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웹 기반 서비스에서 각광받는 분야 중 하나는 SNS로 불려지는 "인적 관계 서비스"이다. 이들의 관계를 표현하는 관계 지도 서비스는 오프라인 현실과 연동된 직관적인 자료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더 쉽고 시각적으로 전달해 줄 수 있다. 과거의 지도 서비스가 주로 물리적 현실 정보를 담고 표현하는 것이었다면 오늘날 지도는 실제 세계를 담는 단순한 검색 플랫폼을 넘어 사회관계를 표현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지도 서비스의 구조를 기반으로 스케치맵을 활용한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다양한 SNS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제공, 확대된 소셜 그리드를 통한 인맥 네트워크 구성 시 거버넌스허브 툴로의 활용, 여타 SNS와 연계한 매쉬업 소프트웨어와의 브리지 역할, 소셜 그리드 데이터를 재생산하도록 하는 사용자 환경 구축, 향상된 탐색 기술을 통한 보다 빠른 서비스 구축 등의 특징을 갖는다.
최근 웹 기반 서비스에서 각광받는 분야 중 하나는 SNS로 불려지는 "인적 관계 서비스"이다. 이들의 관계를 표현하는 관계 지도 서비스는 오프라인 현실과 연동된 직관적인 자료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더 쉽고 시각적으로 전달해 줄 수 있다. 과거의 지도 서비스가 주로 물리적 현실 정보를 담고 표현하는 것이었다면 오늘날 지도는 실제 세계를 담는 단순한 검색 플랫폼을 넘어 사회관계를 표현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지도 서비스의 구조를 기반으로 스케치맵을 활용한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다양한 SNS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제공, 확대된 소셜 그리드를 통한 인맥 네트워크 구성 시 거버넌스 허브 툴로의 활용, 여타 SNS와 연계한 매쉬업 소프트웨어와의 브리지 역할, 소셜 그리드 데이터를 재생산하도록 하는 사용자 환경 구축, 향상된 탐색 기술을 통한 보다 빠른 서비스 구축 등의 특징을 갖는다.
Recently, one of the received attraction fields in web based service is 'Human Relationship Service' that is called SNS. This relationship map service is able to deliver information to user more easily and visually because it is intuitive data that is linked with offline real world. While past map s...
Recently, one of the received attraction fields in web based service is 'Human Relationship Service' that is called SNS. This relationship map service is able to deliver information to user more easily and visually because it is intuitive data that is linked with offline real world. While past map service put physical real information in the map, present map service is evolving into new communicative platform that expresses social relationship beyond simple search platform that shows real world. In this paper, we propose smart social grid system using sketch map that is based on online map service structure. This system has features such as standardized interface provision for various SNS, use to governance hub tool in case of establishing a personal network through expanded social grid, a role of bridge to mashup software linked with other SNS, user environment construction that reproduces social grid data, and the faster service setup by improved search technology.
Recently, one of the received attraction fields in web based service is 'Human Relationship Service' that is called SNS. This relationship map service is able to deliver information to user more easily and visually because it is intuitive data that is linked with offline real world. While past map service put physical real information in the map, present map service is evolving into new communicative platform that expresses social relationship beyond simple search platform that shows real world. In this paper, we propose smart social grid system using sketch map that is based on online map service structure. This system has features such as standardized interface provision for various SNS, use to governance hub tool in case of establishing a personal network through expanded social grid, a role of bridge to mashup software linked with other SNS, user environment construction that reproduces social grid data, and the faster service setup by improved search technolog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논문에서는 지인들의 위치를 기반으로 현재 상태, 트윗을 통해 정보 공유 및 활용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적극적이고 용이하게 온라인 아이덴티티(Identity)를 표현하는 것을 도와주는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온라인 지도 서비스의 구조를 기반으로 스케치맵을 활용하여 구현된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의 설계이다.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이 타 시스템과 차별화될 수 있는 성능 및 효과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임의로 제공한 입력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곳을 쉽고 간략한 정보에 의해 찾을 수 있는 약도(스케치맵)개념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안 방법
기존의 지도를 활용한 서비스는 온라인 지도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조합한 결과, 서비스 제공자 위주의 단방향 정보를 제공하여 왔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지도 서비스의 구조를 기반으로 인터랙티브 스케치맵[16]을 기반으로 구현된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새로운 경로는 다시 새로운 맵의 하위 경로로 사용된다. 즉, 두 문자 열을 입력받아 공통적인 가장 긴 문자열을 찾는 LCS(longest common subsequence) 알고리즘[17]을 적용하여, 하위 경로를 포함하고 있는 맵 소속임을 찾기 위하여 문제를 더 분할하게 된다. 결국, 실제 맵이 존재하는지, 이 맵의 집합에 경로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LCS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시스템은 그림 3과 같이 스마트 소셜 그리드서비스 시스템과 스마트 소셜 그리드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이론/모형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은 모바일 웹 서비스의 재사용이라는 차별성을 가진 인터랙티브 스케치맵(Interactive Sketch Map)을 사용하여 설계하였다. 인터랙티브 스케치맵은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 모바일 컴퓨팅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분석, 분할, 클러스터링 단계를 거쳐 최적의 내용으로 자원을 갱신함으로써 유효한 형태의 모바일 컴퓨팅 자원인 스케치맵을 생성한다.
이러한 정성적 관계를 구조화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여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을 물리적, 지리적 데이터인 환경에 투영시킬 수 있다.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을 구조화시키는 방법으로 인터랙티브 스케치맵을 사용한다. 따라서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은 인터랙티브 스케치맵을 활용하는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환경으로도 볼 수 있다.
본 시스템의 주요한 역할을 하는 그리드 서비스는 네트워크 자동화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또한 서비스 클라이언트에서의 질의 처리방법은 두 지점을 연결 하는 경로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며, 차례로 경로를 통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경로(loosely routed)를 맵으로 사용하게 된다.
즉, 두 문자 열을 입력받아 공통적인 가장 긴 문자열을 찾는 LCS(longest common subsequence) 알고리즘[17]을 적용하여, 하위 경로를 포함하고 있는 맵 소속임을 찾기 위하여 문제를 더 분할하게 된다. 결국, 실제 맵이 존재하는지, 이 맵의 집합에 경로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LCS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후속연구
소셜 그리드 환경에서의 네트워크는 인맥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스케치맵을 활용해서 유형의 약도를 표현할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무형의 약도를 그리는 곳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활용 예로, 그림 13은 개인의 인맥에 대한 정보이며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맥정보를 표현할 경우, 최종적으로 생성된 스케치맵은 가중치가큰 맵으로 표현된 스케치맵을 가진 문서를 얻게 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스마트 TV, 모바일, 게임 네트워크 등에서도 다양한 구성원과 구성 환경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소셜 그리드 시스템을 점차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웹 서비스의 재사용이라는 차별성을 가진 인터랙티브 스케치맵은 어떻게 유효한 형태의 모바일 컴퓨팅 자원인 스케치맵을 생성하나요?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은 모바일 웹 서비스의 재사용이라는 차별성을 가진 인터랙티브 스케치맵(Interactive Sketch Map)을 사용하여 설계하였다. 인터랙티브 스케치맵은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 모바일 컴퓨팅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분석, 분할, 클러스터링 단계를 거쳐 최적의 내용으로 자원을 갱신함으로써 유효한 형태의 모바일 컴퓨팅 자원인 스케치맵을 생성한다.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은 무엇을 사용하여 설계하였나요?
스마트 소셜 그리드 시스템은 모바일 웹 서비스의 재사용이라는 차별성을 가진 인터랙티브 스케치맵(Interactive Sketch Map)을 사용하여 설계하였다. 인터랙티브 스케치맵은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 모바일 컴퓨팅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분석, 분할, 클러스터링 단계를 거쳐 최적의 내용으로 자원을 갱신함으로써 유효한 형태의 모바일 컴퓨팅 자원인 스케치맵을 생성한다.
LBS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모바일 기기의 보급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해지면서, 위치기반 서비스(LBS)는 새로운 콘텐츠로 각광받고 있다. LBS란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이나 GPS를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1,2].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LBS는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날씨, 상점, 편의시설, 교통정보 등의 생활 밀착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핵심요소가 되었다.
M. Cha, H. Haddai, F. Benevenuto, and K. P. Gummadi, "Measuring User Influence in Twitter: The Million Follower Fallacy," Proc. of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logs and Social Meia(ICWSM), pp.1-19, 2010.
H. Kwak, C. Lee, H. Park, and S. Moon, "What is Twitter, A Social Network or a News Media," WWW '10: Proceedings of the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pp.1-72, 2010.
L. Page, S. Brin, R. Motwani, and T. Winograd, "The Pagerank Citation Ranking: Bringing Order to the Web," http://ilpubs.stanford.edu:8090/422/
양용석, "스마트폰 확산으로 인한 국내 통신시장 환경 변화 및 법제도적 대응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 통권 제487호, pp. 23-42, 2010.
장선희, 장석현, "사회연결망 영향력 시각화를 위한 프레임워크,"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 139-146, 2009.
조현도, "국내외 스마트폰 시장 분석과 전망," 제9회 모바일(스마트폰) 대전망 컨퍼런스, pp. 1-18, 2010.
김정숙, 이야리, 홍경표, "XML 문서의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스케치맵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2호, pp. 19-30, 2009.
L. Bergroth, H. Hakonen, and T. Raita, "A Survey of Longest Common Subsequence Algorithms," SPIRE 2000 Proceedings. Seventh International Symposium, pp. 39-48, 2000.
김우생, "XML 문서의 구조와 내용을 고려한 유사도 측정,"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p. 1043-1050, 2008.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