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포화토에서 흙의 구조가 흙-함수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Structure on Soil-Water Characteristic in Unsaturated Soil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8 no.2, 2012년, pp.33 - 42  

황웅기 (한국해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강기민 (한국해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태형 (한국해양대학교 토목공학과) ,  송영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토립자의 입경과 입도분포가 불포화토의 흙-수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축이동기법이 적용된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채취한 새만금실트에 대해 함수특성시험을 실시하였다. 비교를 위해 주문진 표준사에 대해서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으로부터 측정된 모관흡수력과 체적함수비를 토대로 van Genuchten 모델에 대한 흙-함수특성곡선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함수특성곡선의 비교분석결과 포화체적함수비, 잔류체적함수비 그리고 공기함입치 모두 모래보다 실트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van Genuchten 모델의 계수 ${\alpha}$, $n$, $m$ 모두 실트보다 모래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불포화토의 흙-함수특성곡선은 흙의 구조적 특성(간극크기, 형태, 분포)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입경이 크고 입도분포가 불량한(다시 말해, 간극크기가 크고 간극분포가 균등한) 조립토일수록 포화체적함수비, 잔류체적함수비, 그리고 공기함입치가 작고, 모관흡수력 변화에 따른 체적함수비의 변화율이 크며, 따라서 전이 영역의 범위가 좁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il grain size and its distribution on soil-water characteristic. To do this, soil-water characteristic tests were conducted on Saemangeum silt using the axis translation technique. For comparison, the test was also conducted on Jumunjin s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각 모관흡수력에서 흙이 보유할 수 있는 함수량은 주로 그 흙의 구성성분, 토립자의 입경, 간극 크기(또는 간극경(pore size))와 간극크기분포(pore size distribution)에 따라 좌우되므로 흙-함수특성곡선은 입도에 따른 흙 구조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입도분포가 다른 두 종류의 흙에 대한 모관흡수력과 체적함수비 사이의 거동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내에서 실험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주문진 표준사와 새만금지역에서 현장에서 채취한 실트에 대하여 각각 함수특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은 최근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송영석 등, 2010)에 구축된 축이동기법(axis translation technique)을 이용한 반자동화된 장치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입도분포가 다른 흙에 대하여 모관흡수력과 체적함수비 사이의 거동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주문진 표준사와 새만금지역에서 현장에서 채취한 실트에 대하여 각각 함수특성시험을 축이동기법이 적용된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함수특성시험으로부터 얻어진 시험결과로부터 van Genutchen(1980) 모델을 이용해 흙-함수특성곡선을 추정하고 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토립자의 입도분포와 흙-함수특성곡선 사이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시험은 최근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송영석 등, 2010)에 구축된 축이동기법(axis translation technique)을 이용한 반자동화된 장치를 이용하였다. 함수특성시험으로부터 얻어진 모관흡수력과 체적함수비로부터 흙-함수특성곡선을 추정하고 비교분석함으로써 토립자의 입도분포와 흙-함수특성곡선 사이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포화토의 연구 접근방법 3가지는 무엇인가? 불포화토의 연구는 일반적으로 크게 세 가지의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첫 번째는 불포화토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이며, 두 번째는 불포화토의 물성을 측정하는 실험적인 접근이며, 마지막 세 번째는 불포화토의 거동 예측에 초점을 둔 접근 방법이다. 이때 흙-함수특성곡선(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SWCC)은 서로 다른위 세 가지의 접근 방법들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흙-함수특성곡선이 다른 형태를 보이는 요소는 무엇인가? 흙-함수특성곡선은 흙의 종류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즉, 흙-함수특성곡선은 모래, 실트, 점토에 따라 다른 형태를 보인다. 상대적으로 토립자의 입경이 크고 균등한 모래와 같은 조립토의 경우 동일한 모관흡수력 증가에 따른 체적함수비의 변화율이 점토나 실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점토와 같은 세립토일수록 그 변화율은 작아진다.
흙-함수특성곡선은 어떻게 활용되는가? 즉, 흙-함수특성곡선은 불포화토의 역학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흙-함수특성곡선은 모관흡수력과 포화도 혹은 체적 함수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어주는 불포화토 고유의 물성으로서 불포화토의 흐름특성을 이해하고 함수량에 따른 흙의 강도 및 응력 거동특성을 해석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활용된다. 따라서 정확한 흙-함수특성곡선에 대한 측정 및 예측 없이 불포화토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황창수와 김태형,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찬기 (2003), "불포화 풍화 화강토의 응력-변형율 거동 특성",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3권 제3C호, pp.177-184. 

  2. 김태형 (2008), "습윤 모래에서 인장강도의 예측(I) : 이론",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24권 제6호, pp.27-35. 

  3. 성상규, 이인모 (2003), "화강풍화잔적토의 불포화전단강도에 미치는 순연직응력의 영향",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19권 제2호, pp.27-38. 

  4. 송영석, 이남우, 황웅기, 김태형 (2010), "자동 흙-함수특성곡선 시험장치 구축 및 활용", 지질공학, 제20권 제3호, pp.281-295. 

  5. 송영석, 이남우 (2010), "자동 흙-함수특성곡선 측정장치 구축", 2010 춘계 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pp.62. 

  6. 유남동, 정상섬, 김재홍, 박성완 (2004), "강우시 점토함유량에 따른 화강풍화토의 불포화 침투 특성",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20권 제8호, pp.159-166. 

  7. 이승래, 이성진, 변위용, 장범수 (2001), "화강풍화토 지반의 불포화 특성을 고려한 최적화기법에 의한 사면안정해석 방법",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17권 제6호, pp.123-133. 

  8. 황창수, 김태형 (2003), "피스톤펌프장치를 이용한 흙-수분특성곡선 측정방법",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19권 제5호, pp.155-162. 

  9. Arya, L. M., and Paris, J. F. (1981), "A Physicoempirical Model to Predict the Soil Moisture Characteristic from Particle-size Distribution and Bulk Density Data", Soil Society of America Journal, Vol.45, pp.1023-1030. 

  10. Bishop, A. W. (1959), "The principle of effective stress", Teknisk Ukeblad, Vol.106, No.39, pp.859-863. 

  11. Brooks, R. H., and Corey, A. T. (1964), "Hydraulic properties of porous media", Colorado State University(Fort Collins), Hydrology Paper, 3, March. 

  12. Campbell, G. S. (1974), "A simple method for determine unsaturated conductivity from moisture retention data", Soil Science, Vol.117, pp.311-314. 

  13. Cosby, B. J., Hornberger, G. M., Clapp, R. B., and Ginn, T. R. (1984), "A Statistical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s of Soil Moisture Characteristics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il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20, No.6, pp.682-690. 

  14. Fredlund, D. G., and Xing, A. (1994), "Equations for the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31, No.3, pp.521-532. 

  15. Fredlund, D. G., and Morgenstern, N. R. (1977), "Stress Variables for Unsaturated Soils", Journal of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Vol.103, No.5, pp.447-466 

  16. Fredlund, D. G., Morgenstern, N. R., and Widger, D. A. (1978), "The shear strength of Unsaturated Soil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15, No.2, pp.261-276. 

  17. Gardner, W. R. (1958), "Some steady state solutions of the unsaturated moisture flow equation with application to evaporation from a water table", Soil Science, Vol.85, No.4, pp.228-232. 

  18. Gray, W. G. and Schrefler, B. A. (2001), "Thermodynamic approach to effective stress in partially saturated porous media", European Journal of Mechanics - A/Solids, Vol.20, No.4, pp.521-538. 

  19. Jennings, J. E. B., and Burland, J. B. (1962), "Limitation to the use of effective stresses in unsaturated soils", Geotechnique, Vol.12, pp.125-144. 

  20. Khallili, N., and Khabbaz, M. H. (1998), "A unique relationship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shear strength of unsaturated soils", Geotechnique, Vol.48, No.5, pp.681-687. 

  21. Lu, N., Godt, J. W. and D. T. Wu (2010), "A closed-form equation for effective stress in unsaturated soil", Water Resources Research, Vol.46, W05515. 

  22. Lu, N., and Likos, W. J. (2004), Unsaturared Soil Mechanics, John Wiley & Sons, Hoboken, New Jersey. 

  23. Lu, N., and Likos, W. J. (2006), "Suction Stress Characteristic Curve for Unsaturated Soil",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32, No.2, pp.131-142. 

  24. Lu, N., Wu, B., and Tan, C. P. (2007), "Tensil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unsaturated sand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mental Engineering, Vol.133, No.2, pp.144-154. 

  25. van Genuchten, M. T. (1980), "A closed-form equation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soil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Vol.44, No.5, pp.892-898. 

  26. Vereecken, H., Maes. J., Feyen. J., and Darius. P. (1989), "Estimating the soil moisture retention characteristic from texture, bulk density, and carbon content", Soil Science, Vol.148, No.6, pp.389-4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