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도서관 사서와 어린이 이용자의 전자책에 대한 인식 및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ception and Use of E-Books by Librarians and Children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29 no.1 = no.83, 2012년, pp.45 - 62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전공) ,  최윤경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어린이 도서관 서비스 제공자인 사서와 어린이 이용자의 전자책 인식 및 이용을 살펴보고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5개 어린이 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 55명을 대상으로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 서비스 현황, 개선 사항을 파악하였다. 또한 동일한 도서관의 어린이 이용자 30명을 선정하여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행태를 조사하였다. 두 집단의 전자책에 대한 인식과 이용행태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어린이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 개선 방안으로 전자책 콘텐츠와 공간 및 시설의 충분한 제공,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인 전자책 서비스 홍보, 전자책 담당 사서의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se of e-books by librarians and children and to suggest important elements to improve e-book services at the children's libraries. User survey questionaries and interviews from fifty five librarians and thirty children were carried fo...

주제어

참고문헌 (27)

  1. 국가도서관 통계시스템 홈페이지. http://www.libsta.go.kr.(National library statistical databases in Korea (2011). Retrieved from http://www.libsta.go.kr) 

  2. 김경일 (2006). 전자책 콘텐츠의 이용자 증대에 관한 연구: 접근성의 확대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50, 5-23.(Kim, Kyung-Il (2006). A study on enlargement of e-book audience: In the viewpoint of increasing accessibility. Studies of Korean Publishing Science, 50, 5-23.) 

  3. 김현희, 강다혜 (2008). 초등학생 독서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전자책의 효용성 평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245-264.(Kim, Hyun-Hee, & Kang, Da-Hye (2008).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multimedia electronic book for children's reading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245-264.) 

  4. 김효선 (2008). 공공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Kim, Hyo-Sun (2008).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with eBook service in public libra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un.) 

  5. 남동선 (2010). 전자책 및 전자출판 시장동향. 정보과학회지, 28(10), 16-25.(Nam, Dong-Sun (2010). Digital publishing market trend. Communica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8(10), 16-25.) 

  6. 남영준, 최성은 (2011). 대학도서관 전자책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287-310.(Nam, Young-Joon, & Choi, Sung-Eun (2011).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with e-book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1), 287-310.) 

  7. 남태우, 김진아 (2003). 대학도서관 전자책 서비스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34(2), 25-53.(Nam, Tae Woo, & Kim, Jin Ah (2003). A study on the e-book service of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4(2), 25-53.) 

  8. 성동규, 박상호 (2005). 전자책 이용활성화를 위한 이용행태 조사 연구: 수용자 의견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출판학 연구, 49, 93-119.(Sung, Dong-Kyoo, & Park, Sang-Ho (2005). A study on the usage behavior for electronic book activation: Emphasized on research of audience opinion. Studies of Korean Publishing Science, 49, 93-119.) 

  9. 이경아 (2010). 국내 어린이도서관 전자책 서비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대 대학원 문헌정보학과.(Lee, Kyung-Ah (2010). A study on the e-book service of children's library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0. 이용준 (2010). 한국전자책 시장에 대한 수용자 인식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36, 213-250.(Lee, Yong-Jun (2010). Research of audience perception on Korea e-book market. Studies of Korean Publishing Science, 36, 213-250.) 

  11. 장선화 (2004). 전자책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Jang, Seonhwa (2004). A study on usability evaluation factors for e-book user interfa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2. 장혜란 (2006). 대학생의 웹기반 전자책 이용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4), 233-256.(Chang, Hye Rhan (2006). The use of web-based electronic book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3(4), 233-256.) 

  13. 정연경 (2011). 전자책에 대한 도서관의 학부모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109-127.(Chung, Yeon-Kyoung (2011). A study on parents' perception about e-books in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3), 109-127.) 

  14. 정연경, 정은경, 백지원 (2011). 독서매체 변화에 따른 도서관의 어린이 서비스 발전 방안 연구: 종이책과 전자책의 상생과 융합을 위하여. 2011년 연구보고.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Chung, Yeon-Kyoung, Chung, Eun-Kyung, & Baek, Ji-Won (2011). Development plans for children's library services with the changes in the media for reading: Win-win approach and convergence of paper books and electronic books (Research report 2011).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Seoul.) 

  15. 정종원 (2010). 대학생의 e-Book 이용실태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출판학 연구, 58, 161-186.(Jeong, Jong-Won (2010). A study on the current trends in the use of e-books: Focusing on the college students. Studies of Korean Publishing Science, 58, 161-186.) 

  16. 정진한 (2009). 대학도서관 전자책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출 기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113-133.(Jung, Jin-han (2009). A study on the scheme to activate an e-nook service i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1), 113-133.) 

  17. 정진한, 박일종 (2007a). 도서관에서의 전자책 관리와 서비스 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 지역 도서관을 중심으로. 정보관리연구, 38(3), 31-58.(Jung, Jin-han, & Park, Il-jong (2007a). A study of the management of e-book and its service scheme in libraries.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8(3), 31-58.) 

  18. 정진한, 박일종 (2007b). 도서관을 통한 어린이전자책 서비스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4(4), 323-344.(Jung, Jin-han, & Park, Il-jong (2007b). A study of the e-book services for children through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4(4), 323-344.) 

  19. 한국도서관협회 (2011). 한국도서관연감 2010. 서울: 한국도서관협회.(Korea Library Association (2011). Korea library year book 2010. Seoul: Korea Library Association.) 

  20.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 2010년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Korea Internet Security Agency (2010). 2010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Seoul: Korea Internet Security Agency, Seoul.) 

  21. 황금숙 (2006). 전자책의 독서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종이책과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7(1), 47-62.(Hoang, Gum-Sook (2006). An experimental study on reading effect of e-book.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7(1), 47-62.) 

  22. Chief Officers of State Library Agencies (2010, June 30). COSLA: eBook study for public libraries. Final report. Retrieved from http://www.cosla.org/documents/COSLA2270_Report_Final1.pdf. 

  23. Dearnley, J., Mcknight, C., & Morris, A. (2004). Electronic book usage in public libraries: A study of user and staff reactions to a PDA-based collection.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36(4), 175-182. 

  24. Gardiner, E., & Musto, R. G. (2010). The electronic book. In M. F. Suarez, & H. R. Woudhuysen (Eds.), The Oxford companion to the book, (pp. xx-xx).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5. Library Journal, & School Library Journal (2010, November). LJ survey of ebook penetration & use in U.S. public libraries. Retrieved from http://c0003264.cdn2.cloudfiles.rackspacecloud.com/Public%20Library%20Ebook%20Report_2.pdf 

  26. Primary Research Group (2010). Library use of ebooks 2011 edition. New York: Primary Research Group, Inc. 

  27. Wilkert, J. (2009). Wilkert's publishing 2020 blog: E-book survey results. Retrieved from http://wilkert.typepad.com/the_average_joe/2009/08/ebook-survey-results.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