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퇴 근위부의 골소주 패턴에 대한 복합적인 분석을 통한 골다공증 예측 연구
Prediction of Osteoporosis using Compositive Analysis of Trabecular Patterns on Proximal Femur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The KIPS transactions. Part B. Part B, v.19B no.2, 2012년, pp.99 - 106  

이주환 (동국대학교 의생명공학과) ,  박성윤 (동국대학교 의생명공학과) ,  정재훈 (동국대학교 의생명공학과) ,  김성민 (동국대학교 의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측정 부위에서 도출된 골밀도와 골소주 패턴 간의 상관관계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측정부위에 따른 평가변수의 골다공증 예측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40대 이상의 폐경기 이후 여성 40명을 선정하였고, T-Score 분류법에 따라 각각 20명의 정상군 및 골다공증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대상의 골밀도는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을 통해 대퇴경부(Femoral Neck), 전자부(Trochanter) 및 워드 삼각부(Ward's Triangle)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각 측정부위에 $50{\times}50$ 픽셀 크기의 관심영역을 지정하고,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영상처리기법을 적용하여 각 영역의 골소주 패턴을 추출하였다. 골다공증을 예측하기 위한 평가변수는 구조적 변수(평균 회색조, 골면적, 골둘레, 골두께, 말단거리), 골격화 변수(골개수, 골길이) 및 프랙탈 차원(fractal dimension)으로 구분되는 총 8가지를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골면적, 골둘레, 골두께, 말단거리, 골개수, 골길이 및 프랙탈 차원이 골밀도를 유의하게 반영하였고(p<0.003), 평가변수의 분석을 통한 골다공증의 높은 예측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valuation parameters' osteoporosis predictability in accordance with measuring region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trabecular patterns derived from different measuring regions. Experimental subjects were a total of 4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추후 연구에서는 미세 골소주 영역까지도 분석이 가능하도록 영상의 회색조 수준을 표준화하고 개별적인 임계값 조건을 적용하여 골다공증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선정된 평가변수들에 대한 임상적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광범위한 연령층 및 성별에 따른 골소주 패턴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프랙탈 차원에 대한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수의 실험군을 대상으로 추가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측정 부위에서 도출된 골밀도와 골소주 패턴의 상관관계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측정부위에 따른 평가변수의 상관관계와 골다공증 예측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골밀도의 측정부위는 대퇴경부, 전자부 및 워드 삼각부로 구분하였고, 평가변수는 구조적 변수, 골격화 변수 등으로 구분되는 총 8가지를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측정 부위에서 도출된 골밀도와 골소주 패턴의 상관관계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측정부위에 따른 평가변수의 상관관계와 골다공증 예측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이란? 골다공증은 골강도의 약화로 골절 위험이 증가된 질환으로 정의되고, 평균 수명의 증가와 함께 가장 빈번한 노인성 골질환으로 대두되고 있다[1][2][3]. 일반적으로 노화에 따른 칼슘 섭취와 흡수율의 감소는 골량의 감소를 유발하여 골밀 도(Bone Mineral Density, BMD)를 크게 감소시킨다.
골다골증 측정시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의 단점은? DEXA는 오차율 3% 이내의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제공하고[7], 측정이 용이하여 골다공증을 판단하기 위한 우수성 모델(Gold Standard)로 간주되어 왔다[8]. 그러나 DEXA를 이용한 골다공증 측정법은 방사선 피폭에 의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골밀도는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 예후를 완벽하게 예측하지 못하고, 인종에 따라 골다공증 예측 정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9][10][11]. 이에 따라, 골밀도 뿐 아니라 골구조(Bone Architecture)의 특성을 이용하여 골다공증을 예측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12][13].
골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일반적으로 노화에 따른 칼슘 섭취와 흡수율의 감소는 골량의 감소를 유발하여 골밀 도(Bone Mineral Density, BMD)를 크게 감소시킨다. 골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성별로, 여성의 경우 폐경후 5-10년 동안 골 감소율이 2-4배 가량 증가한다[4]. 이에 따라, 골다공증은 폐경 이후의 여성에게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 C. Lin, S. Grampp, T. Link, M. Kothari, D. C. Newitt, D. Felsenberg, S. Majumdar, "Fractal Analysis of Proximal Femur Radiographs : Correlation with Biomechanical Properties and Bone Mineral Density", Osteoporosis International, Vol.9, No.6, pp.516-524, 1999. 

  2.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Vol.90, No.1, pp.107-110, 1991. 

  3. J. A. Kanis, "Diagnosis of Osteoporosis and Assessment of Fracture Risk", Lancet, Vol.359, No.9321, pp.1929-1936, 2002. 

  4. B. L. Riggs, L. J. Melton, "Evidence for Two Distinct Syndromes of Involutional Osteoporosis",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Vol.75, No.6, pp.899-901, 1983. 

  5. M. Matsubara, S. Morita, K. Shinomiya, R. Kawamata, K. Nakamura, "Structuring Parameters for Assessment of Bone Quality using a Morphological Filter and Star Volume Analysis : Structuring Property in the Cancellous Bone of the Human Femoral Head", Journal of Bone and Mineral Metabolism, Vol.23, No.1, pp.48-56, 2003. 

  6. Y. Hasegawa, K. Kushida, K. Yamazaki, T. Inoue, "Volumetric Bone Mineral Density using Peripheral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in Japanese Women", Osteoporosis International, Vol.7, No.3, pp.195-199, 1997. 

  7. T. Kawashima, H. K. Uhthoff, "Pattern of Bone Loss of the Proximal Femur : A Radiologic, Densitometric, and Histomorpho metric Study", Journal of Orthopaedic Research, Vol.9, No 5, pp.634-640, 1991. 

  8. D. J. Sartoris, "Clinical Value of Bone Densitometry",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Vol.163, No.1, pp.133-135, 1994. 

  9. D. W. Dempter, M. W. Ferguson-Pell, R. W. E. Mellish, G. V. B. Cochran, F. Xie, C. Fey, W. Horbert, M. Parisien, R. Lindsay, "Relationships between Bone Structure in the Iliac Crest and Bone Structure and Strength in the Lumber Spine", Osteoporosis International, Vol.3, No.2, pp.90-96, 1993. 

  10. M. Dalstra, R. Huiskes, A. Odgaard, L. van Erning, "Mechan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Pelvic Trabecular Bone", Journal of Biomechanics, Vol.26, No.4-5, pp.523-535, 1993. 

  11. S. A. Goldstein, R. Goulet, D. McCubbrey, "Measurement and Significance of Three-Dimensional Architecture to the Mechanical Integrity of Trabecular Bone",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Vol.53, No.1, pp.s127-132, 1993. 

  12. A. Koyama, S. Kumasaka, I. Kashima,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2D and 3D Structural Parameters of Bone Trabeculae", Oral Radiology, Vol.21, No.2, pp. 62-68, 2005. 

  13. M. K. Shrout, C. F. Hildebolt, B. J. Potter, T. K. Brunsden, T. K. Pilgram, M. Dotson, N. Yokoyama-Crothers, J. Hauser, S. Cohen, E. Kardaris, R. Civitelli, P. Hanes, "Comparison of Morphological Measurements Extracted from Digitized Dental Radiographs with Lumbar and Femoral Bone Mineral Density Measurements in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Periodontology, Vol.71, No.3, pp.335-340, 2000. 

  14. A. M. Parfitt, M. K. Drezner, F. H. Glorieux, J. A. Kanis, H. Malluche, P. J. Meunier, S. M. Ott, R. R. Recker, "Bone Histomorpho metry : Standardization of Nomenclature, Symbols, and Units",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Vol.2, No.6, pp.595-610, 1987. 

  15. W. G. M. Geraets, P. F. van der Stelt, C. J. Netelenbos, P. J. M. Elders, "A New Method for Automatic Recognition of the Radiographic Trabecular Pattern",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Vol.5, No.3, pp.227-233, 1990. 

  16. S. C. White, D. J. Rudolph, "Alterations of the Trabecular Pattern of the Jaws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dology, Oral Radiology, and Endodontics, Vol.88, No.5, 1999. 

  17. L. Pothuaud, E. Lespessailles, R. Harba, R. Jennane, V. Royant, E. Eynard, C. L. Benhamou, "Fractal Analysis of Trabecular Bone Texture on Radiographs : Discriminant Value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Osteoporosis International, Vol.8, No.6, pp.618-625, 1998. 

  18. D. Chappard, E. Legrand, B. Haettich, G. Chales, B. Auvinet, J. P. Eschard, J. P. Hamelin, M. F. Basle, M. Audran, "Fractal Dimension of Trabecular Bone : Comparison of Three Histomorphometric Computed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Architectural Two-Dimensional Complexity", Journal of Pathology, Vol.195, No.4, pp.515-521, 2001. 

  19. 김성민, 노승규, 노용만, "대퇴부 방사선영상에서 대퇴골 근위부의 형태학적 측정과 골소주의 특성을 이용한 골다공증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전기학회논문지, Vol.59, No.4, pp. 823-830, 2010. 

  20. World Health Organization Study Group, "WHO Technical Report Series,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Vol.4, No.6, pp.368-381, 1994. 

  21. H. O. Peitgen, H. Jurgens, D. Saupe, "Fractals for the Classroom Part 1 : Introduction to Fractals and Chaos", New York : Springer-Verlag, 1992. 

  22. A. M. Bollen, A. Taguchi, P. P. Hujoel, L. G. Hollender, "Fractal Dimension on Dental Radiographs", Dentomaxillo facial Radiology, Vol.30, No.5, pp.270-275, 2001. 

  23. M. S. Heo, K. S. Park, S. S. Lee, S. C. Choi, J. Y. Koak, S. J. Heo, C. H. Han, J. D. Kim, "Fractal Analysis of Mandibular Bony Healing After Orthognathic Surgery",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dology, Oral Radiology, and Endodontics, Vol.94, No.6, pp.763-767, 2002. 

  24. J. B. Payne, R. A. Reinhardt, P. V. Nummikoski, K. D. Patil, "Longitudinal Alveolar Bone Loss in Postmenopausal Osteoporotic/Osteopenic Women", Osteoporosis International, Vol.10, No.1, pp.34-40, 1999. 

  25. R. B. Martin, T. Papamichos, G. A. Dannucci, "Linear Calibration of Radiographic Mineral Density using Video-Digitizing Methods",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Vol.47, No.2, pp.82-91, 1990. 

  26. S. Sakoda, R. Kawamata, T. Kaneda, I. Kashima, "Application of the Digital Radiographic Bone Trabecular Structure Analysis to the Mandible using Morphological Filter", Oral Science International, Vol.1, No.1, pp.45-53, 2004. 

  27. S. K. Chen, C. M. Chen, "The Effects of Projection Geometry and Trabecular Texture on Estimated Fractal Dimensions in Two Alveolar Bone Models", Dentomaxillo facial Radiology, Vol.27, No.5, pp.270-274, 1998. 

  28. K. I. Lee, S. C. Choi, T. W. Park, D. S. You, "Fractal Dimension Calculated from Two Types of Region of Interest", Dentomaxillo facial Radiology, Vol.28, No.5, pp.284-289, 1999. 

  29. J. A. Kanis, L. J. Melton, C. Christiansen, C. C. Johnston, N. Khaltaev,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Vol.9, No.8, pp.1137-1141,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