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동해 울릉분지 남서 주변부의 이산화탄소 저장 용량 예비 평가
A Preliminary Evaluation on CO2 Storage Capacity of the Southwestern Part of Ulleung Basin, Offshore, East S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5 no.1, 2012년, pp.41 - 48  

김유리 (한국석유공사 석유개발연구원) ,  이금석 (글로벌기술지원센터) ,  조소현 (한국석유공사 석유개발연구원) ,  김민준 (한국석유공사 석유개발연구원) ,  김종수 (한국석유공사 석유개발연구원) ,  박명호 (한국석유공사 석유개발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방대한 양의 2D/3D 탄성파 자료와 시추공 자료에 대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내 최초로 대륙붕 해양분지 내 퇴적환경에 대한 저장 효율 계수를 적용하여 동해 울릉분지 남서 주변부에 대한 이산화탄소 저장 능력을 개략적으로 평가하였다. 저장 능력 평가의 중요 인자인 퇴적체의 부피 계산을 위해 유효 구간(800 m ~ 3,000 m) 내 탄성파 해석을 실시한 결과 지중저장지층으로 활용될 수 있는 5개의 퇴적 단위를 확인하였으며 시추공 자료를 이용하여 심도 보정 후 필요 매개 변수와 함께 저장 능력을 평가하였다. 산정된 이산화탄소 저장 가능 용량은 $P_{50}$ 기준 51억톤으로 이는 동해 울릉분지 남서 주변부 유효구간 내 전체 퇴적체를 대상으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을 가정한 경우이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정밀 분석을 통하여 보다 실증적인 저장 능력이 제시될 것이며, 저장 능력 산정을 위한 이러한 접근 방법은 서 남해 대륙붕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한반도 주변 해역의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 능력 평가를 위한 규격화된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heoretical $CO_2$ storage capacity is estimated on the southwestern continental shelf margin of Ulleung Basin, offshore Korea using 2D/3D multi-channel seismic and wellbore data acquired in the area over the two decades since the late 1980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present st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석유공사는 현재 국내 해양 퇴적분지(울릉분지, 군산분지, 제주분지)에 대한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소 정밀 탐색 및 잠재 저장 용량 평가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울릉분지 남서주변부의 지하 지층 내에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 부지를 물색하여 잠재 저장 용량을 평가하는 데 있다. 저장 용량 평가 대상 규모는 기존의 연구에 비해 폭넓은 지역과 심도를 다루며, 이를 통해 가장 유력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후보지에 대한 잠재 저장 용량 분석 예비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울릉분지 남서주변부의 지하 지층 내에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 부지를 물색하여 잠재 저장 용량을 평가하는 데 있다. 저장 용량 평가 대상 규모는 기존의 연구에 비해 폭넓은 지역과 심도를 다루며, 이를 통해 가장 유력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후보지에 대한 잠재 저장 용량 분석 예비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2). 이 연구에서는 부정합면을 경계로 하는 퇴적 시퀀스 단위의 광역적 층서 해석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산화탄소 저장 가능 부피 산정에 필요한 퇴적체 단위 구분 및 형태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 NETL의 방법에서는 부동수포화율을 별도로 고려하지 않으나, 저장 효율 계수 산출 과정에서 공극 내의 이산화탄소 이동 효율(displacement efficiency)에 해당하는 매개변수에 그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Table 1; CSLF, 2007).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NETL의 계산식에 따라 이산화탄소 저장 능력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저장 효율 계수는 NETL(2010) 계산식의 변수 중의 하나로서 대염수층의 공극 내 실제로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비율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총 7개의 매개변수가 요구된다(Table 1). 이 연구에서 저장 효율 계수는 모든 탄성파 퇴적 시퀀스 단위에 대해 대염수층을 간극체(porous media)라고 가정하였으며 사암 비율(net to gross ratio)을 고려하지는 않았다. 연구지역이 대륙붕 퇴적 환경이 우세한 것으로 해석되므로 이 환경에 해당하는 각각의 매개변수에 대하여 EERC(2009)에서 제시한 값을 사용하였으며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결과 P10과 P50, P90에 대해 각각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울릉분지 남서주변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는 이산화탄소의 국내 대륙붕 지중저장 가능성이 제시됨에 따라 동해 울릉분지 남서주변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Fig. 1; Park et al.
국내 해양 퇴적분지에 대한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소 정밀 탐색 및 잠재 저장 용량 평가와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을 수행하는 기관은 어디인가? 한국석유공사는 현재 국내 해양 퇴적분지(울릉분지, 군산분지, 제주분지)에 대한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소 정밀 탐색 및 잠재 저장 용량 평가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울릉분지 남서주변부의 지하 지층 내에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 부지를 물색하여 잠재 저장 용량을 평가하는 데 있다.
동해 울릉분지 남서주변부 지역이 국내 대륙붕 지역 중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연구를 할 수 있는 최적지로 여겨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9a, 2009b). 동 지역은 서·남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탐사성숙도가 높으며 장기간 탐사활동으로 축적된 다량의 자료 활용이 가능하므로 국내 대륙붕 지역 중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연구를 할 수 있는 최적지로 여겨진다. 이 지역에서는 발견된 유·가스 관련 구조와 심부 대염수층(saline aquifer)이 잠재적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후보지로 고려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yun, H.S. (2011) Lithostratigraphic and biostratigraphic studies of carbon storage in Korean area (Undeformed area of Ulleung basin). Unpubl. Report for MLTM's CCS Project of KNOC, 391p. 

  2. Choi, K.S. (2011) High-resolution analysis and stratigraphic architecture of reservoir rocks in Block VI-1, offshore SE Korea: Implication to the CO2 storage potential of reservoir rocks. Unpubl. Report for MLTM's CCS Project of KNOC, 73p. 

  3. Chough, S.K. and Barg, E. (1987) Tectonic history of Ulleung basin margin, East Sea (Sea of Japan). Geology, v.15, p.45-48. 

  4. Chough, S.K., Lee, H.J. and Yoon, S.H. (2000) Marine Geology of Korean Seas. Elsevier 2nd edition, 313p. 

  5. CO2CRC. (2008) Storage Capacity Estimation, Site Selection and Characterisation for $CO_2$ Storage Projects. Cooperative Research Centre for Greenhouse Gas Technologies, Canberra, p.10-16. 

  6. CSLF (Carbon Sequestration Leadership Forum). (2007) Estimation of $CO_2$ storage capacity in geological media. June 2007, 43p. 

  7. EERC (Energy &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2009) Development of Storage Coefficients for Carbon Dioxide Storage in Deep Saline Formations. IEA Greenhouse Gas R&D Programm, 52p. 

  8. Hovorka, S.D., Doughty, C., Benson, S.M., Pruess, K. and Knox, P.R. (2004) The impact of geological heterogeneity on $CO_2$ storage in brine formations: a case study from the Texas Gulf Coast.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v.233, p.147-163. 

  9. Kim, H.J., Han, S.J., Lee, G.H., Cho, H.M., Yoo, H.S., Park, G.T. and Kim, J.S. (2007) Evolution of the estern margin of Korea: constraints on the opening of the East Sea (Japan Sea). Tectonophysics, v.436, p.37-55. 

  10. Lee, G.H., Kim, H.J., Suh, M.C. and Hong, J.K. (1999) Crustal structure, volcanism, and opening mode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Tectonophysics, v.308, p.503-525. 

  11. Mitchum, R.M., Jr. and Vail, P.R. (1977) Seismic stratigraphy and global changes of sea level; Part 7, Seismic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procedure: AAPG Memoir v.26, p.135-143. 

  12. NETL (National Energy Technology Laboratory). (2010) Carbon Sequestration Atlas of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U.S. Department of Energy, p.142-147. 

  13. Oldenburg, C.M., Pruess, K. and Benson, S.M. (2001) Process modeling of $CO_2$ injection into natural gas reservoirs for carbon sequestration and enhanced gas recovery. Energy & Fuel, v.15, p.293-298. 

  14. Park, M.H., Kim, I.S. and Ryu, B.J. (2003) Framboidal pyrites in late Quaternary core sediments of the East Sea and their paleoenvironmental implications. Geosciences Journal, v.7, p.209-215. 

  15. Park, M.H., Kim, J.H., Ryu, B.J., Kim, I.S. and Chang, H.W. (2006) AMS radiocarbon dating of the marine late Pleistocene-Holocene sediment cores in the western Ulleung Basin, East/Japan Sea.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B, v.243, p.211-215. 

  16. Park, M.H., Kim, J.H. and Kil, Y.W. (2007) Identification of the late Quaternary tephra layers in the Ulleung Basin of the East Sea using geochemical and statistical methods. Marine Geology, v.244, p.196-208. 

  17. Park, Y.C., Yoo, D.G., Sung, W.M., Hwang, S.H. and Park, K.G. (2009a) Core technology deveplopment for sequestration of $CO_2$ in marine subsurface. 3rd Interagency Workshop for climate change response R&D program, Jeju Lotte Hotel, 95p. 

  18. Park, Y.C., Huh, D.G., Yoo, D.G., Hwang, S.H., Lee, H.Y. and Roh, E. (2009b) A Review of Business Model for $CO_2$ Geological Storage Project i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5, p.579-587. (in Korean) 

  19. SEI (Sneider Exploration Inc.). (2002) Tight formation evaluation of the B-5 Interval Gorae V, V-1and V-2. Sneider Exploration Inc., pp. 9-21. 

  20. Yoon, S.H., Chough, S.K. and Park, S.J. (2003) Sequence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a Miocene shelf-slope system in the tectonically active Ulleung Basin margin, East Sea (Sea of Japan).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v.20, p.1089-1103. 

  21. Yoon, B.S. and Hwang, I.G. (2009) Tectonics and related depositional pattern in the SW margin of Ulleung Basi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45, p.311-329.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