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무장지대(DMZ) 훼손지 데이터베이스 구축연구
Study on Database Construction of Demilitarized Zone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0 no.1, 2017년, pp.143 - 150  

성현찬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서정영 ((주)디앤씨엔지니어링) ,  이상미 (충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tend to integrate the database(DB) method into one logical structure that is related to damage such as cause and type of damages occurring in the DMZ area. We divided the DMZ members into two types, which are classified in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based on the cur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MZ 일원의 훼손지 유형분석 및 복원방향에 문헌조사와 도면분석을 통해 현재까지 연구된 DMZ 일원의 훼손 현황과 유형을 파악코자 하였다. 문헌조사에서는 훼손의 원인과 유형에 관한 선행연구 내용을 토대로 훼손 유형을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 2개로 구분하고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 이를 통하여 DMZ 일원 훼손지에 관한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중복의 최소화, 데이터의 공유 등이 용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훼손지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통하여 훼손지별 훼손유형에 따른 복원목표를 검증하고, 복원목표 검증에 따른 훼손지의 복원을 통하여 DMZ 일원의 생태계와 자연경관을 보전하는 등 자연환경의 체계적으로 보전․관리함으로써 자연환경의 지속가능한이용을 도모하고, 국민이 쾌적한 자연환경에서 여유 있고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 문헌조사와 도면분석을 통해 현재까지 연구된 DMZ 일원의 훼손 현황과 유형을 파악하고(2014년, 2015년, 2016년), 1, 2차년도 현황조사를 통하여 도출된 훼손지의 유형과 표준화 및 정량화된 훼손 현황, 3차년 등을 바탕으로 훼손지 유형별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DMZ 일원의 훼손지 유형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연구로서 총 3년간 현황조사를 토대로 질적인 측면과 양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훼손원인의 다양한 원인에 따라 나타나는 대표되는 훼손지 유형을 6가지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향후 복원시 실질적인 데이터의 활용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베이스(DB) 방식을 도입하여 DMZ 일원 내에서 발생하는 훼손의 원인 및 유형 등 훼손과 관련된 현황자료를 하나의 논리적 구조로 통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DMZ 일원 훼손지에 관한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중복의 최소화, 데이터의 공유 등이 용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 양적인 측면에서의 정량적 측면을 고려하여 유형별로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은 5등급으로 구분하여 훼손의 유형을 쉽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하여 복원 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무장지대(DMZ)가 지니는 가치는 무엇입니까? 비무장지대(DMZ)는 길이 248km(최근 위성 자료 연구에 의하면 약 238km)에 달하며, 총 면적은 약 904㎢에 달하며 군사활동을 제외하고 인위적인 간섭이 거의 없는 지역으로 백두대간, 도서연안과 함께 한반도의 중요한 핵심생태축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비무장지대의 길이와 총 면적은 어떻습니까? 비무장지대(DMZ)는 길이 248km(최근 위성 자료 연구에 의하면 약 238km)에 달하며, 총 면적은 약 904㎢에 달하며 군사활동을 제외하고 인위적인 간섭이 거의 없는 지역으로 백두대간, 도서연안과 함께 한반도의 중요한 핵심생태축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DMZ 일원의 환경보전이 필요한 이유와 이를위한 정책은 무엇입니까? DMZ 일원의 환경보전이 필요한 대표적 이유로는 매우 특이한 자연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산악지대와 초지 그리고 내륙습지들을 비롯하여 담수 및 해양생태계가 함께 공존하고 있어 지속적인 생물상의 보전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세계적인 멸종위기야생생물, 희귀종, 천연기념물 등이 다수 서식하고 있어 생물종다양성 측면에서도 국내는 물론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어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하여 2014년에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으로 지정을 추진하였고(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4;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 2012; 2013), 2015년부터는 각 지역별 소규모로 추진 중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In, C.K. 2013. study on the systematic management measures of natural resources in the demilitarizes[i.e. demilitarized] zone : based on the demilitarizes[i.e. demilitarized] zone in Gyeonggi-do. Dankook University, Master degree. 

  2. Jeon, S.W. et al. 2003. An Environment Conservation Master Plan for the Korea DMZ A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3. Jeon, S.W. et. al. 2007. A Study on the Setting for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4. Jeon, S.W. et al. 2009. A study on establishing the basic plan for DMZ ecological-peace park. Korea Environment Institute. 

  5.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Ecology, forest, cultural heritage survey and research report in the western part of the DMZ.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314pp.(in Korean) 

  6.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11.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Border area: Eco.Peace Belt Nurturing Centered on the Korean Peninsula. 29pp. 

  7.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Ministry of Environment. Retrieved Dec. 05, 2013, from http://www.me.go.kr 

  8.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14. Military bases and military fa-cilities protection laws. Retrieved May. 9, 2014,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3884&efYd20140810#AJAX 

  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 A ecological survey report of central region in DMZ.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278pp.(in Korean) 

  1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Ecological Survey of Near DMZ-Ecological survey of civilian control line nort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282pp.(in Korean) 

  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Ecological Survey of Near DMZEcological survey of civilian control line north central reg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233pp.(in Korean) 

  12.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 Endemic species of Korea : Plant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912pp.(in Korean) 

  13. Sung, H.C. et al. 2016. Analysis on the Type of Damaged Land in DeMilitarized Zone(DMZ) Area and Restoration Direc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