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절개사면 녹화지역과 인접 자연지역의 식생 비교
Comparison of Vegetation between Cutting Slope Revegetation Area and Adjacent Nature Area in Korea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5 no.6, 2012년, pp.79 - 89  

강희경 (공주대학교 원예학과) ,  송홍선 (민속식물연구소) ,  조용현 (공주대학교 조경학과) ,  박봉주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김원태 (천안연암대학 환경조경과) ,  신경준 ((주)장원조경 부설 조경기술연구소) ,  어양준 ((주)장원조경 부설 조경기술연구소) ,  윤택승 ((주)수프로 식물환경연구소) ,  장광은 ((주)수프로 식물환경연구소) ,  곽무영 ((주)드림바이오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mpared to the differences in the habitat,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revegetation and nature area in Korea. Plant number in plot of revegetation and nature area was 10.3 and 15.0 taxa, respectively, and coverage was 90.6 and 88.1%, respectively. Revegetation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생태복원 녹화기술에 있어서 한국 기후와 토양에 적합한 녹화식물의 개발과 더불어 지속 가능한 생태적 천이의 녹화기술 개발 등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절개사면 녹화지역과 그 인접의 자연지역에 대한 지형 등의 환경조건 및 그 지역의 식물 종조성과 식물군락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의 자료가 소기의 목적에 어느 정도 부합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한 생태적 녹화기술 개발 등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한국(남한)의 훼손지 녹화지역과 그 바로 인근 자연지역의 식물 종조성 및 식생의 차이가 비교되었다. 각 조사 구의 평균 식물종수는 녹화지역과 자연지역이 각각 10.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생태복원 녹화기술에 있어서 한국 기후와 토양에 적합한 녹화식물의 개발과 더불어 지속 가능한 생태적 천이의 녹화기술 개발 등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절개사면 녹화지역과 그 인접의 자연지역에 대한 지형 등의 환경조건 및 그 지역의 식물 종조성과 식물군락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의 자료가 소기의 목적에 어느 정도 부합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절개사면은 무엇을 훼손하는가? 한국(남한)은 산업화와 도시화의 과정에서 도로, 산업단지, 주거단지 등의 건설 및 개발 등으로 인하여 절개사면이 속출하고 있다. 절개사면은 이 외에도 채석장, 광산, 임도 주변을 비롯하여 산사태지, 토사적치장 등으로 양산되어 자연경관을 훼손하고 있다. 그래도 절개사면은 방치 되어 있는 곳보다 녹화에 의한 복구지역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교란지역의 생태적 복원은 어떻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교란지역의 생태적 복원은 경관 우선의 식재 중심 기술과 함께 식물군락의 식생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을 적절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인위적으로 정비한 녹화지역과 그 바로 인접의 자연지역 간의 이질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녹화지역과 자연지역의 식물군락을 어떻게 구분했는가? 녹화지역과 자연지역의 식물군락은 각각 10개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즉 녹화지역은 싸리나무, 큰낭아나무, 물오리나무, 큰김의털, 능수참새그령, 참억새, 환삼덩굴, 가을강아지풀, 원추천인국, 칡 군락으로 구분되었고, 자연지역은 소나무,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밤나무, 리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 은사시나무, 왕대나무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녹화지역과 자연지역은 공통의 식물군락이 나타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ng G.J, J.S. Lee, T.J. Lee, H.G. Kang and J.H. Seol. 1998. Studies on the landscape greenery specificity of indigenous pla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1):45-53. 

  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3rd ed). Springer, Wien-New York. 631pp. 

  3.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I)-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Eugen Ulmer, Stuttgart. 136pp. 

  4. Hill M.O. 1994. DECORANA and TWINSPAN, for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multivariate species data. Huntingdon, England. 58pp. 

  5. Hong S.G., J.J. Kim, D.S. Lee, K.C. Lee and T.S. Yoon. 1999. Studies on partial revegetation of rock cut-slope by direct seeding of woody species seed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18(3):265-27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Jeon G.S. and B.M. Woo. 1999. Optimal amount and mixture ratio of seeding of the exotic and native plants for slope revegetation(1).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2(3):33-4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Jeon G.S. 2007. Environmental revegetation standard design of highway cutting and banking slope. Expressway and Transportation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372pp. (in Korean) 

  8. Kim G.S. and J.S. Lee. 2008. Selection and survey of native plants for waste landfill greening.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1(3):62-7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Kim N.C. 1997. A Study on the seeding timing of native woody plants for the slope revegetation works.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1):73-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N.C. 1998. A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Strategies for the Disturbed Landscapes. The Journal of the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1):28-4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Lee M.J., H.G. Song, J.U. Lee, G.S. Jeon, H.J. Kim and J.D. Hyeon. 2003. Vegetation succession in the cut-slope of forest road - In Case Study on Chungcheong-do.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2(4):397-40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Maarel E. van der. 1979. Multivariate methods in phytosociology with reference to the Netherlands. in M. J. A. Werger(ed.), The study of vegetation. 225pp. 

  13. McCune B and MJ. Mefford. 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221pp. 

  14. Muella-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547pp. 

  15. Song H.S. and W. Cho. 2007. Vegetation of Chiaksan National Park in Gangwon, Ko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4):356-36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6. Song H.S. and Y.J. Park. 2010. Community structure and floristic composition of Cymbidium goeringii Group in Korean islets. Flower Research Journal 18(2):110-11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Song H.S. 2008. Exotic plant of Korea Incheon. Pulggotnamu, Seoul, 222pp. (in Korean) 

  18. Song H.S. 2009. Plant ecology. Pulggotnamu, Seoul, 340pp. (in Korean) 

  19. Woo B.M., T.H. Kwon and N.C. Kim. 1993. Studies on vegetation succession on the slope of the forest road and development of slope revegetation methods - In cutting slop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2(4):381-39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0. Zechmeister H. and L. Mucina. 1994. Vegetation of european springs-High rank syntaxa of the Montio-Cardaminetea,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5:385-4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