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유회수증진기술의 시장 및 개발기술 동향
Review of EOR Market and Technical Development Trends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5 no.1, 2012년, pp.59 - 68  

김현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부) ,  이근상 (한양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  손한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부) ,  유인항 (드릴링서비스인터내셔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규 유전의 발견 감소와 개발도상국의 수요 증대가 지속됨에 따라 향후 오일 수요를 충족시키는데 증진회수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믿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전세계에서 최근에 연구된 자료를 바탕으로 석유회수증진기술 (EOR)에 대한 현재 시장 동향 및 기술 개발 방향에 대해 정리하였다. EOR 시장은 열공법, 가스 주입법, 화학 공법에 의한 오일 회수를 모두 포함하였다. 저류층의 암상, 위치, 심도, 두께와 오일의 성분 및 비중 등 EOR 기법의 현장적용 기준을 정리하였으며, 각종 EOR 기법의 적용사례를 저류층 특성과 실제 회수의 관점에서 토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decline in discoveries of new oil fields and increasing demand from developing countries it is believed that enhanced oil recovery (EOR) technologies will play a key role to meet the energy demand in years to come. Based on the recently-published data, this paper discusses current statu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외국에서 연구된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석유회수증진에 대한 시장 상황을 검토하였고 저류층의 암상, 저류층의 위치, 심도 및 두께, 오일의 성분 및 비중 등 EOR 기술 적용 시 고려해야할 요소에 대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EOR 기술별로 대표적인 현장적용 사례를 소개하고 저류층 특성 및 회수 증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유회수증진기술의 열공법이란? 열공법은 저류층 내에 열을 공급하여 오일의 점도와 비중을 감소시켜 오일 회수를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증기주입법 (steam injection), 현장연소법 (in-situ combustion, ISC)이 있다. 이 중 증기주입법은 주기적 증기자극법 (cyclic steam stimulation, CSS)과 지속적 증기주입법 (steam flooding)으로 세분할 수 있다.
석유회수증진기술은 어떤 기법인가? 이러한 수급 불균형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최근 석유회수증진기술 (enhanced oil recovery, EOR)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증진 회수는 혼합 가스 또는 용매, 화학물질, 또는 열 에너지 등을 주입하여 저류층 내 잔존 오일을 회수하는 기법이다. 기존 정들을 이용할 경우 EOR을 위한 자본 투자가 대부분 완료된 상태이며 기존 판매 시장에 인접해 있어 경제성을 확보하기가 용이하다.
석유회수증진기술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석유회수증진기술은 크게 열공법 (thermal flooding method), 가스주입법 (gas injection method), 화학공법 (chemical flooding method)으로 분류한다 (Fig.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dvanced Resources International (2006) Basin oriented strategies for $CO_2$ enhanced oil recovery: Permian basin, 117p. 

  2. Alvarado, V. and Manrique, E. (2010) Enhanced oil recovery: an update review, Energies, v.3, p.1529-1575. 

  3. Cantrell, D.L. and Hagerty, R.M. (1999) Microporosity in Arab formation carbonates, Saudi Arabia, GeoArabia, v.4, p.129-154. 

  4. Chang, H.L., Zhang, Z.Q., Wang, Q.M., Xu, Z.S., Guo, Z.D., Sun, H.Q., Cao, X.L. and Qioa, Q. (2006) Advances in polymer flooding and alkaline/surfactant/polymer processes as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J. Pet. Tech, v.58, p.84-89. 

  5. Gochioco, L. (2005) IHS energy's report on 10-year petroleum trends, The Leading Edge, p.28-31. 

  6. Golabi, E., Seyedeyn-Azad, F. and Ayatollahi, S. (2009) Chemical induced wettability alteration of carbonate reservoir rocks, Iranian Assoc. of Chemical Eng., v.6, p.66-73. 

  7. Government of Alberta (2009) Alberta oil sand industry: quarterly update, 9p. 

  8. Hanzlik, E.J. and Mims, D.S. (2003) Forty years of steam injection in California-the evaluation of heat management, SPE 89411 paper presented at SPE International Improved Oil Recovery Conference in Asia Pacific, Kuala Lumpur, Malaysia. 

  9. Hirasaki, G. and Zhang, D.L. (2003) Surface chemistry of oil recovery from fractured, oil-wet, carbonate formations, SPE 80988 paper presented at the 2003 SPE International Symposium on Oilfield Chemistry, Houston, TX. 

  10. Koning, E.J.L., Mentzer, E. and Heemskerk, J. (1988) Evaluation of a pilot polymer flood in the Marmul field, Oman, SPE 18092 paper presented at SPE Annual Technical Conference and Exhibition, Houston, TX. 

  11. Kuykendall, M.D. and Fritz, R.D. (2001) Misener sandstone: distribution and relationship to late/post-Hunton unconformities, northern shelf, Anadarko basin, in Hunton group core Workshop and field trip, Oklahoma Geological Survey Special Publication v.93, p.117-134. 

  12. Lee, H.Y., Lee, W.G., Kim, J.S. and Park, S.Y. (2007) Enhanced oil recovery technologies and business status, KNOC, Petroleum Review, v.23, p.81-113. 

  13. Moffitt, P.D. and Mitchell, J.F. (1983) North Burbank unit commercial scale polymerflood project-Osage country, Oklahoma, paper presented at SPE Production Operations Symposium, Oklahoma City, OK. 

  14. Pratap, M. and Gauma, M.S. (2004) Field implementation of alkaline-surfactant-polymer(ASP) flooding: a maiden effect in India, SPE 88455 paper presented at the SPE Asia Pacific Oil & Gas International Conference, Beijing, China. 

  15. SBI Energy (2010) EOR enhanced oil recovery worldwide, 149p. 

  16. Tabary, R. and Bazin, B. (2007) Advances in chemical flooding, paper presented at IFP-OAPEC Joint Seminar, Rueil-Malmaison, France. 

  17. Taber, J.J., Martin, F.D. and Seright, R.S. (1997) EOR screening criteria revisited-part 1: introduction to screening criteria and enhanced recovery field projects, SPE Reser. Eng., v.12 p.189-198. 

  18.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10)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328p. 

  19. Wang, D., Dong, H., Lv, C., Fu, X. and Nie, J. (2009) Review of practical experience by polymer flooding at Daqing, SPE Reser. Eval. & Eng., v.12, p.470-4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