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MZ 일원 보전·이용지역 설정 및 가이드라인 수립 연구
A Study on Evaluating the Conservation/Utilization Area and Establishment of the Guideline for Conservation of the DMZ Region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5 no.2, 2012년, pp.163 - 175  

송원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전성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김은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이동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이준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pite of the ecological value of the DMZ, there have not been established guidelines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se on the DMZ and adjacent area.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method about zoning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area considering environmental data and the characteristic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MZ 일원 보전·이용 가이드라인은 각각의 개별법에서 지정하고 있는 법정보호지역과 국토 환경성평가지도와 DMZ 일원의 지역특성에 근거한 지역구분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개발계획을 유도하는 환경보전계획 수립을 위한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DMZ 일원의 공간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이 지역의 효과적인 보전·​​​​​​​관리를 유도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합리적으로 보전지역을 선정하는 단계에서부터 모니터링을 통한 피드백, 사업파악 및 입지 검토, 대안 설정 및 민감성 평가, 대안선정 및 경계 설정, 보전 및 복원계획 수립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단계별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본 가이드라인은 각 단계에서 고려해야할 계획 및 평가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전환경성검토와 환경영향평가와 같은 영향평가단계와 연계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읕 통해 장기적인 DMZ 일원의 환경보전계획 수립이 가능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북분단 이후 50년 이상 민간인 출입통제로 인한 DMZ 일원의 특징은? 비무장지대(DMZ) 일원은 국토분단이라는 역사의 상징지역임과 동시에 일반인 출입통제로 자연생태계가 보전․복원된 지역으로 한반도 3대 핵심생태축의 하나이다(관계부처합동, 2010a). 남북분단 이후 50년 이상 민간인 출입통제로 인해 DMZ 일원에는 각종 천연기념물, 보호야생동·식물이 서식할 뿐만 아니라 발굴되지 않은 문화유산이 산재해 있고, 전쟁․평화와 관련된 유물이 다수 분포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1990년대 초반부터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에 대한 생태계 현황을 파악하여 다양한 조사보고서를 발간하였으며(임채환, 2006), 현재도 DMZ 일원에 대한 생태계 조사가 추진되고 있다.
남북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로 종합된 대표적인 남북협력관련 연구들은? DMZ 일원에 대한 연구는 크게 이 지역을 남북분단의 현장으로 인식하여 현재의 역사․문화적 자원 및 남북분단 상황을 기반으로 평화적 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연구와 생태자원 조사 및 보전방안 연구로 구분될 수 있다. DMZ 관리 및 활용을 위한 남북협력 관련 연구는 DMZ, 서행 북방한계선(NLL)의 관리에 대한 특수성을 고려한 법제적 검토(이재민, 2008; 제성호, 2006), 국제 관계문제 및 협력(스캇스나이더, 2006; 취이리루, 2006), DMZ의 평화적 관리․활용방안(고경빈, 2007; 손기웅, 2006)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연구들은 통일부 접경지역의 평화지대 조성을 통한 남북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로 종합되었다(통일부, 2009a; b).
비무장지대(DMZ) 일원이란? 비무장지대(DMZ) 일원은 국토분단이라는 역사의 상징지역임과 동시에 일반인 출입통제로 자연생태계가 보전․복원된 지역으로 한반도 3대 핵심생태축의 하나이다(관계부처합동, 2010a). 남북분단 이후 50년 이상 민간인 출입통제로 인해 DMZ 일원에는 각종 천연기념물, 보호야생동·식물이 서식할 뿐만 아니라 발굴되지 않은 문화유산이 산재해 있고, 전쟁․평화와 관련된 유물이 다수 분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고경빈. 2007. DMZ평화생태포럼; DMZ 평화지대화와 남북관계. 북한학연구 3 : 21-34. 

  2. 관계부처합동. 2010a.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조성방안 -DMZ 일원 관광활성화-. 제20차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3. 관계부처합동. 2010b. DMZ 일원 생태계보전 및 현명한 이용대책. 

  4. 국립환경과학원. 2007.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 

  5. 김귀곤. 2000. 비무장지대와 민통지역의 생물상. 

  6. 김귀곤. 2010. 평화와 생명의 땅 DMZ. 서울 : 드림미디어. 

  7. 김주필. 1999. 강원도 철원지역 DMZ 의 거미상. 한국토양동물학회지 4 : 69-73. 

  8. 산림청. 2011. DMZ 일원 산림관리 종합대책 보전과 이용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녹색평화공간 창조-. 

  9. 산림청.임업연구원. 2000.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의 산림생태계 조사 종합 보고서. 

  10. 손기웅. 2006. DMZ 생태, 평화의 제문제; 비무장지대 관리, 활용을 위한 남북협력. 북한학연구 2 : 83-111. 

  11. 스캇스나이더. 2006. 한반도 평화체제와 국제협력. 북한학연구 2 : 92-108. 

  12. 이경.박지영.한명수. 1996. 철원 북방 DMZ 내의 중영양호 토교저수지의 생태학적 연구 - II.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계절적 변화. 한국하천호수학회지 29 : 241-246. 

  13. 이경.윤숙경.한명수. 1997. 철원 북방 DMZ 내의 중영양호 토교저수지의 생태학적 연구 - III. 부착조류. 한국하천호수학회지 30, 253-279. 

  14. 이재민. 2008. 남북한 현안문제에 관한 국제법적 검토 ; 북방한계선(NLL)과 관련된 국제법적 문제의 재검토. 서울국제법연구 15 : 41-71. 

  15. 임채환. 2006. 비무장지대 생태계조사 현황과 정책방향. 북한학연구 2 : 135-145. 

  16. 제성호. 2006. DMZ의 평화적 이용에 따른 법적 문제. 법조 55 : 130-168. 

  17. 철도청. 2000. 경의선 철도사업 동식물상조사보고서. 

  18. 철도청. 2001. 경의선 철도사업 동식물상조사보고서. 

  19. 최성록. 2011. DMZ일원 국가사업에 있어 주민참여 현황과 과제. 지방정부연구 15 : 163-188. 

  20. 최성록.박은진. 2009. DMZ 일원 주요 자원의 보전가치 추정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경기개발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21. 최재용.이동근.김은영.최인태. 2008. 녹지총량제의 국외사례 및 국내 적용가능성.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2) : 104-113. 

  22. 취이리루. 2006. 강대국 정치와 한반도 평화. 북한학연구 2 : 36-52. 

  23. 한국관광공사. 2009. 평화.생명지대(PLZ) 광역 관광개발계획 수립. 

  24. 한명수.이경.유광일. 1995. 철원 북방 DMZ 내의 중영양호 토교저수지의 생태학적 연구 - I. 넷트로 제작된 mesocosm에 대한 현장 시험. 한국하천호수학회지 28 : 487-495. 

  25. 행정안전부. 2011.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안). 

  26. 환경부 보도자료. 2010.8.30. DMZ일원 "보호지역" 5개소 지정추진. 

  27. 환경부 보도자료. 2011.9.20. DMZ의 생태.환경 가치, 세계에 알린다. 

  28. 환경부 설명자료. DMZ 국립공원 지정 보도관련 설명자료. 2010.8.6. 

  29. 환경부. 1995. 비무장지대 인접지역 자연환경 정밀조사보고서 I. 

  30. 환경부. 2003. 비무장지대 일원 생태조사결과 종합보고서. 

  31. 환경부. 2004. 환경친화적 계획기법 작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32. 환경부. 2005. 비무장지대 일원 생태계보전대책. 

  33. 환경부. 2010a. 2010년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유지 관리. 

  34. 환경부. 2010b. 사전환경성검토 업무 매뉴얼. 

  35. 환경부. 2010c. 전략환경평가 내실화를 위한 평가단계별 방법론 마련 연구. 

  36.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2009. DMZ 중부지역 생태계 조사 보고서. 

  37. Arrowsmith, C., R. Inbakaran. 2002. Estimating environmental resiliency for the Grampians national park, Victoria, Australia : a quantitative approach. Tourism Management 23(3) : 295-309. 

  38. Tomczyk, A.M. 2011. A GIS assessment and modelling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recreational trails : The case of Gorce National Park, Poland. Applied Geography 31 : 339-351. 

  39. http : //www.khan.co.kr (경향신문. 2011.8.30. 열목어 노니는 민통선 계곡, 자전거길로 생채기)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