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대간에 인접한 석회석 광산의 식생복구 연구 (2) - 묘목식재 방법에 의한 옥계 광산복구 시험시공 사례 -
A Study of Rehabilitation for Limestone Quarry near the Baekdudaegan Mountains (2) - In Case Study for Planting Seedlings Experiment on Okke Quarry -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5 no.2, 2012년, pp.117 - 125  

김경훈 ((주)일림) ,  김학성 (라파즈한라시멘트(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planting seedlings for quarry rehabilitation.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for rehabilitation of quarry with planting seedlings and seeding types. Planting seedlings were categorized as target species, accom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3; 라파즈한라시멘트,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옥계 석회석 광산을 대상으로 하여 백두대간 인접지역에 위치한 지역을 생태적으로 복구하기 위하여 수목 식재와 종자 파종 방법을 병행하여 2007년도부터 4개년 간 시험시공을 실시하였으며, 수목 식재에 의한 식생 복구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자원의 취득을 위한 채광 및 채석의 행위는 어떤 산업으로 여겨졋는가? 지하자원의 취득을 위한 채광 및 채석의 행위는 국가 산업발전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산업으로 여겨졌으나 근래에는 오히려 산림의 훼손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2010년 현재에도 한국광해관리공단(2011)의 보고에 의하면 석탄광산은 6개, 금속광산은 56개, 비금속광산은 531개로 총 593개가 가행 중에 있다.
지하자원의 취득을 위한 채광 및 채석의 행위는 요근래 어떤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가? 지하자원의 취득을 위한 채광 및 채석의 행위는 국가 산업발전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산업으로 여겨졌으나 근래에는 오히려 산림의 훼손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2010년 현재에도 한국광해관리공단(2011)의 보고에 의하면 석탄광산은 6개, 금속광산은 56개, 비금속광산은 531개로 총 593개가 가행 중에 있다.
광산개발 행위로 유발되는 훼손을 복구하는 것은 주로 어디에 목표를 두고 있는가? 광산의 복구는 주로 산지관리법(산림청, 2006) 에서 정하는 있는 기준에 의거하여 수목을 식재하여 산림을 복구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석회석 광산은 특성상 급경사 잔벽면이 노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암반이 노출된 곳은 식물 생육 기반이 열악하기 때문에 소단부 등에 주로 토양을 복토하고 차폐를 목적으로 식물을 식재하고 있다(이천용, 1986; 정규원,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영호.이천용.배영태.김찬법. 2011. 산림재해지 복구를 위한 주요 수종의 입지 및 재해 저항 특성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4(6) : 1-15. 

  2. 고정현.吉田寬.김남춘. 2006. 일본의 비탈면 녹화공법 발전과정과 전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9(1) : 112-120. 

  3. 국토해양부. 2009.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 지침. 국토해양부 보고서. 

  4. 김경훈.우보명. 1999. 비탈면 녹화용 재료로서 산림 표층토의 적정 채취시기 및 이용방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2) : 53-61. 

  5. 김경훈.주백.김학성. 2011. 백두대간에 인접한 석회석 광산의 식생복구 연구(1)-종자파종에 의한 옥계 광산복구 시험시공-.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4(4) : 55-66. 

  6. 김경훈.홍준석. 2002. 석회석 광산의 생태적 복원모델 수립-라파즈한라시멘트 옥계광산을 중심으로-. 환경친화적인 광산개발 및 생태적 복원모델 수립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pp.99-139. 

  7. 김귀곤. 2003. 석회석 광산의 생태복원계획-라파즈한라시멘트 옥계광산을 사례로-. 석회석 광산의 생태복원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 자료집. pp.12-13. 

  8. 김남춘.허영진.김정훈. 2005. 환경친화적인 도로비탈면 훼손지 복원을 위한 적정 식물배합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8(4) : 81-90. 

  9. 김동근.박종민.임채영. 2010. 산림복원지에 대한 목표와 성과의 비교 분석. 산림공학기술 8(1) : 3-18. 

  10. 김혜주.김보현.김두하. 2000. 폐탄광지 식생 복원.녹화공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3(4) : 43-51. 

  11. 남언정.김남춘.조민환.길인.이석해.이정화. 2007. 재래 초.목본 식물 위주의 비탈면녹화시공지에 대한 식생변화에 관한 연구-모니터링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0(4) : 70-82. 

  12. 라파즈한라시멘트(주). 2005. 석회석 광산 생태복원 기본설계. 라파즈한라시멘트(주) 보고서. 

  13. 박재현. 2007. 백운산 지역에서 벌채지내 운재로의 회복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0(2) : 34-43. 

  14. 산림청. 2006. 채석 허가 및 복구 제도 개선 방안. 산림청 보고서. 

  15. 오구균.김도균. 2006. 생태녹화공학. 광일문화사. 

  16. 이수욱. 1976. 황폐나지 지피식생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31 : 37-42. 

  17. 이준우.권태호. 2007. 백두대간의 현실-백두대간의 훼손실태-. 2007 백두대간심포지엄 자료집. pp.45-63. 

  18. 이준우.김남춘.남상준.박종민.차두송. 2003. 석회석 광산의 식생녹화방법에 관한 고찰-일본 이부키광산과 부코우 광산의 사례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6(6) : 72-85. 

  19. 이천용. 1986. 토양 및 식생변화에 따른 산지사방공사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4(2) : 7-16. 

  20. 이한진.김동근. 2008. 산사태 복구지 식생의 생장과 천이에 관한 연구-경북 김천지역을 대상으로-. 산림공학기술 6(3) : 189-198. 

  21. 정규원. 2008. 토석채취지 유형별 복구방안. 산림공학기술 6(3) : 253-259. 

  22. 정용호. 2008. 폐광지역 생태적 복구방안. 2008 광해방지심포지엄 자료집. pp.216-224. 

  23. 한국광해관리공단. 2011. 2010년 광해통계연보. 한국광해관리공단. 

  24. Hiller, D.A. 1997. Rekultivierung von Bergmaterialhalden des Steinkohlenbergbaues. In : Dt. Inst. f. Fernstudienforschung an der Uni Tuebingen : 383-39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