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화조건에 따른 기본주파수 및 음성강도 변동의 특징
Variance characteristics of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and vocal intensity depending on utterance condition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4 no.1, 2012년, pp.111 - 118  

이무경 (대구보건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and determine variances of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and vocal intensity depending on gender and three utterance conditions (spontaneous speech, reading, and counting). A total of 65 undergraduate students (32 male students, 33 female students) at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성별 및 발화조건별 발화기본주파수 및 음성강도의 변동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실험은 20대 정상 성인 65명(남성: 32명, 여성: 33명)을 대상으로 자발화, 낭독, 숫자세기에서 발화기본주파수(SFF0), 발화기본주파수 변동치의 표준편차(SFF0 SD), 발화기본주파수 변동의 범위(SFF0 range), 최대발화기본주파수(Max.
  • 이와 같이, 말소리의 발화기본주파수 및 음성강도에 대한 연구들이 임상자료로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성별이나 연령집단 뿐 아니라, 발화 자료의 형태나 다양한 발화조건에 따라서도 이루어져야 하며, 발화기본주파수 변동이나 음성강도의 변동 또한 임상 기초 자료로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피험자의 성별 및 발화조건별로 발화기본주파수 변동치인 표준편차(SFF0 SD)와 범위 (SFF0 range) 그리고 음성강도 변동치인 표준편차(VI SD)와 범위(VI range)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구체적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소리의 기본주파수와 음성강도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말소리의 기본주파수와 음성강도와 같은 음향측정 요소들은 개인의 발화특징 뿐 아니라 건강한 음성과 병리적 음성의 진단 및 평가에 사용되는 매우 유용한 지표이다. 여러 연구들에서 정상음성과 관련된 기준치들을 보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준치들은 여러 기능적 및 기질적 음성장애뿐 아니라 청력손실이나 신경언어장애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의사소통장애인들의 음성 및 구어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된다.
정상음성과 관련된 기준치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말소리의 기본주파수와 음성강도와 같은 음향측정 요소들은 개인의 발화특징 뿐 아니라 건강한 음성과 병리적 음성의 진단 및 평가에 사용되는 매우 유용한 지표이다. 여러 연구들에서 정상음성과 관련된 기준치들을 보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준치들은 여러 기능적 및 기질적 음성장애뿐 아니라 청력손실이나 신경언어장애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의사소통장애인들의 음성 및 구어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된다.
남성과 여성의 기본주파수가 다른 이유는? 남성과 여성 후두의 해부-생리적 차이는 성별 간 음향 측정치들에 여러 차이를 일으킨다. 많은 연구자들은 남성이 여성보다 후두의 크기가 크고 성대 점막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남성이 여성보다 낮은 기본주파수를 산출한다고 하였다(Aronson & Bless, 2009; Boone 등, 2009; Colton 등, 2006; Titze, 1989). 남성과 여성의 기본주파수를 측정한 여러 연구들에서 연장발성, 낭독, 자발화 모두에서 남성의 평균기본주파수가 여성보다 낮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Sapienza, 1997; Morris 등, 1995; Brown 등,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drews, M. L. (2006). Manual of voice treatment: Pediatrics through geriatrics, (3th eds). New York: Delmar Publishers. 

  2. Aronson, A. E. & Bless, D. M. (2009). Clinical voice disorders. (4th eds). New York: Thieme Medical Publishers, Inc. 

  3. Awan, S. N. (2001). The voice diagnostic protocol: A practical guide to the diagnosis of voice disorders. Austin, Texas: Pro-Ed Inc. 

  4. Awan, S. N. (1993). Superimposition of speaking voice characteristics and phonetograms in untrained and trained vocal groups. Journal of Voice, 7. 30-37. 

  5. Baken, R. & Orlikoff, R. (2000). Clinical measurement of speech and voice. (2nd eds). San Diego: Singular Publishing Group, Inc. 

  6. Benjamin, B. J. (1981). Frequency variability in the aged voice. Journal of Gerontology, 36. 722-726. 

  7. Boone, D. R., MacFarlane, S. C., Von Berg, S. L. & Zraick, R. I. (2009). The voice and voice therapy (8th eds.). Boston: Allyn and Bacon. 

  8. Brown, W. S., Morris, R. J., Hicks, D. M. & Howell, E. (1993). Phonational profiles of female professional singers and nonsingers. Journal of Voice, 7. 219-226. 

  9. Carole, T. F. (2006). Speech Science: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2nd eds). Boston: Allyn and Bacon. 

  10. Case, J. L. (2002). Clinical Management of Voice Disorders. (4th eds). Austin, Texas: Pro-Ed Inc. 

  11. Chen, S. H. (2007). Sex differences in frequency and intensity in reading and voice range profiles for Taiwanese adult speaker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59. 1-9. 

  12. Colton, R. H., Casper, J. K. & Leonard, R. (2006). Understanding voice problems: A physiological perspectiv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3rd eds.).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3. Duffy, J. R. (2005). Motor speech disorder: Substr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Philadelphia: Elsevier Inc. 

  14. Fitch, J. L. (1990). Consistency of fundamental frequency and perturbation in repeated phonations of sustained vowels, reading, and connected speech.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55. 360-363. 

  15. Gelfer, M. P. & Young, S. R. (1997). Comparisons of intensity measures and their stability in male and female speakers. Journal of Voice, 11. 178-186. 

  16. Hacki, T. (1996) Comparative speaking, shouting and singing voice range profile measurements: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aspects.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21. 123-129. 

  17. Hirano, M. (1981). Clinical examination of voice. New York: Springer-Verlag. 

  18. Hollien, H., Hollien, P. A. & and Jong, G. (1997). Effects of three parameters on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2. 2984 -2992. 

  19. Hudson, A. I. & Holbrook, A. (1981). A study of the reading fundamental vocal frequency of young black adul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4, 197-201. 

  20. Ma, E., Robertson, J., Radford, C., Vagne, S., Halabi, R. E. & Yiu, E. (2006). Reliability of speaking and maximum voice range measures in screening for dysphonia. Journal of Voice, 21. 397-406. 

  21. Morris, R. J. & Brown, W. S. (1984). Age-related differences in speech intensity among adult female.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46. 64-69. 

  22. Morris, R. J., Brown, W. S., Hicks, D. M. & Howell, E. (1995). Phonational profiles of male trained singers and nonsingers. Journal of Voice, 9. 142-148 

  23. Murray, T., Brown, W. & Morris, R. (1995). Patterns of fundamental frequency for three types of voice samples. Journal of Voice, 9. 282-289 

  24. Pegoraro Krook, M. I. (1988). Speaking fundamental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normal Swedish subjects obtained by glottal frequency analysi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40, 82-90. 

  25. Robb, M. & Saxman, J. (1985). Developmental trends in vocal fundamental frequency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8. 420-429. 

  26. Sapienza, C. M. (1997). Aerodynamic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adult African American voice. Journal of Voice, 77. 410-416. 

  27. Shrivastav, R., Yamaguchl, H. & Andrews, M. (2000). Effects of stimulation techniques on vocal responses: implications for assessment and treatment, Journal of Voice. 14. 322-330. 

  28. Titze, I. R. (1989): Physiologic and acoustic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voices.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5. 1699-1707. 

  29. Zraick, R. I., Nelson, J. L., Montague, J. C. & Monoson, P. K. (2000). The effect of task on determination of maximum phonational frequency range. Journal of Voice, 14. 154-160 

  30. Zraick, R. I., Marshall, W. Olinde, L. S. & Montague, J. C. (2004). The effects of task on determination of habitual loudness. Journal of Voice, 18. 176-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