이 경과하면서 UV254 흡광도는 증가하여 최대치에 도달된 후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압에 따른 UV254변화는 페놀 제거율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2) 공기 공급량이 3 ~ 7 L/min인 조건에서 공기 공급량이 3 L/min에서 6 L/min으로 증가하면서 초기 페놀 분해속도가 증가하였다. 최적 공기 공급량은 6 L/min으로 사료되었다. 공기 공급량에 따른 UV254 흡 광도 변화도 페놀 농도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최적 공기 공급량 이상의 공기 공급량에서는 생성 산화제 량이 일정해지기 때문에 최적 공기 공급량이 나타난다고 사료되었다. 3) pH가 산성에서 염기성으로 증가하면서 페놀 초기 분해속도가 크게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기성 역역의 pH에서는 자가 분해되어 오존보다 산화전위가 높은 ·OH이 생성되어 ·OH가 분해에 참여하기 때문에 염기성 영역의 pH에서 페놀 제거율이 높다고 사료되었다. 4) 전기전도도 값을 4.16 µS/cm(초순수) ~ 16.57 mS/cm(NaCl 10 g/L)까지 변화시켜 실험한 결과 전기전도도가 큰 변화에도 불구하고 페놀 제거율이 차이는 작아 전기전도도의 영향은 크지 않다고 사료되었다. 반면 NaCl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대 UV254 흡 광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반응 종결시 UV254흡광도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초기 페놀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페놀 제거시간도 증가하고, UV254 흡광도가 감소하는데 페놀 제거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사료되었다. 페놀 제거보다는 COD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이 긴 것은 페놀이 분해되면서 중간 분해산물이 생성되고 이들이 완전 분해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더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 었다. 페놀과 페놀의 COD 제거는 가-일차 반응식에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고, 페놀의 COD 제거속도보다약 1.43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 |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는 무엇인가? | 저온 플라즈마의 발생원으로는 전자빔 조사(electron beam irradiation)나 전기 방전 (electrical discharge)에 의해 발생한다. 전기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 중 전극 사이에 유전체를 삽입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를 유전체 장벽 방전 (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플라즈마라고 부른다(Kim과 Hong, 2004). 유전체장벽 플라즈마는 상온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비열 플라즈마 공정으로 주로 대기환경 분야에서 유해가스 처리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Uhm, 2006). | |
페놀 및 페놀계 화합물의 처리법은 무엇이 있는가? | 페놀 및 페놀계 화합물의 처리법으로는 생물학적 처리, 활성탄 흡착법 및 화학적 처리법 등이 있다. 생물학적 처리법은 고농도의 페놀이 유입될 경우 미생물의 페놀 생분해능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단점이 있고, 활성탄 흡착법은 활성탄 재생문제 및 물리적 흡착에 따른 2차 오염 문제 등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다. |
김동석, 박영식, 2007, 불용성 전극을 이용한 Rhodamine B의 전기화학적 탈색, 한국물환경학회지, 23(3), 377-384.
김동석, 박영식, 2009b, 전기분해와 UV 조사에 의한 수중 Rhodamine B의 제거(2), 한국환경과학회지, 18(6), 667-674.
박영식, 나영수, 안갑환, 2002, UV/ $TiO_{2}$ 시스템을 이용한 Rhodamine B의 색도 제거, 환경위생학회지, 28(5), 59-64.
신인수, 최종봉, 이승목, 2004, UV/ $TiO_{2}$ 광촉매 반응에 의한 페놀의 분해 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20(5), 488-493.
윤석현, 2008, 하이브리드 수중플라즈마 토치의 방전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이은주, 2005, 이온화가스에 의한 축산폐수 중 난분해성 물질 분해 특성,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조진오, 2008,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폐수 중의 유기물 분해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조훈제, 이선미, 김정규, 정진호, 2004, 감마선 처리에 의한 페놀과 2,4,6-트리클로로페놀의 분해제거 비교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6(9), 965-969.
최석순, 염승호, 차형준, 1997, Fenton 처리에 의한 페놀의 분해 특성, 대한위생학회지, 2(2), 29-35.
APH-AWWA-WPCE,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PHA, Washington D.C.
Chen, Y. S., Zhang, X. S., Dai, Y. C., Yuan, W. K., 2004, Pulse high-voltage discharge plasma for degradation of phenol in aqueous solution, Sep. and Puri. Tech., 34, 5-12.
Ha, D. Y., Cho, S. H., 2003, Comparison of UV/ $H_{2}O_{2}$ and $TiO_{2}$ photocatalytic oxidation in the dyeing wastewater treatment efficiency, J. of KSEE., 25(9), 1123-1131.
Hao, X., Zhou, M., Xin, Q., Lei, L., 2007, Pulsed discharge plasma induced Fenton-like reactions for the enhancement of the degradation of 4-chlorophenol in water, Chemosphere, 66, 2185-2192.
Joo, D. J., Kim, J. Y., Shin, W. S., Lee, S. H., Kim, Y. H., Lee, J. D., Choi, S. J., 2002, Effect of protozona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using polyamine flocculant, Environ. Eng. Sci., 7(4), 191-198.
Jung, J. K., 2009,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on the water plasma torch with high-density, Korean Patent, 10-0924649.
Kim, D. S., Park, Y. S., 2007, Decolorization of Rhodamine B by Fenton, Fenton-like, and photo- Fenton-like oxidation, J of Environ. Heal. Sci., 33(2), 150-157.
Kim, H. S., Hong, S. J., 2004, Surface treatment technology using low temperature/atmosphere pressure plasma,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17(4), 21-27.
Li, J., Sato., M., Ohshima, T., 2007, Degradation of phenol in water using a gas-liquid phase pulsed discharge plasma reactor, Thin solid Films, 515, 4283-4288.
Matos, J., Laine, J., Herrmann, J.-M., 1998, Synergy effect in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phenol on a suspended mixture of titania and activated carbon, Appl. Catal. B: Environ., 18, 281-291.
Merouani, D. R., Abdelmalek, F., Taleb, F., Martel, M., Semmound, A., 2011, Plasma treatment by gliding arc discharge of dyes/dye mixtures in the presence of inorganic salts, Arabian J. of Chem., In press.
Sanada, A., Katzer, J. R., 1974, Catalytic oxidation of phenol in aqueous solution, Ind. Eng. Chem. Funda., 13, 127-134.
Shi, J., Bian, W., Yin, X., 2009, Organic contaminants removal by the technique of pulsed high-voltage discharge in water, J of Hazard. Mater., 171, 924-931.
Uhm, H. S., 2006, Atmospheric plasma and its applications,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15(2), 117-138.
Zhang, R., Wang, L., Wu, Y., Guan, Z., 2006, Bacterial decontamination of water by bipolar pulsed discharge in a gas-liquid-solid three-phase discharge reactor, IEEE Trans. on Plasma Sci., 34(4), 1370-1374.
Zhang, R., Zhang, C., Cheng, X. X., Wang, L., Wu, Y., Guan, Z., 2007, Kinetics of decolorization of azo dye by bipolar pulsed barrier discharge in a three- phase discharge plasma, J of Hazard. Mater., 142, 105-110.
Zilli, M., Converi, A., Lodi, A., Del Borghi, M., Ferriolo, G., 1993, Phenol removal from waste gases with a biological filter by Pseudomonas putita, Biotechnol. Bioneg., 41(1), 693-699.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