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격코드검증을 통한 웹컨텐츠의 악성스크립트 탐지
Detecting Malicious Scripts in Web Contents through Remote Code Verification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The KIPS transactions. Part C Part C, v.19C no.1, 2012년, pp.47 - 54  

최재영 (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김성기 (선문대학교 IT교육학부) ,  이혁준 (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민병준 (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웹사이트는 매쉬업, 소셜 서비스 등으로 다양한 출처의 리소스를 상호 참조하는 형태로 변화하면서 해킹 시도도 사이트를 직접 공격하기보다 서비스 주체와 연계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상호 작용하는 접점에 악성스크립트를 삽입하는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사이트 이용 시 신뢰관계에 있는 여러 출처로부터 다운받은 웹컨텐츠의 HTML 코드와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서 구동 시 삽입된 악성스크립트를 원격의 검증시스템으로부터 탐지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서비스 주체의 구현코드 정보를 활용하여 요청 출처에 따라 검증 항목을 분류하고 웹컨텐츠의 검증 요소를 추출하여 검증 평가결과를 화이트, 그레이, 블랙 리스트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다. 실험평가를 통해 제안한 시스템이 악성스크립트를 효율적으로 탐지하여 클라이언트의 보안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haring cross-site resources has been adopted by many recent websites in the forms of service-mashup and social network services. In this change, exploitation of the new vulnerabilities increases, which includes inserting malicious codes into the interaction points between clients and services ins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 제안한 원격코드검증을 통한 웹컨텐츠의 악성스크립트 탐지 모델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하였다. 아파치 웹서버를 이용하여 실험을 위한 사이트를 구축하고 악성스크립트를 삽입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신뢰관계에 있는 여러 출처로부터 클라이언트 브라우저로 다운받은 웹컨텐츠를 원격검증시스템에게 검증 요청하여 악성스크립트의 삽입 여부를 탐지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서비스의 내부 동작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클라이언트에서는 컨텐츠의 악성행위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지만 원격검증시스템은 서비스 구현코드 정보를 활용하여 요청 출처에 따라 검증 항목을 분류하고 검증 요소를 추출하여 검증 평가결과를 화이트 리스트, 그레이 리스트, 블랙리스트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검증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웹사이트 이용 시 신뢰관계에 있는 여러 출처로부터 다운받은 웹컨텐츠의 HTML 코드와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서 구동 시 삽입된 악성스크립트를 원격의 검증시스템으로부터 탐지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서비스 주체의 구현코드 정보를 활용하여 요청 출처에 따라 검증 항목을 분류하고 웹컨텐츠의 검증 요소를 추출하여 검증 평가결과를 화이트 리스트, 그레이 리스트, 블랙 리스트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전 검증평가에 따른 검증 효율을 확인한다.
  • 본 장에서는 인터넷 이용자가 웹사이트 접속 시, 삽입된 악성스크립트의 실행이나 피싱 사이트로의 접속 유도로 발생하는 피해를 막기 위한 기존의 다양한 대응 기법과 한계 점을 파악하였다.
  • 요청 분류와 검증 요소를 기초로 검증 결과를 목록으로 구축하여 관리한다. 검증 목록 판별을 위해 먼저 알려진 악성스크립트에 대한 시그니처(Malicious Signature) 스캐닝을 수행한다.
  • 동일출처에서 발생하는 요청(Same Origin Request)은 SOP에 의해 안전한 것으로 간주하나 해커에 의해 요청 변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출처(Origin) URL과 목적지(Destination) URL간 요청이 서비스에 의해 의도된 요청인지 악성스크립트에 의해 임의로 발생한 요청인지를 판단한다. 크로스 도메인간 발생하는 요청(Cross Domain Request)은 서비스 연계를 위해 의도된 요청인지를 검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ross-Origin Resource Sharing은 무엇인가? 크로스 사이트간 자원 공유 Cross-Origin Resource Sharing(CORS)[2] 는 브라우저의 Same-Origin Policy(SOP) 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만든 W3C 표준으로, 리소스를 제공하는 측에서 어떤 도메인에서의 접근을 허용할 지‘Access-Control-Allow-Origin’ 헤더에 명시하여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서 명시한 도메인간에 SOP와 같은 권한을 부여하는 정책이다. 이는 SOP의 권한을 느슨하게 하여 위험요소가 증가하게 된다.
SpyProxy는 무엇을 수행하는가? SpyProxy[13]는 가상머신 기반의 웹 프록시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 주고 받는 웹트래픽을 수집하여 행위 기반의 검출을 수행한다. 서버측 대응 방안은 서버로 들어오는 요청과 응답에 대해서만 검사하여 서드 파티 리소스에 의해 발생하는 요청이나, 외부 서버로 전달되는 요청을 감지하지 못한다.
BrowserShield는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BrowserShield[12]는 HTML과 자바스크립트의 코드를 재작성하여 실행 시 웹컨텐츠의 변경이나 알려진 취약점 요소를 검사한다. 코드 변경에 따른 유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립트 기반의 검사로 검사 요청이 브라우저에서 스크립트가 동작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크립트 조작으로 검사를 우회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Wikipedia, "Same origin policy", http://en.wikipedia.org/wiki/Same_origin_policy. 

  2. A. van Kesteren,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http://www.w3.org/TR/cors/, W3C Working Draft, 2010. 

  3. S. Hanna, E. Chul, R. Shin, D. Akhawe, A. Boehm, P. Saxena, and D. Song, "The emperor's new APIs: On the (in)secure usage of new client-side primitives", Web2.0 Security and Privacy Conference (W2SP), 2010. 

  4. Adobe, "Cross-domain policy file specification", http://www. adobe.com/devnet/articles/crossdomain_policy_file_spec.html, 2010. 

  5. Yahoo Developer Network's Javascript Developer Center, "JavaScript: Use a Web Proxy for Cross-Domain XML HttpRequest Calls", http://developer.yahoo.com/javascript/howto-proxy.html. 

  6. Google, "Google safe browsing", http://code.google.com/apis/safebrowsing/. 

  7. N. Provos, D. McNamee, P. Mavrommatis, K. Wang, and N. Modadugu. "The ghost in the browser analysis of web-based malware", Proc. Of the USENIX Workshop on Hot Topics in Understanding Botnets (HotBots), 2007. 

  8. Microsoft, "SmartScreen Filter | Internet Explorer 8 Security.", http://www.microsoft.com/security/filters/smartscreen.aspx. 

  9. W. Maes, T. Heyman, L. Desmet, and W. Joosen. "Browser Protection against Cross-Site Request Forgery". In Workshop on Secure Execution of Untrusted Code (SecuCode), 2009. 

  10. C. Jackson and H. J. Wang. "Subspace: Secure Cross-Domain Communication for Web Mashups". In Proceedings of the 16th International World Wide Web Conference (WWW), 2007. 

  11. F. D. Keukelaere, S. Bhola, M. Steiner, S. Chari, and S. Yoshihama. "Smash: secure component model for cross-domain mashups on unmodified browsers". In Proceeding of the 1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WWW), 2008. 

  12. C. Reis, J. Dunagan, H. J. Wang, O. Dubrovsky, and S. Esmeir. "BrowserShield: Vulnerability-Driven Filtering of Dynamic HTML", In Proceedings of the 7th USENIX Symposium on Operating Systems Design and Implementation (OSDI), 2006. 

  13. A. Moshchuk, T. Bragin, D. Deville, S. D. Gribble, and H. M. Levy. "SpyProxy: Execution-based Detection of Malicious Web Content", In Proceedings of the 16th USENIX Security Symposium, 2007. 

  14. OWASP Foundation, "Cross-Site Request Forgery(CSRF)". https://www.owasp.org/index.php/Cross-Site_Request_For gery, 2010. 

  15. OWASP Foundation, "Cross-site Scripting". https://www. owasp.org/index.php/Cross-site_scripting, 2010. 

  16. Attack & Defense Lab, "Cross Origin Requests Security", http://www.andlabs.org/html5.html 

  17. 민병준, 김성기, 최재영 외, "모바일 접속환경을 위한 웹사이트 침해예방 연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