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지진정보전달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A System For Earthquake Warning Using Social Media 원문보기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12 no.5, 2012년, pp.169 - 175  

전인찬 (서울시립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최성종 (서울시립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  이용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홍성대 (기상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일본대지진은 재난정보전달체계에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특히 재난정보전달에 소셜미디어가 유용할 수 있다는 사례가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 중 한 유형인 마이크로블로그를 통해서 지진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다양한 소셜미디어의 유형을 분석하면 트위터, 미투데이와 같은 마이크로블로그가 재난정보전달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기상청의 지진통보시스템과 연계하여 지진정보를 트위터와 미투데이에 게시하는 프로그램을 구현 및 실험하였다. 이 시스템으로 지진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지진에 대한 국민들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 향후 다른 유형의 재난이나 다른 유형의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재난정보전달 시스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left some implications. Especially the case of alerting by social media had present. This paper suggests system for posting earthquake information to microblog like twitter and me2day. Microblog is most efficient and effective social media. So, this system receive ea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를 분석하여 지진정보전달에 가장 유용한 형태의 소셜미디어를 선택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상청에서 생성하는 지진정보를 소셜미디어에 등록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험결과를 고찰한다.
  •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지진정보전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다양한 소셜미디어의 유형을 분석하여 지진정보전달에는 마이크로블로그가 가장 적합한 유형이라 결론짓고, 지진정보를 수신하여 마이크로블로그에 게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MIS란? 주로 재난 담당자 및 기관에게 보내는 정보는 지진통보시스템(EBS: Earthquake Broadcasting System)에서 직접 전파하고, 국민에게 알리는 정보는 종합기상정보시스템(COMIS: COmbined Meteorogical Information System)을 거친다. COMIS는 기상 정보를 수집, 분석, 저장, 분배하는 시스템이다. EBS에서 받은 지진정보를 TV자막, 기상청 홈페이지, 포털사이트 등에 전달하는 역할도 한다.
대표적인 소셜미디어 서비스는 무엇들이 있는가? 0의 개방, 공유, 참여의 특징이 나타난다. 대표적인 소셜미디어 서비스인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이용자 수는 각각 9억 명과 5억 명을 돌파하였다.
SNS는 무엇을 기반으로 크게 발전하였고 어떤 특징이 나타나는가? 소셜미디어(social media)란 사람들이 의견, 생각, 경험, 관점 등을 서로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온라인 툴과 플랫폼을 뜻한다[5]. 웹 2.0을 기반으로 크게 발전하여 대부분의 소셜미디어 서비스는 웹 2.0의 개방, 공유, 참여의 특징이 나타난다. 대표적인 소셜미디어 서비스인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이용자 수는 각각 9억 명과 5억 명을 돌파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The Japanes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2011 White Pap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in Japan", July, 2012. 

  2. Yu-hyang Kim, Soon-young Kwon,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and possibility as disaster response media",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Issue and viewpoint 214, March, 24, 2011 

  3. Seong Jong Choi, et al. "A study on effective earthquake warning system reflecting current glob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2011 

  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ttp://www.kma.go.kr/ (August, 1, 2012). 

  5. The Federation of Korean Information Industries, "What is social media?", IT Issue Report, 2006 

  6. http://www.twitter.com/kma_Weather 

  7. http://me2day.net/kma_weather 

  8. http://twitter.com/earthquake_jp 

  9. http://www.twitterizer.net/ 

  10. http://twitter.com/kma_earthquake 

  11. http://me2day.net/kma_quak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