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관성 규칙 기반 영양소를 이용한 골다공증 예측 모델
Prediction model of osteoporosis using nutritional components based on associ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3, 2020년, pp.457 - 462  

유정훈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  이범주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골다공증은 주로 노인에서 나타나는 질병으로써 뼈 질량 및 조직의 구조적 악화에 따라 골절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양소 성분과 골다공증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영양소 성분을 기반으로 골다공증을 예측하는 모델을 생성 및 평가하는 것이다. 실험방법으로 binary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연관성분석을 수행하였고, naive Bayes 알고리즘과 variable subset selection 메소드를 이용하여 예측 모델을 생성하였다. 단일 변수들에 대한 분석결과는 남성에서 식품섭취량과 비타민 B2가 골다공증을 예측하는데 가장 높은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C)값을 나타내었다. 여성에서는 단일불포화지방산이 가장 높은 AUC값을 나타내었다. 여성 골다공증 예측모델에서는 Correlation based feature subset 및 wrapper 기반 feature subset 메소드를 이용하여 생성된 모델이 0.662의 AUC 값을 얻었다. 남성에서 전체변수를 이용한 모델은 0.626의 AUC를 얻었고, 그외 남성 모델들에서는 민감도와 1-특이도에서 예측 성능이 매우 낮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기반정보로 활용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steoporosis is a disease that occurs mainly in the elderly and increases the risk of fractures due to structural deterioration of bone mass and t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components and osteoporosis and to evaluate models for predicting os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에서 아직까지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영양소 변수를 이용하여 골다공증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영양소 변수와 골다공증 사이의 연관성 분석을 수행하고, 영양소 성분들을 기반으로 머신러닝 기법을 사용하여 골다공증 진단여부 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건강 스크리닝 분야에서 질병 예측에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 현재까지, 이러한 골다공증 및 기타 질병들에 대하여 빅데이터,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등을 활용하여 특정 질병의 예측 또는 식별관련 연구들이 수 없이 진행되고 있으나 [15, 16], 현재까지, 오직 영양소 성분만으로 골다공증 진단을 예측한 연구는 국내에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에서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건강검진에서 영양소 성분 정보만을 이용하여 골다공증 식별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는 더 많은 샘플 수의 확보를 통하여 예측모델의 성능을 높이는 것이다.
  • 본 연구는 2018년에 전국적으로 실시된 제 7기 3차 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질병관리본부 연구윤리위원회 승인번호: 2018-01-03-P-A)를 사용하여 영양소 성분 변수들과 골다공증의 연관성을 탐색하고 예측모델을 만들고자 하였다. 원시자료의 전체 샘플 수 7,992명 중에서, 19세 미만 대상자(n=1,405),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 변수에 대한 응답을 하지 않은 대상자(n=1,826)를 제외한 4,761명을 연구 대상으로 사용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영양소 성분이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예측모델을 만들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 남성은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osteoporosis)이란 어떤 질병인가? 골다공증(osteoporosis)은 낮은 뼈 질량과 뼈 조직의 미세한 구조적 악화로 인해 뼈를 약화시키고 그에 따라 골절 위험을 증가시키는 질병이다 [1, 2]. 골다공증은 노인에서 매우 중요한 질병들 중에 하나이며, 한국에서는 65세 이상 인구가 2000년 7.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대표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호르몬, 운동습관, 흡연, 음주 등 다양한 위험 요인이 있다 [9]. 또한 영양소 성분도 골밀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10].
칼슘 [4, 5], 마그네슘 [6], 단백질 [7], 비타민 D 등이 골다공증에 큰 요인임을 무엇을 통해 알 수 있는가? 전 세계적으로 골밀도, 뼈 질량 등 골다공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표들에 대한 연구들에서 칼슘 [4, 5], 마그네슘 [6], 단백질 [7], 비타민 D [8] 등의 영양소 성분들은 골다공증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Welten et al. 등이 수행한 메타 분석은 칼슘 섭취가 골밀도 감소를 예방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5]. 또 다른 연구에서는 전체 에너지 섭취량을 보정한 이후에도 마그네슘의 섭취가 높을수록 전체 뼈 질량이 높다고 언급하였다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onsensus, A.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diagnosis,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993;94(6):646-650. doi: 10.1016/0002-9343(93)90218-e. 

  2. Kanis, J. A., Melton III, L. J., Christiansen, C., Johnston, C. C., & Khaltaev, N.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1994;9(8):1137-1141. https://doi.org/10.1002/jbmr.5650090802 

  3. 통계청. 통계청, 2018 고령자 통계, 2018. 

  4. Cumming, R. G. Calcium intake and bone mass: a quantitative review of the evidence.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1990;47(4):194-201. https://doi.org/10.1007/BF02555919 

  5. Welten, D. C., Kemper, H. C., Post, G. B., & Van Staveren, W. A.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calcium intake on bone mass in young and middle aged females and males. The Journal of nutrition. 1995;125(11):2802-2813. 

  6. New, S. A., Robins, S. P., Campbell, M. K., Martin, J. C., Garton, M. J., Bolton-Smith, C., & Reid, D. M. Dietary influences on bone mass and bone metabolism: further evidence of a positive link betwee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bone health?.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0;71(1):142-151. doi: 10.1093/ajcn/71.1.142. 

  7. Hannan, Marian T., Katherine L. Tucker, Bess Dawson­Hughes, L. Adrienne Cupples, David T. Felson, & Douglas P. Kiel. Effect of dietary protein on bone loss in elderly men and women: the Framingham Osteoporosis Study.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2000;15(12):2504-2512. doi: 10.1359/jbmr.2000.15.12.2504. 

  8. Ooms, M. E., Roos, J. C., Bezemer, P. D., Van Der Vijgh, W. J., Bouter, L. M., & Lips, P. A. U. L. Prevention of bone loss by vitamin D supplementation in elderly women: a randomized double-blind trial.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1995;80(4):1052-1058. doi: 10.1210/jcem.80.4.7714065. 

  9. Cohen, A. J., & Roe, F. J. C. Review of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a possible aetiological role of dietary salt.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2000;38(2-3):237-253. doi: 10.1016/s0278-6915(99)00145-3. 

  10. Prentice, A. Is nutrition important in osteoporosis?.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1997;56(1B):357-367. doi: https://doi.org/10.1079/PNS19970038. 

  11. 보건복지부.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2015 

  12. Dawson-Hughes, B., Harris, S. S., Krall, E. A., & Dallal, G. E. Effect of calcium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bone density in men and women 65 years of age or older.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97;337(10):670-676. doi: 10.1056/NEJM199709043371003. 

  13. Ordonez, C., Matias, J. M., de Cos Juez, J. F., & Garcia, P. J.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osteoporosis incidence in post-menopausal women. Mathematical and Computer Modelling. 2009;50(5-6):673-679. https://doi.org/10.1016/j.mcm.2008.12.024 

  14. de Cos Juez, F. J., Suarez-Suarez, M. A., Lasheras, F. S., & Murcia-Mazon, A. Application of neural networks to the study of the influence of diet and lifestyle on the value of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Mathematical and computer modelling. 2011;54(7-8):1665-1670. https://doi.org/10.1016/j.mcm.2010.11.069 

  15. Bum Ju Lee. Prediction model of hypercholesterolemia using body fat mass based on machine learning.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2019;5(4):413-420 . https://doi.org/10.17703/JCCT.2019.5.4.413 

  16. Seung Hyeog Moon. A Study on Securing Global Big Data Competitiveness based on its Environment Analysi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2019;5(2):361-3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