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성 및 내구성과 균열제어
Serviceability, Durability and Crack Control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지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4 no.1, 2012년, pp.24 - 28  

이광명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이수권 (동양미래대학 건축과) ,  이재훈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4.3.2의 2방향 구조에서 내부에 보가 없는 슬래브의 최소두께와 4.4.2 피로에 대한 검토에서 피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철근과 긴장재의 응력 범위에서 600 MPa의 고강도 철근의 사용을 반영하여 각각, 와 같이 수정하였다.
  • 3의 처짐 부분은 사용기호의 중복에 따른 기호의 변경과 고강도 철근의 사용을 반영한 것 이외에 주요 변경사항은 없다. 4.5 내구성 설계에서는 동결융해, 황산염, 낮은 투수성 요구, 염해 등의 노출 범주별로 등급에 따른 내구성 허용기준을 규정하였다. 2007년도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서 균열 제어는 4장, 6장, 부록 V에서 다루고 있다.
  • 동결 융해 및 제빙화학제에 노출되는 일반 콘크리트나 경량 콘크리트는 와 같이 노출등급 F1, F2, F3에 따라 요구되는 공기량으로 수정하여 제시 하였다.
  • 따라서 부록 III.3.3(2)에 규정된 균열간격 계산식은 균열폭의 변동성을 고려하고 CEB-FIP MC 78과 Eurocode 2 Part 1의 모델을 기본으로 하여 수정한 모델을 채택함에 따라 식의 형태와 계수를 조정하여 결정 하였다. 즉, 균열폭 해석모델의 기본식을 평균 균열폭의 계산에 목표를 두고 평균 균열간격 ls를 적용하도록 하였다.
  • 3(1)에서 균열폭의 계산식은 종전 기준이 CEB-FIP Model Code 90의 균열폭 해석모델을 기본으로 하여 수축에 의한 콘크리트의 변형률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변형률을 구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하여 실무설계에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률 차이와 균열 간격의 계산식을 수정한 모델로서 수축에 의한 콘크리트의 변형률을 직접 계산하지 않고 균열폭을 해석하는 Eurocode 2 Part 1의 모델을 기본으로 다음과 같이 수정하였다.
  • 균열폭은 매우 변동폭이 큰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2007년도 기준에서는 이러한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평균 균열폭과 최대 균열폭을 계산할 수 있도록 균열폭 평가 계수 kst를 도입하였다. 균열폭의 통계자료에서 상위 5%분위수의 균열폭은 평균 균열폭의 1.
  • 2)에서 kst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ls (εsm - εcm)는 균열폭 통계자료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평균 균열폭을 계산할 때에는 kst로 1.0을 적용하도록 하였고, 통계자료의 상위 5% 분위수의 균열폭을 최대 균열폭으로 하여 최대 균열폭을 계산할 때에는 kst로 1.7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kst는 발주자 또는 건축주가 구조물의 특성을 고려 하여 균열 검증 수준을 결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값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에 대하여 건물의 내부와 같은 건조환경에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너무 엄격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따라서 합리적인 기준의 적용을 위하여 두가지를 구분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다. 또한 부록 III(균열의 검증)에 따라 균열을 검증하는 경우 규정을 따르지 않아도 좋다는 것을 명확히 기술하였다.
  • 종전 기준에서는 균열 상태를 단일 균열 상태와 균열 안정 상태를 구분하여 균열간격을 달리 계산하도록 하고 있으나 개정 기준에서는 균열 상태를 구분하지 않도록 하였다. 왜냐 하면 학술적으로는 단일 균열 상태와 균열 안정 상태를 구분하는 것이 의미가 있지만, 실무 설계에서의 의미 있는 균열 검증 대상은 균열 안정 상태이므로 기준의 단순화를 위하여 Eurocode 2와 같이 단일 균열 상태에 해당하는 조항을 삭제하였다.
  • 3(2)에 규정된 균열간격 계산식은 균열폭의 변동성을 고려하고 CEB-FIP MC 78과 Eurocode 2 Part 1의 모델을 기본으로 하여 수정한 모델을 채택함에 따라 식의 형태와 계수를 조정하여 결정 하였다. 즉, 균열폭 해석모델의 기본식을 평균 균열폭의 계산에 목표를 두고 평균 균열간격 ls를 적용하도록 하였다. 평균 균열간격 ls는 부착된 철근의 중심간격이 5(cc +db/2) 이하인 경우는 식 (III.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조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 철근의 노출 조건을 고려한 계수는 얼마인가? 여기서, kcr은 철근의 노출 조건을 고려한 계수로서 부록 III에 정의된 건조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280이고, 그 외의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210이다. 2007년도 설계기준의 식 (6.
4.5 내구성 설계에서 어떤 범주별로 등급에 따른 내구성 허용기준을 규정하였는가? 4.5 내구성 설계에서는 동결융해, 황산염, 낮은 투수성 요구, 염해 등의 노출 범주별로 등급에 따른 내구성 허용기준을 규정하였다. 2007년도「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서 균열 제어는 4장, 6장, 부록 V에서 다루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