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보광산 주변지역의 지질구조와 우라늄 지화학 이상대
Geological Structures and Geochemical Uranium Anormal Zone Around the Shinbo Mine,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5 no.1, 2012년, pp.31 - 40  

강지훈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이덕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전라북도 진안군 신보광산의 동부지역에서 고품위 우라늄 지화학 이상대와 지질구조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지하수 흐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암상구분에 의한 상세한 지질도를 작성하고 이들 구성암류에 발달하는 연성 및 취성 구조요소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이 지역은 주로 동북동-서남서 방향으로 대상 분포를 보이는 선캠브리아기 규암, 변성이질암, 변성사질암과 이를 관입하는 시대미상의 페그마타이트와 백악기 반암류 등으로 구분되고, 추정과 달리 이들 암상을 부정합으로 피복하는 백악기 진안층군은 관찰되지 않았다. 선캠브리아기 변성퇴적암류의 주요 연성 변형구조는 적어도 세 번의 변형단계 [동북동 방향성의 광역엽리 (D1) -> 동북동 내지 동서 방향성의 파랑엽리 (D2) -> 서북서 내지 동서 방향성의 개방, 밀착, 킹크 습곡 (D3)]를 걸쳐 형성되었고, S1 광역엽리의 방향성은 선캠브리아기 변성퇴적암류의 대상 분포 방향과 유사한 동북동 주향에 남쪽으로 경사하는 것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지하수의 유동과 밀접한 관련성 있는 취성 고각 단열 (경사각${\geq}45^{\circ}$)의 방향성[동북동 (출현빈도: 24.3%), 남북 (23.9%), (북)북서 (18.8%), 서북서 (16.9%), 북동 (16.1%) 단열조 순]은 변성퇴적암류의 대상 분포 방향성 및 S1 광역엽리의 우세 방향성과 일치하는 동북동 주향에 남쪽으로 경사하는 것이 가장 우세하게 나타나고 남북 주향에 동서 방향으로 경사하는 것이 다음으로 우세하게 나타난다. 상기된 선캠브리아 변성퇴적암류의 대상 분포 방향성과 S1 광역엽리 및 고각 단열의 우세 방향성 등으로부터 신보광산과 그 동부지역의 우라늄 지화학 이상대의 형성요인을 고찰해 볼 때 이들 지역에서 기대되는 우라늄의 초생적인 근원암은 기존연구 결과와 같이 페그마타이트이며 광산지역의 우라늄 지화학 이상대는 이를 대수층으로 하는 지하수가 광산지역으로 통과하면서 이차적으로 부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ductile and brittle structural elements with detailed mapping by lithofacies classification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ological structure and the geochemical high-grade uranium anormal zone an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flow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구성 지층들이 분포하고 높은 우라늄 함량의 심부 지하수 관정이 위치하는 신보광산 동부지역에서 고품위 우라늄 광체를 규제할 지질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기존 연구와 달리 정밀한 야외지질조사를 실시하여 암상구분과 지질구조에 의한 상세한 지질도를 작성하고 이들 구성암류에 대한 변형단계별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유체 흐름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이들 구성암류에 발달하는 규칙 단열계(fracture system)의 방향성 특성을 파악하였다.
  • 중첩된 주요 연성 변형 암석구조들의 기하학적 특성과 선후관계로부터 변형단계별 구조요소를 연구한 결과, 선캠브리아기 변성퇴적암류의 암석 및 지질구조는 편마구조 내지 편리가 형성된 이후에 적어도 세 번의 변형단계를 걸쳐 형성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층리를 S0 라고 표기하나 본 논문에서는 편마구조 내지 편리를 편의상 S0 엽리라고 표현하고세 번의 변형단계를 그 상대적인 발달순서에 따라 D1, D2, D3 변형 등으로 구분하여 연구지역의 변형단계별 연성변형의 구조적 특성을 기재하고자 한다.
  • 본 조사는 단열 불연속면 자료의 균일한 획득을 위하여 1: 5,000 지형도상에 50 m × 50 m 격자도를 작성한 후 각 격자면적 내에서 적어도 3차원적으로 단열 관찰이 가능한 1 개 이상의 노두를 찾고자 하였다.
  • 여기서는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그 연구결과를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 · 종합하여 신보광산과 그 동부지역에서 기대되는 우라늄의 초생적인 근원암과 지화학 이상대의 형성요인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곡과 같은 지질구조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연구지역의 지질구조는 모든 구성암류에 발달하는 2~6 개의 규칙 단열조와 선캠브리아기 변성퇴적암암류에서 인지되는 엽리, 선구조, 습곡 등이 있다. 습곡은 1차 등사습곡, 2차 비대칭 습곡, 3차 개방, 밀착, 킹크(kink) 습곡 등으로 구분된다. 선구조는 신장선구조와 파랑선구조로 구분된다.
신보광산은 어디에 위치하는가? 신보광산은 전주시에서 동쪽으로 약 18 km, 진안읍에서 서쪽으로 약 12 km 지점에 위치한다. 연구지역은 옥천변성대의 남서부에 위치하고 1: 50,000 전주-진안 지질도폭(Shimamura, 1924)의 북부 일부 영역을 점하고 있으며 신보광산의 동부에 위치한다(Fig.
신보광산 및 주변 지역에 고농도의 우라늄 광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 1989). 신보광산 및 주변 지역에는 초기 우라늄 흡착 및 환원작용에 기여하는 흑연질 편암과 백운암질 석회암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 지역에는 고농도의 우라늄 광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Seo et al., 1986; O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Chung, J.-I., Lee, M.-S. and Na, C.-K. (1998) Geochemical study on the Uranium Anomaly around the Shinbo Talc Mine (I) - In the Light of Hydrochemical Properties-. Econ. Environ. Geol., v.31, p.101-110. 

  2. Chwae, U.C., Kim, K.B., Hong, S.H., Lee, B.J., Hwang, J.H., Park, K.H., Hwang, S.K., Choi, P.Y., Song, K.Y. and Jin, M.S. (1995) Geological map of Korea (1:1,00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Sungji Atlas Co. 

  3. Na, C.-K., Park, H.-Y. and Park, H.-J. (2000) Geochemical Study on the Uranium Anomaly around the Shinbo Talc Mine (II) - In the Light of Isotopic Characteristics -. Econ. Environ. Geol., v.33, p.367-377. 

  4. Oh, C.-H., Park, J.-K., Seo, H.-J., Kim, T.-K., Chae, S.-C. and Ko, S.-M. (1989) Uranium exploration in Shinbo mine area, Jinan.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KR-89, p.81-106. 

  5. Seo, H.-J., Shin, S.-C., Yoon, H.-S. and Kim, T.-K. (1986) Geochemical exploration for uranium in the Chonju-Jinan area.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KR-86-3, p.21-55. 

  6. Shimamura, S. (1924) Jeonju-Jinan sheet (1: 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