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노인 당뇨병 환자의 신체활동정도와 신체활동 관련 요인
A Study on Physical Activity and Related Factors to Physical Activity for the Elderly with Diabetes Mellitu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19 no.1, 2012년, pp.57 - 70  

강혜연 (대동대학교 간호과) ,  구미옥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경상대학교 건강과학연구원 노인건강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with physical activity for the elderly with Diabetes Mellitus (DM). Methods: The subjects were 154 diabetic outpatient at 3 hospitals located in J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 to 17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 당뇨병 환자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노인 당뇨병 환자의 일, 운동, 일상생활에서의 신체활동을 모두 측정할 수 있는 포괄적 신체활동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신체활동정도를 규명하고, 신체활동 관련요인을 분석하는 연구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시도하였다. 그 결과 노인 당뇨병 환자의 신체활동정도는 최소한의 신체활동 수준으로 신체활동을 증진시키는 간호중재가 적극 요청된다.
  • 본 연구는 노인 당뇨병 환자의 신체활동정도를 규명하고, 신체활동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노인 당뇨병 환자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키는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노인 당뇨병 환자의 신체활동정도와 신체활동의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 당뇨병 환자의 신체활동에 대한 관련요인으로 신체적 요인, 인지지각 요인, 사회적요인을 연구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당뇨병 환자의 일, 운동, 일상생활에서의 신체활동을 모두 측정할 수 있는 포괄적 신체활동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신체활동정도를 규명하고, 신체활동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노인 당뇨병 환자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키는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 당뇨병 환자의 신체활동정도에 대한 영향 요인은 무엇인가?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기효능 점수가 1점 상승할수록 최소한 신체활동군에 속할 가능성이 3.07배, 건강증진형 신체활동군에 속할 가능성이 5.351배 증가하며 무배우자를 기준 1로 하였을 때 유배우자는 건강증진형 신체활동군에 속할 가능성이 10.192배로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주관적 비만도는 1점 상승할수록 비 신체활동 군에 비해 최소한 신체활동군에 속할 가능성이 0.250배, 건강증진형 신체활동군에 속할 가능성이 0.114배로 증가하며, 지각된 장애요인 점수는 1점 상승할수록 비신체활동군에 비해 최소한 신체활동군에 속할 가능성이 0.210배, 건강증진형 신체활동군에 속할 가능성이 0.069배로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Table 5].
당뇨병의 자기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당뇨병은 적절한 치료와 자기관리를 수행하면 질병의 조절이 가능하고, 위험한 급·만성 합병증을 예방, 관리할 수 있으므로 당뇨병 환자의 자기관리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당뇨병 환자의 자기관리는 식사, 운동, 약물요법, 당검사 등의 다양한 행위가 포함된다.
신체활동의 개념은 무엇인가? 신체활동은 골격근의 수축 이완을 통해 에너지를 소비하는 모든 인간의 기본적인 활동으로 운동을 포함하면서 그밖에 일상생활이나 업무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신체 움직임까지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Craig et al.,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J. H. (2004). The effects of sports social factors on continuous physical activity and resocialization in old women. Korea Sport Research, 15(4), 869-879. 

  2. Bowman, A. M. (2002). Physical activity among elderly people with type 2 diabe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apolis, USA. 

  3. Browning, C., Sims, J., Kendig, H., & Teshuva, K. (2009).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behavior in older community-dwelling adults. Journal of Allied Health, 38, 8-17. 

  4. Cho, Y. S. & Lee, H. J. (2003). The process of change,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f subjective health by the stage of exercise behavior among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5(2), 236-246. 

  5. Choe, M. A., Kim, J. I., Jeon, M. Y., & Chae, Y. R. (2010).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K-PASE). Journal of Korean Women Health of Nursing, 16(1), 47-59. 

  6. Conn, V. S., Burks, K. J., Pomeroy, S. H., Ulbrich, S. L., & Cochran, J. E. (2003). Older women and exercise: Explanatory concepts. Womens Health Issues, 12(4), 158-166. 

  7. Craig, C. L., Marshall, A. L., Sjostrom M., Bauman A, E., Booth M. L., Ainsworth, B. E., et al. (2003).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12-country reliability and validity. Medical Science of Sports Exercise, 35(8), 1381-1395. 

  8.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9. Jang, I. S. (2006). The leisure type, health statu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2), 130-140. 

  10. Jeon, E. H. (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uccessful aging for elderly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11. Kang, G. S. (2005). A study on the stage of change of exercise and its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pplication of transtheoretical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2. Kang, S. J. & Kim, Y. H. (2011). The effect of individual,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variables on older adults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Korean Sport Psychology, 22(3), 113-124. 

  13. Kim, J. H. (2009). Study on factors related to self-weight control practice in adult women: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4. Kim, N. H. (2010). Construction of physical activity model in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Statistical yearbook. Seoul: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16.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9). Diagnosis of obesity. Seoul: Medbook. 

  17. Lee, P. S. & Chang, S. O. (2001). The Study on the effect of stage based exercise motivational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5), 818-834. 

  18. Lee, Y. Y. (2010). The effect of body perception and obesity stress on weight control behavior for women.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9. Lim, C. H. & Han, S. J. (2008). Study on elderly leisur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to whether an elderly has a spouse or not.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2(3), 23-43. 

  20. Marcus, B. H., Selby, V. C., Niaura, R. S., & Rossi, J. S. (1992). Self-efficacy and the stage of exercise behavior chang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63(1), 60-66. 

  21.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4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Author. 

  22. Nigg, C. R., Norman, G. J., Rossi, J. S., & Benisdvich, S. V. (1999). Proces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Redeveloping the scale.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Society of Behavioral Medicine. San Diego, CA. 

  23. Oh, J. Y., Yang, Y. J., Kim, B. S., & Kang, J. H. (2007).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short for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8(7), 532-541. 

  24. Park, Y. H. (2007). Physical activity and sleep patterns in elderly who visited community senior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1), 5-13. 

  25. Park, S. M. & Park, Y. H. (2010).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in Korean older adults: Distinc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2), 191-201. 

  26. Song, O. H. (2011). A study on physical activity and related factors to physical activity for the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7. Stahl, T., Rutten, A., Nutbeam, D., Bauman, A., Kanna, L., Abel, T., et al. (2001).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environment for physically active lifestyle: Results from an international stud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2, 1-10. 

  28. Sung, K. W. (2011). Relationship of daily activity and biochemical variables in the elderly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2), 182-190. 

  29. Yang, J. K., Lee, J. H., Kim, Y. H., & Hyun, S. K. (2006).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social variables to explaining exercise behavior in adult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17(1), 119-130. 

  30. Yu, J. H. (200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elf care behavioral compliance and perceived self-efficacy in type II diabetic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7(3), 453-4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