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電子工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v.39 no.11 = no.342, 2012년, pp.63 - 70
초록이 없습니다.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massive MIMO 기술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은 무엇인가? | 하지만 massive MIMO 기술에는 몇가지 해결해야할 문제들이 있다. 첫째, massive MIMO는 완벽한 (perfect) 채널정보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를 요구하기 때문에 TDD (time-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인접셀에서 비직교 파일럿 시퀀스(non-orthogonal pilot sequence)를 사용하면 인접셀의 파일럿이 간섭으로 작용하게 되어 잘못된 채널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를 pilot contamination이라 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4]. | |
Massive MIMO란? | Massive MIMO는 기지국에서 무수히 많은 안테나를 사용하여 간섭과 잡음(noise)를 제거하고 송신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기술이다. Massive MIMO의 장점은 선형(linear) 송수신 필터로 충분히 비선형(non-linear) 송수신 필터에 필적하는 성능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점이다[2],[3]. | |
Massive MIMO의 장점은 무엇인가? | Massive MIMO는 기지국에서 무수히 많은 안테나를 사용하여 간섭과 잡음(noise)를 제거하고 송신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기술이다. Massive MIMO의 장점은 선형(linear) 송수신 필터로 충분히 비선형(non-linear) 송수신 필터에 필적하는 성능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점이다[2],[3]. 따라서 안테나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송수신 필터 디자인이 복잡해지는 MIMO기술임을 고려할 때 이런 제약조건이 사라지는 massive MIMO는 통신기술이 앞으로 나아가야할 필수 요소임을 시사한다. |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